$\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머루를 이용한 sourdough를 제조하고 머루 sourdough 10%, 30%, 50% 및 70%를 대체한 식빵의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25^{\circ}C$에서 발효한 머루액종의 pH는 발효시간이 증가할수록 pH는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적정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당도는 발효 1일차에 $4.57^{\circ}Brix$로 가장 높았고 발효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알코올 함량은 1일 차에는 나타나지 않았고 4일차에서 1.37%를 나타냈다. 완성된 발효액에 밀가루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36시간 발효하여 sourdough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머루 sourdough 10%, 30%, 50% 및 70%로 대체하여 식빵을 제조하였다. 식빵 반죽의 pH는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정 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발효팽창력은 10% 대체군이 20.00%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며(P<0.05),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반죽의 2차 발효시간에서 대체군들은 머루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식빵의 비용적은 50% 대체군이 4.76 mL/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수분 함량은 머루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수분활성도는 실험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조직감에서 경도는 50% 대체군이 19.23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호도 검사 결과 색, 향미, 부드러운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식빵의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등을 고려할 때 머루 sourdough 50% 대체군이 최적배합비로 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nufacture white bread by substituting bakery yeast with natural starter. The general composition of wild grape, was 81.22% moisture, 0.81% ash, 0.74% crude fat, 1.58% crude protein, and 15.65% carbohydrate contents. Fermented wild grape extract was made by cultu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머루를 이용한 천연 sourdough를 제조하고 10%, 30%, 50% 및 70%를 대체한 식빵 반죽의 pH와 총산도를 측정하고, 식빵의 pH, 적정 산도, 비용적, 굽기 손실률, 수분 함량, 색도, 조직감, 내부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머루 sourdough 식빵의 최적배합비를 구명하여 상업적으로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ourdough는 무엇인가? 소비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상업적 효모보다는 천연효모를 이용한 빵을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Sourdough는 밀, 보리 등을 분쇄하여 물을 가하면 효모와 유산균에 의해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가 일어나면서 CO2를 생성하고 시큼한 맛과 향미가 있는 반죽이다. 19세기 상업적 효모가 발전하기 전부터 제빵용 천연효모로 사용해왔으며(3,4), 빵 반죽 시 사용하고 남은 일부분을 남겨두었다가 다시 빵 반죽에 반복적으로 사용한다(5).
머루는 어떤 병의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었는가? 포도과에 속하는 머루는 덩굴성 식물로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파주, 평창, 문경 및 임실과 무주에서 재배한다(17,18). 예로부터 머루는 염증, 천식, 기관지염, 병소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19). 또한 머루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비타민 B1, B2, B3 및 C가 풍부하며 Ca, P, Fe 등 무기질 함량이 높고(20,21), 열매에는 phenolic acids와 flavonoids와 같은 페놀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22-24).
머루 sourdough 10%, 30%, 50% 및 70%를 대체한 식빵을 조사한 결과, 식빵 반죽의 pH와 적정 산도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제조된 머루 sourdough 10%, 30%, 50% 및 70%로 대체하여 식빵을 제조하였다. 식빵 반죽의 pH는 sourdough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적정 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발효 팽창력은 10% 대체군이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http://www.newsam.co.kr/news/article.html?no1417 (accessed Jun 2014). 

  2. Chung HC. 2008.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43-648. 

  3. Corsetti A, Settanni L. 2007. Lactobacilli in sourdough fermentation. Food Res Int 40: 539-558. 

  4. Lee JH, Kwak EJ, Lee Y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added with red koji rice sourdough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33-341. 

  5. Marklinder I, Johanssona L, Haglunda A, Nagel-Held B, Seibel W. 1996. Effects of flour from different barley varieties on barley sour dough bread. Food Qual Prefer 7: 275-284. 

  6. Katina K, Heinio RL, Autio K, Poutanen K. 2006. Optimization of sourdough process for improved sensory profile and texture of wheat bread. LWT-Food Sci Technol 39: 1189-1202. 

  7. Hammes WP, Ganzle MG. 1997. Sourdough breads and related products. Microbiology of Fermented Foods 1: 199-216. 

  8. Thiele C, Ganzle MG, Vogel RF. 2002. Contribution of sourdough Lactobacilli, yeast, and cereal enzymes to the generation of amino acids in dough relevant for bread flavor. Cereal Chem 79: 45-51. 

  9. Liukkonen KH, Katina K, Wilhelmsson A, Myllymaki O, Lampi AM, Kariluoto S, Piironen V, Heinonen SM, Nurmi T, Adlercreutz H, Peltoketo A, Pihlava JM, Hietaniemi V, Poutanen K. 2003. Process-induced changes on bioactive compounds in whole grain rye. Proc Nutr Soc 62: 117-122. 

  10. Hwang GH, Yun HR, Jung HN, Choi O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guette using fermented rice bran sourdough. Korean J Food Cookery Sci 30: 307-316. 

  11.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rye mixed bread prepared with substitutions of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sourdoug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87-94. 

