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사태 위험지도를 이용한 강원도 지자체의 피해규모 산정
An Evaluation of Damage Scale on the Local Governments in Gangwon-do using Landslide Risk Map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4, 2014년, pp.71 - 80  

양인태 (강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재국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  박건 (강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를 대상으로 산사태로 인한 피해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였으며, 도로, 건물, 산림 등의 피해규모를 지자체별로 산정하였다. 산사태를 예측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산사태 취약성도, 발생가능성도, 위험지도 제작기법을 정립하였다. 도로, 건물, 산림의 산사태 피해규모는 누적강우량 100mm, 200mm, 300mm 발생시 각각의 산사태 위험지도를 제작하여 지자체별로 산정하였다. 그 결과 100mm~200mm 미만 누적강우량 발생시 도로피해는 홍천군, 건물피해는 정선군, 산림피해는 홍천군 순으로 나타났으며, 200mm~300mm 미만 누적강우량 발생시 도로피해는 춘천시, 건물피해는 평창군, 산림피해는 홍천군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300mm 이상 누적강우량 발생시 홍천군의 경우 도로, 건물, 산림피해가 다른 지자체에 비해서 가장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이 지자체의 산사태 피해규모를 각각 산정함으로써 산사태 예방의 우선순위 결정뿐만 아니라 예산을 투입하는데 있어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edicted damage areas due to landslides in Gangwon Province and estimated the scale of damage to roads, buildings, and forests on the local government level. By using old research findings to predict landslides, the study established techniques to make maps for landslide vulnerabil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생가능성도는 취약성도에 외력(강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을 지도로 나타낸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사태 발생 시점의 누적강우량 정보를 획득하여 발생가능성도를 제작하는데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국가 및 지자체가 산사태 예방을 위한 예산투입 및 대책 마련 등의 의사결정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토양이 완전히 포화될 때 산사태가 일어난다는 가정하에 토양도의 토심과 토성별 최대함수비를 이용하여 강원도의 토양이 포화되는데 필요한 수분량을 계산하였다. 즉 토성별 최대함수비와 토심을 곱하여 토양이 포화되는데 필요한 수분량을 계산하였다.
  • , 2008).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산사태 위험지도 제작 기술을 활용하여 강원도의 누적강우량에 따른 산사태 발생가능성도를 제작하고, 강원도전체를 대상으로 지자체별 도로, 건물, 산림 등의 산사태 피해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함으로써 국가나 지자체에서 산사태 사전예방을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예산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의사결정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의 기준을 참고하여 100mm, 200mm와 본 연구에서 검토된 산사태 발생 확률이 매우 높은 300mm를 추가하여 누적강우량에 따른 산사태 발생기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주의보(100mm), 경보(200mm), 발생(300mm 이상) 기준에 따라 토양이 완전히 포화되는데 필요한 수분량을 각각 26, 33, 65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사태 발생시 피해규모가 매년 증가하는 이유는? 도시화로 인한 산림훼손과 인구밀도의 증가 그리고 경제발전을 통한 여가활동의 증가,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 현상 등으로 인해 산사태 발생시 피해규모는 매년 더욱 증가되고 있다. 즉,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산사태로 인한 피해는 더욱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산사태 예측관련 연구사례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기존의 산사태 예측관련 연구사례를 분석해 보면 GIS 기술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 평가와 계측기 또는 센서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방법 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즉 간접적인 방법과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 산사태를 예측할 수 있다.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산사태의 사전 예방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이에 산사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과 관심이 요구된다. 그러나 정부의 한정된 예산과 국민의 안전 불감증 등이 산사태발생의 사전예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K., 1989, Methodologies for landslide prediction and prevention efforts, Research Databases of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No. 27, pp. 1-3. 

  2. Ham, D. H. and Hwang, S. H., 2014, Review of landslide forecast standard suitability by analysing landslide-inducing rainfal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3, pp. 299-310. 

  3. Jeon, W. H., 2006, An assessment for effect of landslide on maximum Accumulated Rainfall using GIS, Master's Degree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4. Lee, M. G., 2011,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using frequency ratio and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the bukgun-dong area, Gyeongju, Korea, Master's Degree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 Park, J. K., Yang, I. T., Kim, T. H., Park, H. G., 2008, Extraction of landslide risk area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6, No. 1, pp. 27-39. 

  6. Pyo, S. I., 2005,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ap using remotely sensed data & GIS technic in Samcheok-city, Kangwon-do, Master's Degree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7. Quan, H. C., Lee, B. G., Lee, C. S., Ko, J. W., 2011, The landslide probability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in Jeju,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9, No. 3, pp. 33-40. 

  8. Yang, I. T., Chun, K. S., Park, J. K., Lee, S. Y., 2007,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5, No. 1, pp. 39-46. 

  9. Yang, I, T., Park, J. K., Jeon, W. H., Chun, K. S., 2007, An evaluation of landslide probability by maximum continuous rainfall in Gangwo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5, No. 4, pp. 11-20. 

  10. Yoo, N. J., and others, 2012,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3, No. 9, pp. 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