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쇠퇴특성에 따른 낙동강 유역의 태풍영향 분석
A Study on Typhoon Impac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ssociated with Decaying Phases of Central-Pacific El Niño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4 no.1, 2014년, pp.135 - 143  

김종석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손찬영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중앙태평양 지역의 비정상적인 해수면 온도변화를 3가지 진화패턴(Prolonged-decaying, Abrupt-decaying, Symmetric-decaying)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이에 따른 한반도 영향 태풍을 중심으로 태풍의 발생지점 및 경로, 중심기압의 특성변화와 낙동강유역의 태풍 강우량 및 중호우사상의 발생빈도에 대한 특성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Prolonged-decaying 해와 Symmetric-decaying 해의 경우, 낙동강 유역의 태풍에 의한 여름철 강우량 및 중호우사상의 발생빈도가 평년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Abrupt-decaying 해의 경우, 태풍강우는 대체로 감소하는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태풍의 발생지점이 비교적 한반도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태풍의 중심기압이 높고 태풍의 경로가 대체로 일본으로 이동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는 중앙태평양 엘니뇨의 진화패턴별 태풍활동특성 및 지역적 태풍강우 특성 분석을 통하여 침수피해를 저감하고 기후변화에 대비한 적응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lassified abnormal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s of the central pacific region according to three evolution patterns. Focusing on typhoons that affect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analyzed typhoon's occurrence spot and track, change in the central pressure characteristics,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가지 CP El Niño 진화패턴에 따라 여름철 태풍발생시기에 대한 북서태평양지역의 해수면 온도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태풍활동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많은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태풍 및 강우 특성을 분석하였다. 낙동강 유역은 총 22개의 중권역 유역으로 분류되며, 남한면적의 약 23.
  • 선행 연구에서는 중앙태평양 지역의 비정상적인 해수면온도의 상승을 Central Pacific (CP) El Niño, warm-pool (WP) El Niño, El Niño Modoki, Pseudo El Niño 등의 다양한 용어로 불리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용어의 통일성을 위하여 CP El Niño로 명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풍은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태풍은 해수면 온도가 26.5°C 이상의 광범위한 열대 해상에서 발생하며(Nolan et al., 2007), 한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주로 필리핀 동쪽이나 북서태평양 지역에서 생성되어 북태평양고 기압 기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중국을 거쳐 이동하거나 한국과 일본으로 직접 접근하게 된다(Ahrens, 2009).
El Niño패턴의 중심은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El Niño 패턴의 중심이 열대 동태평양에서 중앙태평양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Kug and Jin, 2009; Lee and McPhaden, 2010; Yu and Kim, 2010; Ren and Jin, 2011; Kim et al., 2012c).
3가지 CP El Niño 진화패턴에 대해 설명하시오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El Niño 진화패턴과 태풍강우의 지역적 변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가지 CP El Niño 진화패턴(Prolongeddecay, Abrupt-decay, Symmetric-decay)을 적용하였다. 첫 번째 Prolonged-decay패턴의 경우, 적도태평양 지역의 해수면온도가 12월에서 2월 사이에 최대에 도달한 후 쇠퇴하지만 동태평양지역의 비교적 따뜻한 해수와 만나 해수면온도의 쇠퇴가 느리게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Abrupt-decay패턴은 중앙대평양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다른 두 패턴에 비하여 비교적 빠르게 발달하다가 동태평양의 세력이 강한 차가운 해수를 만나 급격히 쇠퇴하는 경향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Symmetric-decay해의 해수면온도의 발달은 Prolongeddecay해보다는 빠르게 진행되고 Abrupt-decay해 보다는 느리게 진행되지만 해수면 온도의 발달 및 쇠퇴가 대칭적인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3가지 엘니뇨 진화패턴은 전지구의 기상 및 기후시스템에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Yu and Kim (2010)을 참조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hrens, C. D. (2007). Essentials of meteorology 5th 2 edition., Cengate learning, ISBN: 978-0-495-11477-2. 

  2. An, S. I. and Choi, J. (2012). "On the development of 2012 El Nino." Ato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2, No. 4, pp. 465-472 (in Korean). 

