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으로 살펴본 시사점을 통하여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의 교육과정의 연계 방향 모색
Seeking a Way for the Connection of Curriculum of Infants and Children Based on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Centered on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in America-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223 - 241  

김은정 (제주국제대학교 유아교육과) ,  유영의 (순천향대학교 유아교육과) ,  신은수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 유아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으로 살펴본 교육적 시사점을 통하여 한국의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교육과정의 연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미국의 각 주별 조기학습기준 중 0~만 2세와 만 3~4/5세로 연령이 분리된 12개주와 연령구분을 별도로 하지 않고 0~만 4/5세로 연령연계의 틀로 구성된 주 5개주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만 4/5세로 연령이 연계된 5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내용 영역은 모든 주에서 수학과 과학에 포함되고 인지발달과 추론에 일부 포함되었다. 그러나 0~만 2세와 만 3-4/5세로 연령이 분리된 12개 주의 경우는 0~만 2세는 인지발달이 포함되고 있지만 만 3~4/5세는 수학과 과학이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0~만 2세의 10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인지발달의 12개 하위 내용 중 개념발달과 기억, 문제해결, 탐색과 발견의 순으로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셋째, 0~만 4/5세로 연령이 연계된 5개 주의 조기학습기준의 자연탐구영역과 관련된 내용 영역은 과학적 사고, 생물, 물리, 지구와 우주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연령이 분리된 12개주의 자연탐구영역의 관련 내용 영역은 0~만 2세는 2개주에서 생물, 물리, 지구와 우주가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넷째, 연령이 연계된 주의 수학 영역의 내용은 수와 연산, 측정, 기하와 공간이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연령이 분리된 주의 경우는 0~만 2세는 수와 연산, 기하와 공간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만 3~4/5세는 수와 연산, 기하와 공간, 측정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 시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발달 측면과 교과 측면의 연계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lan a direction for the connection of the area of inquiry in daily life between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arly learning standards for infants aged 0~2, and young children aged 3~4/5 in 17 different states in America. Th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미국의 영아와 유아 간 조기학습기준의 연계성 노력에 비하여 한국은 이원화 된 부서의 교육과정 개발로 인하여 영아와 유아 간 교육과정의 연계성은 취약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 간 내용 영역 및 연령 간 내용 선정 근거에 대한 객관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에 의의를 두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 유아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으로 살펴본 교육적 시사점을 통하여 한국의 자연탐구영역의 영아와 유아교육과정의 연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을 중심으로 한 이유는 첫째, 대부분의 주에서 0~만 2세 영아와 만 3~4/5세의 유아 교육과정이 문서로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 둘째, 2000년대부터 유치원에 입학하기 이전에 성취해야 할 만 3~4세 유아(pre-kindergarten)의 교육을 주정부가 지원하는 Universal Pre-Kindergarten 체제를 확대하며 공립 유아학교 체제를 구축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 셋째, 인지발달과 학업적 성취 등을 강조하는 특성 등 한국의 누리과정 체제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김은정, 유영의, 신은수, 2014; 신은수, 유영의,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탐구영역과 관련한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을 분석하여 향후 한국의 영아와 유아를 연계한 자연탐구영역의 개정 방향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구글 사이트에서 접속 가능한 자료를 중심으로 검색한 결과, 미국에서 2003년 이후 개발되거나 최근 개정된 주를 중심으로 0~만 4/5세까지 연령이 연계되어 개발된 주 5개와 0~만2세, 만 3~4/5세로 연령이 분리되어 개발된 주 12개 모두 17개 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이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로 지적된 이유는 무엇인가? 한국은 OECD 회원국 중에서 교육과정의 질 관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국가로 지적(OECD,2012)된 바 있는데, 그 이유는 한국의 영유아교육과정이 유아교육과 보호를 위한 교육과정의 이원화 제도로 인한 문제점에 있다(신은수, 박은혜, 2012).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가 수준의 보편교육제도 측면에서 만 3-5세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2012)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공통으로 도입되고, 이후 2013년에는 0세~만 2세 보육과정(보건복지부, 2013)이 자연스럽게 개정되었지만, 교육과정의 개발은 여전히 이원화된 부서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만 3세 미만 영아교육과정은 유아교육과정의 연계성 측면에서 취약점을 지닐 수밖에 없다.
국제표준교육분류에 근거하여 유아 교육제도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국제표준교육분류(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2011 지침서에 의하면, ISCED 0단계(만3세 이만 01단계, 만 3세 이상 초등입학 이전 02단계)는 초등학교의 입학 준비와 학습 준비를 위한 명확한 교육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09, 2011). 즉, 국제표준교육분류에 근거한 유아교육제도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01단계와 02단계의 조건을 충족하는 유아교육과정이 구축되어야 한다.
미국이 1994년 국가 교육목표 2000을 발표한 결과는 어떠한가? 한편, 미국은 1994년 국가 교육목표 2000(National Goals 2000)을 발표한 이후, 학교의 책무성 강화를 통해 학생의 성취도를 높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학생이 배워야 할 교육 내용을 명확히 표현한 학습기준(learning standards)을 설정하였다(Kagan & Scott-Little, 2004; Scott-Little, Kagan, & Frelow, 2003).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는 유치원을 초등학교와 연계하여 K-8학년 혹은 12학년의 교육과정의 내용기준을 제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0~만 2세, 만 3~4세를 위한 학습내용 기준(learning content standard)인 조기학습기준(early learning standards)을 제시하여 유아원-유치원간 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김희진, 박은혜, 신은수, 이지현, 2010; Barnett, Carolan, Fitzgerald, & Squires,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3-5세 누리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김민진, 김창복, 김호 (2012). 2006년-2011년까지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503-523. 

