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분동적해석을 이용한 철골모멘트골조의 지진취약도 함수
Seismic Fragility Functions for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using Incremental Dynamic Analyse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7 no.6, 2014년, pp.509 - 516  

이승원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원호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적으로 지진취약도를 평가할 때 사용되는 해석방법 중 하나인 역량스펙트럼 방법은 증분동적해석에 비해 해석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증분동적해석이 가장 정확도가 높은 해석기법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증분동적해석을 이용한 지진취약도 곡선의 도출과정을 제안하였다. 타당성 비교를 위하여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제안된 방법으로 도출한 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여 두 해석기법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Slight damage와 Moderate damage의 경우 두 해석방법이 유사한 곡선 경향을 보이나 Extensive damage와 Complete damage의 경우에는 IDA방법에 의한 곡선이 더 가파른 경향을 보였다. 이는 구조물의 거동을 이상화하여 극한점 이후 구조물의 저항 강도가 떨어지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역량스펙트럼 방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cy of seismic response evaluated by a capacity spectrum method (CSM) is generally known to be less than that by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IDA). In this paper, a procedure for IDA based seismic fragility curves for steel moment resisting frames was suggested. This study compares seismic f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역량스펙트럼 방법에 비하여 정확도가 높은 해석기법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증분동적해석을 지진취약도 해석방법으로 사용하는 지진취약도 곡선 도출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진취약도 평가를 위한 예제 구조물로 철골모멘트골조를 선정하였으며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증분동적해석에 의한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여 각각의 해석방법에 따른 지진취약도 곡선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진취약도 곡선을 작성하기 위한 해석방법으로 증분동적해석을 이용하였고 해석결과로부터 지진취약도 곡선을 작성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기존의 역량스펙트럼 방법과 증분동적해석 방법으로부터 도출된 지진취약도 곡선을 비교하여 평가하였고 각 해석방법에 따른 취약도 곡선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증분동적해석의 경우 건물의 성능과 지반운동의 영향이 동시에 반영되어 IDA그래프 곡선 하나가 그려지므로 따로 역량곡선과 요구곡선을 정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산정방법에서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지반운동의 강도에 대한 최대층간변위비를 성능점으로 가정하고 Fig. 7와 같이 증분동적해석을 수행한 지진의 개수와 각 지진 해석에 사용되는 지반운동의 강도만큼 성능점이 생성된다고 판단하였다.
  • 기둥과 보의 해석모델은 부재 양단부에 소성힌지가 위치하며 중앙부는 탄성요소로 구성하였다. 소성힌지의 이력모델은 이선형 모델(Bi-linear)을 사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소성힌지 길이는(dc/2+db)로 가정하여 적용하였다. 여기서, dc는 기둥의 유효춤, db는 보의 유효 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취약도 함수를 이용하여 무엇을 산정할 수 있는가? 지진취약도 함수는 임의의 강도를 가진 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에 지진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지진취약도 함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다양한 손상 정도별 발생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지진취약도 함수에 관한 연구는 이미 1980년대부터 수행되었으며, 해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연구들이 증가해 오고 있다.
지진취약도 함수는 어떤 확률을 나타내는가? 지진취약도 함수는 임의의 강도를 가진 지진에 대하여 구조물에 지진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지진취약도 함수를 이용하여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다양한 손상 정도별 발생확률을 산정할 수 있다. 지진취약도 함수에 관한 연구는 이미 1980년대부터 수행되었으며, 해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연구들이 증가해 오고 있다.
지진취약도 함수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진취약도 함수에 관한 연구는 이미 1980년대부터 수행되었으며, 해석기술의 발전에 따라 관련 연구들이 증가해 오고 있다. Kircher 등(1997)은 HAZUS에 적용된 건축물의 구조형식, 재료 및 높이에 따른 분류 및 단자유도로의 이상화를 수행하고, 이를 기초로 스펙트럴 변위에 기반한 지진취약도 함수를 제안하였다. 국내에서도 5층의 철근콘크리트 모멘트골조를 대상으로 Latin Hypercube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지진취약도 곡선을 도출하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Park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SCE/SEI (2010)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 Carr, A.J. (2009) Ruaumoko Manual. User Manual for the 2-Dimensional Version : Ruaumoko 2D Vol.2, University of Canterbury, New Zealand. 

  3. Chopra, A.K. (2012) Dynamics of Structures: Theory and Applications to Earthquake Engineering, 4th Edi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USA. 

  4. FEMA (2003) HAZUS-MH MR4 Technical Manual, Multi-hazard Loss Estimation Methodology Earthquake Mode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p.712. 

  5. FEMA (2000) Prestandard and Commentary for the Seismic Rehabilitation of Buildings, FEMA 356,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p.518. 

  6. FEMA (2009) Quantification of Building Seismic Performance Factors:ATC-63 Project Report, FEMA P695,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p.421. 

  7. Kircher, C.A., Nassar, A.A., Kustu, O. (1997) Development of Building Damage Functions for Earthquake Loss Estimation, Earthquake Spectra, 13(4), pp.663-682. 

  8. Park, J.N., Choi, E.S. (2007) Fragility Analysis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 Structures, J. Earthquake Eng Soc. Korea, 11(3), pp.11-21. 

  9. Ramirez, O. M., Constantinou, M.C., Kircher, C.A., Whittaker, A.S., Johnson, M.W., Gomez, J.D., Chrysostomou, C.Z. (200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implified Procedures for Analysis and Design of Buildings with Passive Energy Dissipation Systems, Report No. MCEER 00-0010, Revision 1,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University at Buffalo,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uffalo, N.Y., USA. 

  10. Vamvatsikos, D., Cornell, C.A. (2002) Incremental Dynamic Analysis, Earthquake Eng.& Struct. Dyn., 31(3), pp.491-5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