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태풍강우 추출기법 비교 평가
Comparative Assessment of a Method for Extraction of TC-induced Rainfall Affecting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12, 2014년, pp.1187 - 1198  

손찬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권현한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종석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돌풍 및 강우를 동반하여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상당한 인적 및 물질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이에 대한 수방대책 및 치수정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고려한 태풍강우량 추출기법을 제안하고 과거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태풍강우 추출기법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태풍규모를 결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평균 태풍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산정결과 태풍 규모가 반경 700 km일때 평균 태풍강우량이 최대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이용한 태풍강우량 추출기법은 과거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강우량 추출기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역별, 행정구역별로 태풍이 야기한 직접적인 강우를 추출할 수 있으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태풍강우의 과대 및 과소평가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태풍과 집중호우의 특성분석과 기상인자를 활용한 강우예측, 수공구조물 설계, 산사태, 토석류에 대한 사전 대비책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ong winds and heavy rainfall from tropical cyclones (TCs) that occur in the Northwestern Pacific cause significant human and material damag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East Asia. He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arly warning systems and conduct preparedness activities in advance of a TC.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활동 및 규모를 고려하여 한반도에 유발한 태풍강우량을 추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고 과거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 기반의 태풍강우 추출기법과 비교하였으며, 수직통합수분플럭스(vertically integrated moisture flux)를 분석하여 태풍강우를 검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태풍강우 추출기법은 향후,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통한 지역별 호우특성을 고려한 수방대책 및 정책수립, 과거 발생한 태풍 및 태풍 강우에 국한된 복구적인 수방대책이 아닌 예측관점에서 수재해의 사전 대비 및 대응대책 수립 등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영향 태풍의 직접적인 태풍 강우량을 추출하고자 여름철태풍(June-September, JJAS) 을 중심으로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이 아닌 태풍의 공간적인 규모를 설정하고 태풍으로 인한 강우량을 추출하였으며, 이를기존의태풍감시구역을이용하는기법과비교하고 수직통합수분플럭스(vertically integrated moisture flux, VIMF: 1000mb-850mb)를 이용하여 태풍강우 추출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통합수분플럭스를 계산하기 위해서 NOAA에서 제공하는 2.
  • 본 연구는 태풍의 규모를 이용하여 한반도에 유발된 태풍강우량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실무 및 연구자들이 쉽게 활용하고 일관성 있는 태풍강우량 추출을 가능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호우원인에 따른 한반도 강우의 변동성 및 경향성 등과 같은 강우특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공구조물 설계, 호우원인에 따른 비정상성 빈도해석과 호우원인별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분석 등을 통해 향후, 미래 극치수문사상에 대한 대응방안 수립 및 치수정책 등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서북태평양에서 발생한 여름철 태풍을 대상으로 태풍규모와 태풍경로를 고려한 태풍강우 추출 기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120°~138°E, 32°~40°N)을 이용하여 추출한 태풍강우를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본연구에서는 일관성 있는 태풍강우량추출을위한 태풍의 영향범위를 결정하고자 설정된 태풍범위별 태풍강우량과 태풍 수의 비율을 통해 평균 태풍강우량을 산정하였다(Eq. (4)).
  • 는 각 강우관측소에 영향을 미친 태풍의 수, n 은 한반도의 강우관측소의 수를 의미한다. 평균 태풍강우량을 산정하여 태풍의 영향범위를 결정하고자 한 것은 집중호우나 동시간에 상륙한 태풍에 의한 강우와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태풍이 포함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관된 태풍강우량을 추출하고자 함이다. 다시 말해 평균 태풍강우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산정된 것은 태풍의 영향범위를 과소추정함에 따라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시간이 짧아져 태풍이 유발한 태풍강우량의 최대치 및 총량을 추출하지 못했거나 태풍의 영향범위를 과다추정함에 따라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미친 시간이 길어져 태풍강우량의 최대치 및 총량을 추출하였으나 한반도에 미미한 영향을 주었거나 영향이 없는 태풍이 포함된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에 대한 수방대책 및 치수정책 수립이 시급한 이유는? 서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태풍은 돌풍 및 강우를 동반하여 한반도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상당한 인적 및 물질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이에 대한 수방대책 및 치수정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고려한 태풍강우량 추출기법을 제안하고 과거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태풍강우 추출기법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필리핀에 태풍 하이옌이 상륙함에 따른 피해는 어떻게 되는가? , 2013). 또한, 최근 2013년 11월에 발생한 태풍등급을 넘어서는 강력한 태풍 하이옌이 필리핀에 상륙하면서 사망자 6,100여명, 실종자약1,780명, 100만가구의피해가발생하였다. 이처럼서북태평양에서발생하는태풍은동아시아지역에막대한손실을초래하는재해로이에대한관심과대비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Choi et al.
여름철 태풍을 대상으로 태풍규모와 태풍경로를 고려한 태풍강우 추출 기법과 기존의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하여 추출한 태풍강우를 비교한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1) 서북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여름철 태풍(January- September, JJAS)을 대상으로 태풍의 규모별 평균 태풍강우량을 산정하였으며, 분석결과 태풍의 반경 700 km에서평균태풍강우량이 최대(1521.5mm/TC) 로 나타났다. 2) 태풍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클 경우,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하여 태풍강우를 추출하는 기법은 태풍 감시구역 내에 태풍의 중심이 통과하기 전·후에 유발한 태풍강우량을 추출하지 못하며 집중호우나 태풍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집중호우나 다른 태풍이 야기한 강우가 태풍강우로 간주될 수 있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태풍의 경로 및 규모를 고려하여 태풍강우를 추출 함에 따라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태풍강우 추출 기법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태풍강우를 크게 유발한 5개 태풍을 대상으로 태풍 강우 추출기법별 정량적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반도 태풍 감시구역을 이용한 태풍강우 추출기법은 상대적으로 태풍강우량을 과소 추정하는 반면, 태풍의 규모를 고려하여 태풍강우량을 추출하는 기법은 상대적으로 태풍강우량의 총량 및 최대치를 비교적잘 추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K.S., and Moon, I.J. (2012). "Influence of the Western Pacific teleconnection pattern on Western North Pacific tropical cyclone activity." Dynamics of Atmospheres and Oceans, Vol. 57, pp. 1-16. 