  12. An HL, Lee KS. 2012. Effects of adding sourdough starter powder using Korean wheat flour on the quality of pan bread. Korean J Culinary Res 18: 183-198. 

  13. Park JM, Lee HM, Eom HJ, Kim SH, Song IG, Yoon H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Korean J Food & Nutr 26: 199-207. 

  14. Chae DJ, Lee KS, Jang KH. 201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43-750. 

  15. Lee HT. 2013.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using sourdough starter added with yacon. PhD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Asan, Korea. 

  16. Kim SY, Hwang SY. 2004. Effects of sourdough powder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read flour. Korean J Food & Nutr 17: 171-176. 

  17. Lee DH, Yu HE, Lee JS.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wild grape wine. J Natural Sci 15: 69-78. 

  18.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accessed Jun 2008). 

  19. Shin DY, Lee WS, Kim SH, Kim MJ, Yun JW, Lu JN, Lee SJ, Tsoy I, Kim HJ, Ryu CH, Kim GY, Kang HS, Shin SC, Choi YH. 2009. Anti-invasive activity of anthocyanins isolated from Vitis coignetiae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J Med Food 12: 967-972. 

  20. Cheon KB. 1999. Screening of antioxidant from Vitis coignetae, Vitis vinifera L. and compari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p 12. 

  21.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JO, Sung NJ. 2006.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 (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 Nutr 19: 311-317. 

  22. Jeong HJ, Park SB, Kim SN,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23. Park HS.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seed) extracts by solvents. Korean J Culinary Res 17: 270-279. 

  24. Lee HR, Hwang IW, Zheng HZ, Jeong WS, Kim YC, Chung SK. 2010. Antioxidant properties of proanthocyanidin fraction isolated from wild grape (Vitis amurensis)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20-423. 

  25. Kim EJ, Kim YH, Kim JW, Lee HH, Ko YJ, Park MH, Lee JO, Kim YS, Ha YL, Ryu CH. 2007.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and quality properties of wilde grape wi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66-370. 

  26. Seo JS, Lee JS, Byun GI, 2008. Kwak EJ.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fermented with wild grape and 4 kinds of cere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72-1478. 

  27. Ji SH, Han WC, Lee JC, Kim BW, Jang KH.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h Rose rugoga Thun.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186-190. 

  28.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 e.V. 1994. Standard-methoden fuur getreide mehl und brot. 7th ed. Verlag Moritz Schafer, Detmold, Germany. p 283-287. 

  29. He H, Hoseney RC. 1991. Gas retention of different cereal flours. Cereal Chem 68: 334-336. 

  30.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of domestic wheat flour with mixture of natural fermented starter and purple rice flour.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31. Kim SY. 2012.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GABA rice bran sourdough. MS Thesis. Yeungnam University, Kyungsan, Korea. p 13-16. 

  32. Lee YK, Lee MY, Kim SD. 2003. Effect of calcium lactate prepared from black snail on dough fermentation, quality and shelf-life of b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136-144. 

  33. Kim H, Choi CR, Ham K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s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2-80. 

  34. Chae DJ, Lee KS, Jang KH. 2011. Sourdough and bread properties utilizing different ratios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50. 

  35. Flander L, Suortti T, Katina K, Poutanen K. 2011. Effects of wheat sourdough process on the quality of mixed oat-wheat bread. LWT-Food Sci Technol 44: 656-664. 

  36. Park SJ. 2012. Influence of sourdough content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rye meal-wheat flour composite bread.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18-20. 

  37.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Sosland Pub Co., Merriam, KS, USA. p 891-895. 

  38. Kim SK, Cheigh HS, Kwon TW, D'Appolonia BL, Marston PE. 1978. 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from wheat and 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11-15. 

  39. Hong SY,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Korean J Food & Nutr 21: 485-491. 

  40. Crowley P, Schober TJ, Clarke CI, Arendt EK. 2002. The effect of storage time on textural and crumb grain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wheat bread. Eur Food Res Techonol 214: 489-496. 

  41. Decock P, Cappelle S. 2005. Bread technology and sourdough technology. Trends Food Sci Technol 16: 113-120. 

  42. Corsetti A, Gobbetti M, De Marco B,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Rossi J. 2000. Combined effect of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and additive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Agric Food Chem 48: 3044-3051. 

  43. Ahlborn GJ, Pike OA, Hendrix SB, Hess WM, Huber CS. 2005. Sensory, mechanical, and microscopic evaluation of staling in low-protein and gluten-free breads. Cereal Chem 82: 328-335. 

  44. Gallagher E, Gormley TR, Arendt EK. 2003. Crust and crumb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breads. J Food Eng 56: 153-161. 

  45. Jeong SY.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soy sauces with descriptive analysis.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p 4. 

  46. Chung SJ, Lim CR, Noh BS. 2008. Understand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milk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electronic nos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7-55. 

  47. Kim HS. 2014. Consumer study about fresh noodles pasta using different herbs by cata technique.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p 18-19. 

  48. Ares G, Jaeger SR. 2013. Check-all-that-apply questions: Influence of attribute order on sensory product characterization. Food Qual Prefer 28: 141-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