  3. Becker, R. A., Chambers, J. M. and Wilks, A. R. (1988). The New S Language: A programming environment for data analysis and graphics, Wadsworth & Brooks/Cole Advanced Books & Software Monterey, CA, USA. 

  4. Camargo, S. J. and Sobel, A. H. (2005). "Western north pacific tropical cyclone intensity and ENSO." J. Climate, Vol. 18, pp. 2996-3006. 

  5. Camargo, S. J., Robertson, A. W., Gaffney, S. J., Smyth, P. and Ghil, M. (2007). "Cluster analysis of typhoon tracks. Part II: Large-scale circulation and ENSO." J. Climate, Vol. 20, pp. 3654-3676. 

  6. Chen, T. C., Wang, S. Y. and Yen, M. C. (2006).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tropical cyclone activit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 Climate, Vol. 19, pp. 5709-5720. 

  7. Elsner, J. B., Kossin, J. P. and Jagger, T. H. (2008). "The increasing intensity of the strongest tropical cyclones." Nature, Vol. 455, pp. 92-95. 

  8. Emanuel, K. A. (2007).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ropical cyclone power dissipation." J. Climate, Vol. 20, pp. 5497-5509. 

  9. Feng, J., Chen, W., Tam, C. Y. and Zhou, W. (2011). "Different impacts of El Nino and El Nino modoki on china rainfall in the decaying phases." Int. J. Climatol., Vol. 31, pp. 2091-2101. 

  10. Gershunov, A., Barnett, T. B. and Cayan, D. R. (1999). "North pacific interdecadal oscillation seen as factor in ENSO-related north american climate anomalies Eos. transactio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80, No. 3, p. 25. 

  11. Gray, W. M. (1979). Hurricanes: Their formation, structure and likely role in the tropical circulation, in Meteorology Over the Tropical Oceans, edited by D. B. Shaw, R. Meteorol. Soc., London, pp. 155-218. 

  12. Ho, C. H., Kim, J. H, Kim, H. S., Sui, C. H. and Gong, D. Y. (2005). "Possible influence of the antarctic oscillation on tropical cyclone activity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J. Geophys. Res., Vol. 110, D19104, Doi: 10.1029/2005JD005766. 

  13. JMA (Japan Meteorological Agency) (2012). Available at: www. jma.go.jp/jma/jma-eng/jma-center/rsmc-hp-pub-eg/trackarchives. html (Accessed April 21, 2013). 

  14. Kao, H. Y. and Yu, J. Y. (2009). "Contrasting eastern-pacific and central-pacific types of ENSO." J. Climate, Vol. 22, pp. 615-632. 

  15. Kim, J. S. and Jain, S. (2011). "Precipitation trends over the Korean peninsula: Typhoon-induced changes and a typology for characterizing climate-related risk." Environ. Res. Lett., Vol. 6, 034033. 

  16. Kim, J. S., Li, R. C. Y. and Zhou, W. (2012a). "Effects of the pacific-japan teleconnection pattern on tropical cyclone activity and extreme ev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J. Geophys. Res., Vol. 117, D18109, Doi: 10.1029/2012JD017677. 

  17. Kim, J. S., Yoon, S. K. and Lee, J. H. (2012c). "Impacts of two types of el nino on hydrologic variability in annual maximum flow and low flow in the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10, pp. 969-981 (in Korean). 

  18. Kim, J. S., Zhou, W., Wang, X. and Jain, S. (2012b). "El Nino modoki and the summer precipitation variability over south korea: A diagnostic study." J. Meteor. Soc. Japan, Vol. 90, No. 5, pp. 673-684. 

  19. Kug, J. S., Ham, Y. G., Lee, J. Y. and Jin, F. F. (2012). "Improved simulation of two types of El Nino in CMIP5 models." Environ. Res. Lett., Vol. 7, Doi: 10.1088/1748-9326/7/3/034002. 

  20. Kug, J. S., Jin, F. F. and An, S. I. (2009). "Two types of El Nino events: Cold tongue El Nino and warm pool El Nino." J. Climate, Vol. 22, pp. 1499-1515. 