  3. 김성원, 정영란, 우애자, 이현주 (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388-401. 

  4. 김은정, 유영의 (2013). 유치원교육과정의 자연탐구영역의 구성 및 내용의 변천. 유아교육학논집, 17(6), 167-190. 

  5. 김은정, 유영의, 신은수 (2014). 미국의 조기학습기준의 분석을 통한 영아와 유아를 연계한 유아교육과정의 방향 모색.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63-184. 

  6. 김진숙 (2006). 교육과정의 연계성 탐구: 유치원-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4(4), 83-108. 

  7. 김희진, 박은혜, 신은수, 이지현 (2010). 미래지향적 유치원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소고. 육아지원연구, 5(1), 105-128. 

  8. 박은혜 (2006).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 보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006년 정기학술대회자료집, 113-130. 

  9. 박은혜, 신은수 (2012).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 0)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16(2), 341-356. 

  10. 박찬옥, 이경하 (2006). 유치원과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논의. 유아교육학논집, 10(3), 149-172. 

  11. 보건복지부 (2013).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12. 신은수, 박은혜 (2012).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6(3), 71-91. 

  13. 신은수, 유영의 (2006). 유아교육 학제 선진화방향 모색: 2000년 이후 미국의 K-grade 체제 반성과 Pre-Kindergarten 체제 구축 과정.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4), 257-288. 

  14. 유영의, 김은정 (2013).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의 과학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3(4), 241-265. 

  15. 이정희 (2003).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따른 우리나라 유아 수학교육 내용의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9(3), 351-369. 

  16. 정미라, 박은혜, 신은수, 권정윤 (2007). 영유아기 핵심역량 표준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7. 정선아 (2014).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 실행의 관점에 관한 연구: OECD 6개국의 국가수준 영유아보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147-164. 

  18. 조부경, 곽향림, 이정욱 (2007). 교육부 교시 제7차 유치원교육과정 탐구생활영역 시안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7(1), 167-198. 

  19. 지성애, 정대현, 이승임, 조은정, 박유영, 홍현이 (2007).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07-222. 

  20. 채윤정 (2009).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과학교육 연계성 변천.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황윤세, 강현석, 유제순 (2006).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탐구생활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26(3), 33-57. 

  22. Barnett, W. S., Epstein, D. J., Carolan, M. E., Fitzgerald, J., Squires, J. H. (2012). The state of preschool 2012: State preschool yearbook. The National Institute for Early Education Research. 

  23. Fullan, M. (2003). Change forces with a vengeance. New York: Routledge Falmer Press. 

  24. Heckman, J. J. (2006). Skill formation and the economics of investing in disadvantaged children. Science, 312, 1900-1902. 

  25. Kagan, S., & Scott-Little, C. (2004). Early learning standards: Changing the parlance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 Delta Kappan, 85(5), 388-396. 

  26. OECD (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27. OECD (2012). Starting strong III: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28. Scotte-Little, C., Kagan, S. L., & Frelow, V. (2003). Creating the conditions for success with early learning standards: Results from a national study of state-level standards for children's learning prior to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5(2). 

  29. Scott-Little, C., Lesko, J., Martella, J., & Milburn, P. (2007). Early learning standards: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to document trends in state-level policies and practice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9(1). 

  30.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09). Review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ISCED 97): Proposal on the revision of ISCED 0 and early childhood and education programmes. Montreal, Canada: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31.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011).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Montreal, Canada: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