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243 - 264  

나정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경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희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40명을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나누었다. 연구도구는 안현정(2011)의 과학관련태도 검사도구와 Samarapungavan 외(2009)가 유아용으로 개발한 과학과정기술이해 측정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에는 7주 동안 매주 3회기씩, 총 21회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1회기 1차시에서는 동요를 배우고 과학적 질문 찾기를 하며 2차시에서는 과학적 탐구 활동을 하였고, 3차시에서는 과학활동을 활용한 동요개사 활동을 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기간 동요배우기, 과학활동, 음률활동을 독립된 활동으로 실시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및 과학과정기술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motivated through children's songs on young children's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processing. skills.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40 children aged five, among them 20 children being assigned into 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른 사람과 아이디어나 발견물을 공유하거나 토론함으로써 소통하는 것은 주요한 과학활동 중 하나로 유아들은 동요 개사하기를 통해 과학활동의 과정이나 결과물을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Jones, Lake, & Lin, 200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를 사용하여 유아들에게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하고 과학적 질문을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가 주도적인 탐구적 과학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이러한 과학활동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나 정보를 동요개사로 표상해봄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발견물을 공유하고 과학적 개념을 내면화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동요 부르기를 통합하여 접근하는 교육활동이 유아들이 분리된 지식을 하나하나 배워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보다 다양한 활동의 경험 속에서 더 잘 이해가 되므로(정진원, 2008)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일상적으로 유아들에게 제공하는 동요 부르기와 과학활동을 통합한 교수 활동을 개발하고 이 교수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과학과정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즐겨 부르는 동요를 사용하여 유아들에게 과학적 호기심을 유발하고 과학적 질문을 제기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아가 주도적인 탐구적 과학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이러한 과학활동을 통해 알게 된 사실이나 정보를 동요개사로 표상해봄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발견물을 공유하고 과학적 개념을 내면화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동요 부르기를 통합하여 접근하는 교육활동이 유아들이 분리된 지식을 하나하나 배워서 이해하고 학습하는 것보다 다양한 활동의 경험 속에서 더 잘 이해가 되므로(정진원, 2008)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일상적으로 유아들에게 제공하는 동요 부르기와 과학활동을 통합한 교수 활동을 개발하고 이 교수활동이 유아의 과학관련태도, 과학과정기술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요 속에 나오는‘식물·자연물’을 가지고 관찰, 예측, 분류, 측정, 토의를 하는 과학활동을 실시하였다.
  • 특히, 송주연(2012)은 음악을 활용해 노래 가사를 바꾸어 불러보는 과학 시간은 과학을 어려운 과목이라는 편견에서 벗어나게 해 주었고, 과학을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 결국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증진에 효과적임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과학적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요를 동기화한 과학활동을 통해 경험한 것을 브레인스토밍하여 동요개사 활동을 통해 보다 체계적으로 내면화하여 표상하였다. 이와 같은 과학활동이 유아의‘과학적 태도’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과 예술(음악, 미술, 문학, 체육)을 통합한 활동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이유는? 유아과학 분야에서는 미국의 과학진흥위원회(AAAS, 1989)가 Project 2061을 통해 과학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통합적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유아음악 분야에서도 유아들에게 음악적 개념 학습에 있어서 단순한 지식 전달 형태의 의미 없는 학습보다는 다양한 활동의 경험 속에서 더 잘 학습하기 때문에 음악 외적 차원의 통합(음악과 다른 교과영역간의 통합)이 중요하다(정진원, 2008)고하였다. 또한 Harlan(2003)은 과학활동이 여러 영역과 통합되어 진행될 때 과학교육의 의미가 되살아나며 과학적 태도의 증진과 과학 개념의 획득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밝혔다. 안지영(2013)은 예술과 과학은 감각능력을 발달시키고, 구성적인 사고능력을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서로 연관되어 있어서 직관적 사고와 합리적 사고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함양할수 있도록 도와주어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처럼 여러 학자들에 의해 과학과 예술(음악, 미술, 문학, 체육)을 통합한 활동이 유아들의 과학학습에 효과적임이 반복적으로 제안되고 있다.
과학적 태도를 정의하면? TIMSS 연구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자신감이나 과학에 대한 가치 인식 정도는 우리 나라 학생들의 38%만 과학학습이 즐거운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국제 수준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설, 2006;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과학관련태도 중‘과학적 태도’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과학과 관련된 활동에 참여하려는 성향으로 과학과 관련된 구체적 대상에 대해 인지적·감정적·행동적 평가 반응이 나타나게 하는 학습된 정신적 경향성(tending)이며 어떤 개인의 과학에 대한 느낌이나 기호(preference)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채정연, 2003). 과학관련태도는 타고난 자질이 있는 유아에게만 기대되어지는 것이 아니며 교사가 어떤 환경과 경험을 제공해주는 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Martin, 2003).
융합인재교육은 무엇이 융합된 것인가?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에서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높은 수준의 창의성과 인성을 고루 갖춘 합리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이 융합된 융합인재교육(STEAM)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년 업무보고에서는 미래 사회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될 융합적인 과학기술인재 육성을 위해 초·중등학교에서 STEAM 교육을 강화한다고 발표하였다(권난주, 안재홍,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교육과정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2011 업무보고-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종일제 특성화 과학프로그램: 재미팡팡 코코과학. 부산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10권 환경과 생활. 

