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and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3, 2014년, pp.137 - 158  

김경숙 (전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희영 (세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관련문헌과 검사도구를 분석하고 유아교육전문가 및 과학교육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아가 습득해야 할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5개 범주를 선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를 측정하는 문항을 개발하여 유아검사와 전문가 조사를 통해 문항구성의 적합도와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관찰하기 이해 3문항, 분류하기 이해 4문항, 예측하기 이해 4문항, 측정하기 이해 5문항, 토의하기 이해 3문항, 총 19문항이 개발되었다. 최종 개발된 19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한 결과, 문항난이도, 문항변별도, 문항 내적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이었으며 공인타당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개발된 검사도구를 만3, 4, 5세 유아 300명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 정도가 만5세, 4세, 3세 순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남녀 유아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는 문항양호도,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 to assess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science inquiry skills. For the purposes of the study,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and evaluation tools related to young children's science inquiry skills, five categories of understanding science inqu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검사자나 평가자의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고자 하였으며 검사방법이 용이하고 객관적인 평가방식으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를 3, 4, 5세 남녀 유아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유아의 연령에 성별에 따른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차이를 변별해 낼 수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은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의 타당화와 적용으로 구분되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포괄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포괄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가 3, 4, 5세 남녀 유아들에게 실시하여 이 도구가 유아의 연령에 성에 따른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차이를 구별해낼 수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만3~5세 유아 총 300명에게 검사를 실하여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연령에 따른 차이와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 둘째, 본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를 만3~5세 유아 300명에게 실시하여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과학적 탐구기술의 이해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5세 유아들이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정도가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가 과학적 탐구기술의 이해수준에서의 연령 간 차이를 변별해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연령의 유아들이 탐구중심의 과학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더 많이 가지며 주변 환경으로부터 더 많은 관련 경험과 인지적인 자극을 받음으로써 과학적 탐구기술의 수행 뿐 아니라 탐구과정에 대한 개념적 이해 수준도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의 범주는 학자(김은정, 2002; 서윤희, 2003; 안경숙, 2003; 유경숙, 1999; 이경민, 2000; 차명애, 2011; Althouse, 1988; Harlan & Rivkin, 2000; Lind, 2000; Martin, 2001; Rezba, Sprague, Fiel & Funk, 1995; Samarapungavan, Mantzicopoulos, Patrick & French, 2009; Seefeldt, Galper, & Jones, 2011)마다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으나 모든 학자들은 공통적으로 유아기 과학학습에 필수적인 과학적 탐구기술로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예측하기를 제안하고 있다(안경숙,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다양한 과학적 탐구 과정을 경험함으로써 여러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제안하고 있는 5가지 주요 탐구기술의 수행 능력뿐 아니라 이들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와 개념적 지식의 습득도 주요한 과학적 소양의 일부로 간주하여 유아의 관찰하기 이해 기술, 분류하기 이해 기술, 측정하기 이해 기술, 토의하기 이해 기술, 예측하기 이해 기술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평가는 유아과학교육 평가에 있어 중요한 구성요인(National Research Council, 1991)로 지금까지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의 수행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는 국·내외적으로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유아가 습득해야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는 국내에서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를 평가할 수 있는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Gelman과 Kremer(1991)도 평가방법의 차이로 인하여 유아의 과학적 탐구 능력의 정도가 연구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기술에 대한 이해정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검사자나 평가자의 주관성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방법을 채택하고자 하였으며 검사방법이 용이하고 객관적인 평가방식으로 구성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를 3, 4, 5세 남녀 유아들에게 실시함으로써 이 도구가 유아의 연령에 성별에 따른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의 차이를 변별해 낼 수 있는지도 검증하고자 하였다.
  • 최종 개발된 유아 과학적 탐구기술 이해 검사의 문항 준거 및 문항의 예는 에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학교육협회는 유아들이 활발하게 과학적 탐구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과학적 탐구기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과학적 탐구과정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한편 미국과학교육협회(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6)는 유아들이 활발하게 과학적 탐구과정에 참여함으로써 과학적 탐구기술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과학적 탐구과정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이는 유아들이 주변 사물이나 사물의 작동원리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관찰하기 이해가 필요하며 이 때 단순히 감각을 활용하여 관찰하는 것보다 확대경, 자, 저울과 같은 도구들을 활용하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함을 말한다. 또한 유아는 다른 사람과 과학적 탐구과정에나 새롭게 알게 된 것에 대해 토의하고 의사소통함으로써 그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언어적, 비언어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과 그들이 발견한 것을 공유하고 비교해 볼 때 다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는 것도 배우게 됨을 의미한다.
오늘날 국가 경쟁력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오늘날 국가 경쟁력은 그 나라 과학의 발전에 의해 결정되므로 각 나라마다 과학발전을 향한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중·고등 교육은 물론 유아교육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과학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해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과학은 자연세계를 발견하는 탐구과정이며, 탐구과정을 통하여 지식과 가치체계가 얻어지는 것으로(Abruscato, 2000; Martin, 1997) 유아기에 경험하는 과학적 탐구과정은 유아가 자연세계나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고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과학은 무엇인가? 오늘날 국가 경쟁력은 그 나라 과학의 발전에 의해 결정되므로 각 나라마다 과학발전을 향한 연구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중·고등 교육은 물론 유아교육까지 범위를 확대하여 과학교육을 진흥시키기 위해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과학은 자연세계를 발견하는 탐구과정이며, 탐구과정을 통하여 지식과 가치체계가 얻어지는 것으로(Abruscato, 2000; Martin, 1997) 유아기에 경험하는 과학적 탐구과정은 유아가 자연세계나 일상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해결하고 과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즉, 과학적 탐구기술을 이용하는 능력은 과학의 핵심 과정으로 유아들이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뿐 아니라 과학적 사고기술을 생활 전반에 적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유능한 생활을 하도록 이끌므로 유아들에게 필수적인 능력이다(Martin.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교육과학기술부(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12). 유치원 누리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3. 강병서, 김계수(2005). 사회과학 통계분석. 서울: SPSS아카데미 