  2. Choi, K.S., Wu, C.C., and Cha, E.J. (2010). "Change of tropical cyclone activity by Pacific-Japan teleconnection pattern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15, D19114, doi:10.1029/2010JD013866. 

  3. Jain, S., and Lall, U. (2000). "Magnitude and timing of annual maximum floods: Trends and large-scale climatic associations for the Blacksmith Fork River, Utah."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6, No. 12, pp. 3641-3651. 

  4. Jain, S., and Lall, U. (2001). "Floods in a changing climate: Does the past represent the future?"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7, No. 12, pp. 3193-3205. 

  5. JMA(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4). www.jma.go.jp/jma/jma-eng/jma-center/rsmc-hp-pub-eg/trackarchives.html, accessed 16 June 2014. 

  6. Kim, J.S., and Jain, S. (2011). "Precipitation trends over the Korean peninsula: typhoon-induced changes and a typology for characterizing climate-related risk."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6, 034033, doi:10.1088/1748-9326/6/3/034033. 

  7. KMA(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96). "Typhoon white book." 

  8. KMA(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Typhoon white book." 

  9. Knutson, T.R., McBride, J.L., Chan, J., Emanuel, K., Holland, G., Landsea, C., Held, I., Kossin, J.P., Srivastava, A.K., and Sugi, M. (2010). "Tropical cyclones and climate change." Nature Geoscience, doi:10.1038/NGEO779. 

  10. Kwon, H.H., and Moon, Y.I. (2007). "Development of Statistical Seasonal Rainfall Model Considering Climate Information and Typhoon Characteristic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1B, pp. 45-52. 

  11. Lee, C.H., Ahn, J.H., and Kim, T.W. (2010). "Evaluation of Probability Rainfalls Estimated from Non-Stationar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3, No. 2, pp. 187-199. 

  12. Oh, J.H., Suh, K.D., and Kim, Y.O. (2011). "Trend Analyses of Intensity and Duration of Typhoons That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Past 60 Yea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2B, pp. 121-128. 

  13. Son, C.Y., Kim, J.S., Moon, Y.I., and Lee, J.H. (2013).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induced precipitation over the Korean River basins according to three evolution patterns of the Central-Pacific El Nino."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Risk Assessment, doi 10.1007/s00477-013-0804-0. 

  14. Stedinger, J.R., Vogel, R.M., and Foufoula-Georgious, E. (1993). "Handbook of Hydrology." D. Maidment(ed.), McGraw-Hill, Inc., New York, USA. 

  15. TRC(Typhoon Research Center) (2012). http://www.typhoon.or.kr/, accessed 1 April 2014. 

  16. Wu, L., Wang, B., and Geng, S. (2005). "Growing typhoon influence on east Asia."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2, L18703, doi:10.1029/2005GL022937. 

  17. Yoo, J.Y., So, B.J., Kim, T.W., and Kwon, H.H. (2012). "The Applicabilityy of Analysis Scheme for Spatio-Temporal Droughts Using Mass Moment Concep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 1069-10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