  21. Larkin N. K. and Harrison, D. E. (2005). "On the definition of El Nino and associated seasonal average U.S. weather anomalies." Geophys. Res. Lett., Vol. 32, L13705, Doi: 10.1029/2005GL022738. 

  22. Lee, T. and McPhaden, M. J. (2010). "Increasing intensity of El Nino in the central-equatorial pacific." Geophys. Res. Lett., Vol. 37, L14603, doi: 10.1029/2010GL044007. 

  23. Na, H. N., Jang, B. G., Choi, W. M. and Kim, K. Y. (2011). "Statistical simulations of the future 50-Year statistics of cold-tongue El Nino and warm-pool El Nino." Asia-Pacific J. Atmos. Sci., Vol. 47, No. 3, pp. 223-233. 

  24. Nolan, D. S., Rappin, E. D. and Emanuel, K. A. (2007). "Tropical cyclogenesis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parameters in radiativeconvection equilibrium." Q.J.R. Meteorol. Soc., Vol. 133, pp. 2085-2107. 

  25. Oh, J. H., Suh, K. D. and Kim, Y. O. (2011). "Trend analyses of intensity and duration of typhoons that influenc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past 60 Yea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2B, pp. 121-128 (in Korean). 

  26. Rayner N. A., Parker D. E., Horton E. B., Folland C. K., Alexander L. V., Rowell D. P., Kent E. C. and Kaplan A. (2003). "Global analyses of SST, sea ice and night marine air temperature since the late nineteenth century." J. Geophys. Res., Vol. 108, Doi: 10.1029/2002JD002670. 

  27. Ren, H. L. and Jin, F. F. (2011). "Nino indices for two types of ENSO." Geophys. Res. Lett., Vol. 38, L04704, Doi: 10.1029/2010GL046031. 

  28. Ripley, B. D. (1987) Stochastic simula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29. Rozynki, G, Hung, N. M. and Ostrowski, R. (2009). "Climate change related rise of extreme typhoon power and duration over South East Asia seas." Coastal Engineering Journal, Vol. 51, pp. 205-222. 

  30. Schonher, T. and Nicholson S. E.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california rainfall and ENSO events." J. Climate, Vol. 2, pp. 1258-1269. 

  31. TRC (Typhoon Research Center) (2012). Available at: http://www. typhoon. or.kr/ (Accessed April 18, 2013). 

  32. Tu, J. Y., Chou, C., Huang, P. and Huang, R. (2011). "An abrupt increase of intense typhoons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in early summer." Environ. Res. Lett., Vol. 6, Doi: 10.1088/1748-9326/ 6/3/034013. 

  33.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2). Available at: http://wamis.go.kr/eng/ (Accessed February 12, 2013). 

  34. Weng, H. W., Ashok, K., Behera, S. K., Rao, S. A. and Yamagata, T. (2007). "Impacts of recent El Nino modoki on dry/wet conditions in the pacific rim during boreal summer." Clim. Dyn., Doi: 10.1007/s00382-007-0234-0. 

  35. Yeh, S. W., Kirtman, B. P., Kug, J. S., Park, W. S. and Latif, M. (2011). "Natural variability of the central pacific El Nino event on multi-centennial timescales." Geophys. Res. Lett., Vol. 38, L02704, Doi: 10.1029/2010GL045886. 

  36. Yeh, S. W., Kug, J. S., Dewitte, B., Kwon, M. H., Kirtman, B. P. and Jin, F. F. (2009). "El Nino in a changing climate." Nature, Vol. 461, pp. 511-514. 

  37. Yoon, S. K., Kim, J. S. and Lee, J. H. (2013). "Hydrometeorological variability in the korean han river basin and its sub-watersheds during different El Nino phases." Stoch. Environ. Res. Risk Assess., Doi: 10.1007/s00477-012-0683-9. 

  38. Yu. J. Y. and Kim, S. T. (2010). "Three evolution patterns of central-pacific El Nino." Geophys. Res. Lett., Vol. 37, L087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