  5. 교육과학기술부 (2013).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제11권 봄.여름.가을.겨울.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과학기술부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7.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 (2006). 초.중등학교 과학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8. 권난주, 안재홍 (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78. 

  9. 권수미 (2012). 예술중심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 음악교육연구, 41(2), 67-100. 

  10. 김남연 (2012). 미술과 통합한 유아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남연, 김명정 (2013). 예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7(3), 107-130. 

  12. 김남연, 조형숙 (2012). 미술과 통합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6(6), 73-101. 

  13. 김미경 (2003). 과학적 사고발달을 위한 영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14. 김선아 (2012). 동화를 활용한 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선아, 조형숙 (2013).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과 과학적 태도및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1), 107-136. 

  16. 김정현 (2010). 구성주의에 기초한 과학 미술 통합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정화, 조부경 (2001). 과학, 과학자 및 과학활동에 대한 유아의 인식. 아동학회지, 22(1), 177-190. 

  18. 김헤라, 채진영 (2014). 보육교사의 과학교육지식 및 과학에 대한 태도가 과학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69-84. 

  19. 김현아, 김경숙 (2013). 자연물을 활용한 과학.미술 통합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생애학회지, 3(1), 29-43. 

  20. 김효난,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1. 김희영, 김경숙 (2013). 유아의 과학학습동기, 과학과정기술, 생명과학개념 간의 관계 및 상호영향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76, 73-92. 

  22. 김혜경 (2006). 유아음악교육. 서울: 창지사. 

  23. 마송희 (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24. 문지영, 송주연, 김성원 (2012).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예술 통합 활동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90-902. 

  25.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26. 박은선 (2010). 과학연극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송원경, 박진희, 전주영 (2010).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95-114. 

  28. 송주연 (2012). 과학-예술통합 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활용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안경숙, 김소향 (2011). 영유아 수.과학교육. 경기: 양성원. 

  30. 안지영 (2013). 예술적 경험을 통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안현정 (2011). 유아의 흥미를 반영한 과학영역 구성이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오정희, 권정희 (2006). 유아음악교육. 경기: 창지사. 

  33. 이경민 (2000). 상호작용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윤여애 (2000). Kodaly 교수법을 활용한 유아음악 지도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윤혜경 (2003). 집단크기에 따른 동요개사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정화, 한희승 (2010). 악기를 활용한 음악.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1), 283-298. 

  37. 임부연, 손은경, 김성숙 (2011). 예술적 접근을 통한 유아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반응에 대한 질적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183-212. 

  38. 정신애, 권난주 (2008).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과학 동시를 활용하는 전략의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14-822. 

  39. 정진원 (2008). 통합교과적 접근에 대한 이해와 음악지도에서의 의미 탐색. 음악교육연구, 33, 139-169. 

  40. 조형숙, 김선월, 김민정 (2009). 유아의 과학적 질문에 기초한 자연탐구활동이 과학적 탐구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5), 213-236. 

  41. 지옥정, 이상현, 연숙자 (2006). 유아를 위한 자연친화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42. 채영란, 신수경 (2008). 그리기를 활용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과학지, 17(4), 601-608. 

  43. 한국어린이육영회 (1995). 음률활동자료집I. 서울: 사단법인 한국어린이육영회. 

  44. 한희승 (2010). 소리를 매개로 한 음악.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환경부 (2006).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5세. 경기: 환경부. 

  46. 황의명, 조형숙 (2001). 탐구력 증진을 위한 유아 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47. AAAS(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Author. 

  48. Harlan, J. D., & Rivkin, M. (2003). 유아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서울: 창지사. 

  49. Jones, I., Lake, V., & Lin, M. (2007). Early childhood science process skills: Social and developmental consideration. In O. N. Saracho & B. Spodek (Eds.), Contemporary perspectiv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50. Lind, K. K. (2005).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Y: Thomson Delmar Learning. 

  51.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ew York: Delmar. 

  52. Martin, D. J. (2003).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CA: Wadsworth, Thomson Learning. 

  53. Rogers, G. L. (2004). Interdisciplinary lesson in musical acoustic: The Science-math-music connection. Music Educators Journal, 91(1), 25-30. 

  54. Samarapungavan, A., Mantzicopoulos, P., Patrick, H., & French, B. (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ience Learning Assessment(SLA). A measure of kindergarten science learni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3), 502-5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