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도서관의 공간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Usages of Academic Libraries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1 no.6, 2014년, pp.25 - 32  

안준석 (Department of Architecture, Kyongg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academic libraries are facing serious space shortage problems due to an inability to accommodate for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printed materials. Despite the current situation, Korean academic libraries have largely focused on im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new library paradigm,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집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의견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근원적 문제가 물리적 공간의 부족에 있음을 증명하려 하였다. 7개의 설문항목에 대한 결과는 최다 의견으로 공간 부족, 장서수장공간 부족, 도서관 공간 확보 건설 계획 없음, 서가 재배치 노력, 서고 공간 협소 등, 대학도서관의 공간 부족으로 인한 문제들을 드러내고 있다.
  • 본 논문은 대학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의 현황, 다시 말해 문제의 경중, 문제가 발생하는 공간의 종류, 각 도서관의 시설적 문제 해결 노력 여부 등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공간부족 문제의 발단과 도서관의 동맥 경화 현상을 치유할 실마리를 찾고자하는 것이 그 의도이다.
  • 본 문항에서는 도서관 가구 재배치의 빈도를 측정하여 해당 도서관의 공간계획이 안고 있는 문제와 공간 부족의 정도를 가늠해 보려하였다.
  • 본 설문 조사는 2011년에 행해진 설문3) 문항들과 동일한 내용으로 3년이 경과된 시점에서의 대학도서관 공간 최신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전국의 국공립대학교 도서관 48개, 사립대학교 도서관 121개 등, 총 169개 4년제 대학도서관 소속 사서들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20일부터 4월19일까지 1개월간 이메일을 통하여 설문의 개요와 설문지가 업로드 되어있는 링크를 배포한 후,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를 통해 결과를 회수 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시설에서 공간부족 문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의 대학도서관 현장에서 실무에 종사 중인 4년제 대학도서관 소속 사서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 회수 하는 방식으로 의견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내용은 설문 응답자가 재직 중인 대학도서관이 당면하고 있는 공간 문제와 원인, 해당 대학의 도서관 시설 확충 계획 및 시설 확충으로 얻어지는 효과, 도서관 가구 재배치의 빈도와 이유, 협소하다 느끼는 공간 등에 대한 질문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이 처한 공간부족 문제에 관한 심층적 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 예산의 지원이 가장 시급한 시설 항목을 추출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대학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는 기정사실이지만 그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는 일은 대학도서관을 가장 잘 이해하고 실무적 경험이 풍부한 사서들의 의견을 통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2000)가 대학도서관의 구성 공간 필요 정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있으며 그나마 도서관 시설에 요구되는 공간의 종류의 정성적평가를 행한 사례로 평가 할 수 있다. 본고는 대학도서관의 공간 사용 실태 분석을 통해 가장 시급히 요구되는 부족 공간을 파악하여 새로운 도서관 신축, 혹은 개축 시의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실용적 의미를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도서관이 제대로 학문의 산실 역할을 못하는 근원적인 문제는? 국내 대학도서관들은 예산부족으로 인한 장서의 구입량 및 폐기량의 문제 뿐 아니라 적은 예산으로는 해결에 엄두도 내지 못하는 최소 필요 공간 확보의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학 도서관이 제대로 학문의 산실 역할을 못하는 근원적인 문제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장서 증가량 정도도 수용 불가능한, 매우 저조한 공간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필요한 장서의 수장 공간이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과 이용자의 증가를 수용하는 것은 불가능한, 심각한 상태에 처해있다.
국내 대학도서관이 안고 있는 문제는? 그러나 대학도서관이 현제 처한 문제는 단순한 출판자료 소장량의 부족과 예산 결핍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은 예산부족으로 인한 장서의 구입량 및 폐기량의 문제 뿐 아니라 적은 예산으로는 해결에 엄두도 내지 못하는 최소 필요 공간 확보의 문제를 안고 있다. 대학 도서관이 제대로 학문의 산실 역할을 못하는 근원적인 문제는 선진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장서 증가량 정도도 수용 불가능한, 매우 저조한 공간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대학의 심장으로 일컫는 대학도서관의 국내 현황은? 주요 지표 향상을 위해 집중된 지원으로 대학의 심장으로 일컫는 대학도서관은 지원의 중심에서 밀려난 지 오래다. 국내 상위권 대학 6곳의 자료구입비가 미국 하버드대학 하나에도 미치지 못하고, 예산의 5%가 도서관에 투자되는 미국 대학 평균에 비해 1%미만의 예산투자에 그치며, 예산의 50% 이상이 전자 학술자료 구입에 소요되는 한국 대학도서관의 현실에 도서관학계와 문화계는 우려를 표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Wonkun Paek, "Are the Academic Libraries Heart of Academy?", The Hankoreh, 2013.09.15.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03561.html 

  2. Joosuk Ahn, Korean Academic Librarians' Recognition of the High Density Book Storage System, Journal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Planning Research, Vol.1 No.4, December 9, 2013 

  3. Joonsuk Ahn, "Space Efficiency Improvement Plan for Academic Library Storage: Focusing on High-Density Storage Facilities" Ph.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011 

  4. Hye-Ran Suh, Sun-Ae Kim, Eun-yong Kang,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Library Space Management, Vol.19, No.1, 2008 

  5. Moon Eun Mi, A Study on Space Design and Space Uses of Community Based Small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Cases of Ann Arbor District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19 No.5, 2010.10 

  6. John M. Budd, The Changing Academic Library: Operations, Culture, Environments, ACRL Publications in Librarianship, 2005 

  7. William D. Smith, Jr., Space Properties in Academic Law Libraries, M.S. Thesi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pril, 2000 

  8. Rick Amrhein and Donna Resetar, Maximizing Library Storage with High-Tech Robotic Shelving, Computers in Library, Vol. 24, No.10, 2004 

  9. Keyes D. Metcalf, Spatial Problems in University Libraries, Availability of Library Research Methods, 1954 

  10. Lizanne Payne, Library Storage Facilities and the Future of Print Collections in North America, Dublin, Ohio, OCLA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Inc. 2007 

  11. Scott Seaman, High-Density Off-Site Storage: Document Delivery and Academic Library Research Collections, Journal of Interlibrary Loan, Document Delivery and Information Supply, Vol.13(3) 2003, p.92 

  12. Sarah Elizabeth Kirsch,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The Next Generation: How Northridge's Success is sprunging a Revolution in Library Strage and Circulation, ACRL, 9TH National Conference, Detroit, Michigan, April 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