  4.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5. 권영례(2000).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6. 김경미, 김현주, 송연숙(2012).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7. 김미경(2004). 유아과학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8. 김민정(2003). '물에 뜨고 가라앉는 것' 활동에서 나타난 유아의 과학적 탐구경험과 개념.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은정(2002). 탐구적 과학교수-학습법이 소리에 대한 유아의 개념형성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윤희(2002). 포트폴리오 구성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진주(2010). 채소 기르기 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과학관련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남기원(2001). 실험구성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민순영(2003). 유아 과학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영유아보육연구, 9, 1-23 . 

  14. 맹애영(2004). 생물 관찰활동에서의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과학과정 기술의 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나경(2004). '개구리' 주제에 관한 유아의 탐구능력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서윤희(2003).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과학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성은지, 이문옥(2008).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증진을 위한 통합적 생물기르기 활동. 교육연구, 44, 55-185. 

  18. 신은수, 안경숙, 김은정, 안부금 공저(2009). 생활과학 환경중심의 영유아 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19. 안경숙(2003). 유아 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 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유경숙(1999). 구성주의에 기초한 밀가루점토활동 구성방식에 따른 유아의 과학적 개념, 과정 기술 및 태도의 차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경민(2000). 상호작용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경우, 이정환(1992).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3. 이민정, 이연승, 전지형, 강민정, 이해정, 김정희, 전윤숙, 박주연 공저(2012). 유아과학교육: 실험중심 탐구활동. 서울: 공동체. 

  24. 조부경, 고영미, 남옥자 공저(2010).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25.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26. 차명애(2011). 플로러닝에 따른 자연친화교육 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 과학적 탐구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추정희(2000). 유치원 과학활동에서 포트폴리오 평가활동의 적용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한유미(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29. Abruscato, J.(2000). Teaching children science(5th ed.). Needham Height, MA: Allyn & Bacon. 

  30. Althouse, R.(1998). Investing sscience with young children. N.Y.:Teacher College press. 

  31. Bowers, A.(1995). Portfolios for assessment and instrution. Greensboro. NC: ERIC Clearinghouse on Counseling and Student Services. 

  32. Gelman, R., Brenneman, K., MacDonald, G., & Roman, M.(2010). Preschool pathways to science.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Inc. 

  33. Gelman, S. A., & Kremer, K. E.,(1991). Understanding natural cause: Children's explanation of how objects and their properties originate. Child Development, 62, 396-414. 

  34. Goodwin, W. L., & Goodwin, L. D.(1997). Using standardized measures for evaluating young children's learning(pp,92-137) In B. Spodek & O. N. Saracho.(Eds). Years book in early chhildhood education vlo 7.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 Gullo, D. F.(1997). Assessing student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pupil products. In B. Spodek & O. Saracho(Eds.),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ssessment and evaluation. (pp129-14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Harlen, W. (1983). Process skills, concept, and Nation Assessment in science.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3, 245-254. 

  37. Harlan, J. D.(2005). Science Expioring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38. Harlan, J. D. & Rivkin, M.(2003). 유아과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진명남, 이혜주, 정정희 (역). 서울: 창지사. 

  39. Lind, K. K. (2000). Expi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3rd Ed). Albany, NY: Thomson Demar Learning. 

  40. Martin, D. J.(1997). Elementary science methods : A constructivist approach. New York: Delmar. 

  41. Martin, D. J.(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ew York: Delmar. 

  42. Martin, D. J.(2003).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tivist approach. C. A.,: Wadsworth, Thomson Learning. 

  43. Martin, D. J.(1997). 초등과학교육 : 성주의적 접근. 임청환.권성기.송명섭.송남희(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44. Mindes, G.(2003). Assessing young children(2nd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Prentice-Hall. 

  45.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Improving insturction and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ummary of workshop seri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6.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7. McGrew, K. S., & Woodcock, R. W.(2001). Technical manual: Woodcock-Johnson III. ltasca, IL; Riverside. 

  48. Ostlund, K, L.,(1992). Science process skills: Assessing hands-on student performance. Boston. MA: Addison-Wesley. 

  49. Rezba, R. J., Sprague, C., Fiel, R., & Funk, h. j.(1995). Learning and assessing science process skills. Dubuque, Iowa: Kendall/ Hunt Publishing Company. 

  50. Ruiz-Primo, M., & Shavelson, R., Hamilton, L., & Klein, S.(2002). On Evaluation of Systemic Science Education Reform: Searching for Instructional Sensitivity Journal. 

  51. Samarapungavan, A., Mantzicopoulos, P., Patrick, H., & French, B.(2009).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cience learning assessment(SLA): A measure of kindergarten science learniung.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20(3), 502-535. 

  52. Seefeldt, C., Galper, A., & Jones, I.(2011). Active experiences for active children science(3rd Ed). NJ.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5), 369-393. 

  53. Smith. A.(2000). Relective portfolios: Preschool possibilities. Childhood Education. 76(4), 204-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