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가 식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on Pan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0, 2016년, pp.1467 - 1475  

김원모 (우송정보대학 제과제빵학과) ,  김기혁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부) ,  이규희 (우송대학교 조리과학연구센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드럽고 노화를 지연하는 빵을 제조하기 위해 호화밀가루반죽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제빵 하면서 제빵특성 및 저장성을 분석하였다.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반죽특성을 분석하였을 때 견도는 호화밀가루반죽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죽의 안정도는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호화밀가루반죽의 양이 증가할수록 gluten 형성 능력은 약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장 발효 팽창력이 높은 것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반죽하였을 경우였으며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은 발효 팽창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10%와 20%의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통계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3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부피는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호화밀가루전분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식빵의 수분 함량은 제조 당일에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빵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중 수분 함량의 변화는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은 호화밀가루반죽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 함량은 더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저장기간 동안 수분 함량의 감소율은 낮았다. 색도는 각 저장기간에 따라 통계적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제빵 직후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대조구와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 동안 씹힘성, 깨짐성과 경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일 저장 시까지는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증가폭이 가장 적었다. 관능특성 강도 평가 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이용하여 제빵 하였을 때 쫄깃한 조직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소비자 기호도 조사결과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이 조직감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10% 호화밀가루반죽을 첨가하여 제조한 빵을 가장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너무 많은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제빵 적성을 향상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지만 10% 호화밀가루반죽의 첨가는 좋은 물성과 기호성을 나타내며 노화속도를 줄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는 제빵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ake soft and less stale bread, various amounts of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were added for making pan bread. In the dough process, higher gelatinized wheat flour dough showed higher consistency and dough development time but a lower dough stability time. Expansion during fermentation repr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부드럽고 노화를 지연하는 빵을 제조하기 위해 호화밀가루반죽을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제빵 하면서 제빵 및 저장 특성을 분석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가루는 어떻게 빵이 되는가? 밀가루는 수분과 효모를 혼합하여 반죽하게 되면 효모의 작용으로 gas를 형성하게 되고, 형성된 gas가 반죽과정 중 형성된 gluten을 신장시키고(1), 가열에 의해 호화된 전분이 gluten에 고착되면서 빵이 된다(2). 제조된 빵은 저장 과정 중 빵 내부가 단단해지고 빵 껍질의 바삭거림은 사라지고 신선한 빵의 풍미가 사라지는 bread staling이 일어난다.
bread staling 과정에서 물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Bread staling의 또 다른 현상은 gluten이 저장 과정 중 탈수에 의해 가소성을 잃게 되고 gluten-starch 상호작용의 변형이 일어나며 전분의 재결정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저장 과정 중 발생하는 bread staling에서 물은 빵의 내부 crumb에서 외부 crust 쪽으로 거대분자 수준으로 이행되어 분자 수준으로 재배치가 일어나 전분의 결정화를 유도하게 되고 유리수를 감소시키며, 빵의 영역 사이에 재배열하게 되어(3) bread staling 과정에서 물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빵에서 수분의 보유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은? 따라서 빵에서 수분의 보유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빵의 보습력 증진은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섬유질을 첨가하여 빵의 노화를 지연시키거나(4,5), 손상된 작은 전분립을 제빵에 이용하여 밀가루에 흡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6). Liu 등(7)은 밀의 제분공정 중에 주 전분입자로부터 떨어져 나온 전분의 작은 입자인 손상전분미립자를 제빵에 첨가하였을 때 반죽공정 중 손상전분미립자의 빠른 수화현상은 효모의 작용을 쉽게하여 효소적 가수분해가 용이하므로 gas 발생이 잘 되도록 하고, 손상전분미립자의 높은 흡습성은 gel 형성을 더 쉽게 만들어 반죽의 신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Cereal Sci 24 15 1996 10.1006/jcrs.1996.0033 

  2. LWT-Food Sci Technol 59 418 2014 10.1016/j.lwt.2014.04.057 

  3. J Cereal Sci 57 325 2013 10.1016/j.jcs.2012.12.003 

  4. Food Chem 195 64 2016 10.1016/j.foodchem.2015.03.092 

  5. Food Chem 163 154 2014 10.1016/j.foodchem.2014.04.067 

  6. Int J Food Sci Tech 49 253 2014 10.1111/ijfs.12306 

  7. Food Res Int 76 402 2015 10.1016/j.foodres.2015.07.010 

  8. LWT-Food Sci Tech 42 618 2009 10.1016/j.lwt.2008.08.010 

  9. Food Sci Technol Res 11 194 2005 10.3136/fstr.11.194 

  10.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434 2015 10.3746/jkfn.2015.44.3.434 

  11.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88 2012 10.3746/jkfn.2012.41.9.1288 

  12. Int J Biol Macromol 64 123 2014 10.1016/j.ijbiomac.2013.12.004 

  13.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341 2014 10.9721/KJFST.2014.46.3.341 

  14. Food Res Int 66 478 2014 10.1016/j.foodres.2014.10.011 

  15. Food Chem 152 184 2014 10.1016/j.foodchem.2013.11.130 

  16. J Food Sci Tech 51 1342 2014 10.1007/s13197-012-0627-x 

  17. Korean J Food Cook Sci 26 503 2010 

  18. Cereal Chem 70 318 1993 

  19. Korean J Food Preserv 13 30 2006 

  20. Korean J Food Cook Sci 27 507 2011 10.9724/kfcs.2011.27.5.507 

  21. Bakers Digest 49 24 19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