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골밀도 관련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 1, 2차 년도(2010년, 2011년)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s: Data from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9 no.4, 2014년, pp.240 - 255  

김경숙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골밀도 검진자 남자 2,692명, 여자 3,294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골밀도와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변량 분석에서 골밀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성인 남자와 여자 모두 연령, 교육수준, 경제활동상태, 소득사분위수, 거주지였으며, 건강행위 및 건강관련 특성으로는 남자는 흡연, 음주, 비만, 총근육량, 격렬한 신체활동, 중등도 신체활동, 스트레스 인지율, 체중조절 노력, 수면시간, 여자는 음주, 비만, 총근육량, 격렬한 신체활동, 체중조절 노력, 수면시간이었다. 만성질환 특성에 따라서는 고혈압, 당뇨병, 류머티스관절염은 남녀 모두 질환이 없는 군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고콜레스테롤혈증, 골관절염은 여자, 빈혈과 우울증은 남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모두에서 질환이 없는 군의 골밀도가 높았다. 단변량 분석에서 골밀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식품섭취 특성으로는 남자와 여자 모두 단백질 섭취량, 칼슘 섭취량, 인 섭취량, 탄수화물 섭취량 비율, 단백질 섭취량 비율, 지방 섭취량 비율이었으며, 여성건강 특성으로는 경구 피임약 복용여부, 여성호르몬제 복용여부, 임신횟수, 폐경여부, 초경연령, 첫 출산연령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다변량 분석 결과에서는 남자의 경우 총근육량이 많을수록,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초졸에 비해 대졸 이상, 허리둘레가 적을수록, 초졸에 비해 고졸, 체중조절 노력을 실천할수록, 중등도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경우에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인 여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총근육량이 많을수록, 폐경 전일수록, 초졸에 비해 고졸,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초졸에 비해 대졸이상, 중졸, 경제활동을 할수록, 초경 연령이 빠를수록, 여성호르몬제를 복용할수록, 지방 섭취량 비율이 권장량 범위 이상일수록, 체중조절 노력을 할수록, 격렬한 신체활동을 하는 경우의 골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 성인 남자에서는 총근육량이, 성인 여자에서는 연령과 총근육량이 가장 중요한 골밀도 관련 요인으로 남녀 모두에서 수정 가능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총근육량이었다. 따라서 골다공증의 사전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성장기부터 지속적으로 최대 근육량 및 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기에 적극적인 교육과 중재를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es of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data from the 201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0~2011) V. Among 8,473 subjects of the survey, who were ad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대표성을 가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제 5기 1, 2차 년도(2010-2011)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골밀도와 그 관련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골다공증의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남녀의 골밀도와 그 관련요인을 비교해 보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 자료에서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19세 이상 성인 남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전체 T-score 평균은 성인남자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의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골의 양은 사춘기를 지나 30대까지 골 형성이 증가되어 최고치에 달하고 이후에는 골 소실이 점차 증가하여 골 양이 감소되며 특히 여성에서는 폐경기 후 감소한다[7]. 또한 골다공증은 장기적으로 골 손실이 진행된 결과라는 점과 골 손실이 시작되고 10년∼20년이 지난 후에 증상이 나타나므로 발견된 후에는 골에 칼슘을 보강하기에 이미 늦은 상태이다[8]. 또 다른 질환과 달리 골절이 발생하기 전에는 상당기간 동안 증상이 없기 때문에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가 많고[9] 골다공증 치료제는 골의 량을 증가시키지 못하고 골 파괴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여 골 소실 정도를 낮추는 것이다[10]. 그러므로 골다공증은 예방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여성이나 노인, 폐경에 국한하지 말고 성인기부터 남녀 모두에서 골 손실 예방에 주력해야 하며 위험인자 및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진료통계를 통해 남녀 간에 어떤 관계가 파악되는가? 최근 보고에 의하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약 7천5백 만 명이 골다공증을 앓고 있으며[2] 우리나라의 골다공증 진료통계에 따르면 2011년 골다공증 환자는 773,000명으로 2007년 535,000명에서 무려 44.3% 증가했으며 성별로 골다공증 환자를 분석한 결과는 여성이 약 92.5%∼93.6%로 남성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3], 골다공증은 주로 여성의 건강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과거의 여성 척추 골절이 남성에 비해 10배 많았으나 최근에는 여성의 절반 수준으로 높아졌다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고[4], 남성은 여성에 비해 골다공증이 늦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나 대퇴골 또는 척추골의 골절이 발생할 경우에는 남성의 사망률이 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5].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는가? 주요 만성질환의 하나인 골다공증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합병증 발생으로 인한 사망률 증가와 의료비 상승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부담을 초래하는 중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골다공증은 골 강도의 약화로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대사성 골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으로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종, 성, 신체크기 등의 유전적 요인과 신체적인 활동량, 호르몬의 균형, 흡연, 알코올 및 카페인 섭취, 칼슘 및 단백질 섭취량 등의 환경적 요인을 들 수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olick MF. Vitamin D Deficiency. N Engl J Med 2007;357:266-281 

  2.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technical report series 2003;921:1-5 

  3. Kim KH.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14 (Korean) 

  4. Cho YK. Analysis on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adult males over 50 and its related facto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Korean) 

  5. Kanis JA, Oden A, Johnell O, De Laet C, Jonsson B, Oglesby AK. The components of excess mortality after hip fracture. Bone 2003;32:468-473 

  6. Kwon YJ, Ryu SY, Shin SO, Chun IA, Park MS, Shim JS. The injury and its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using the data of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4;39(1):1-13 (Korean) 

  7. Kim SJ. Relationship between Weight, BMI and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in Women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Korean) 

  8. Jeong MG. A Study on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dy Mass Index (BMI) to the middle aged women based on the Sasang Constitution [dissertation]. Pusan, Catholic University, 2006 (Korean) 

  9. Papaioannou. The osteoporosis care gap in men with fragility fractures: the Canadian Multicentre Osteoporosis Study. Osteoporos Int 2008;19:581-587 

  10. Ali NS, Twibell RK. Health promotion and osteoporosis prevention among postmenopausal women. Prev Med 1995;15(4):528-534 

  11. Jho KH, Choi SN, Chung NY.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young adult women: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2010-2011. J Korean Diet Assoc 2014;20(2):110-122 (Korean) 

  12. Choi SN, Jho KH, Chung NY. Association of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factors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the fourth (2008-2009) and fifth (2010-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 V). J Korean Diet Assoc 2014;20(3):157-173 (Korean) 

  13. Koo JO.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pressure, calcium intake among adult women in Seoul.Gyeonggi area - Based on 2011 KNHANES -. Korean J Community Nutr 2013;18(3):269-282 (Korean) 

  14. Chun YM, Lee SH.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n pre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12):6246-6256 (Korean) 

  15. Wang JH, Lee GE, Song JT, Kwon JH, Choi HR, Jung-Choi KH, Lim SY.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bone mineral density: analysis of 2008-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3):274-286 (Korean) 

  16. Mays S, Turner-Walker G, Syversen U. Osteoporosis in a population from Medieval Norway. Am J Phys Anthropol 2006;21:1-9 

  17. Bae SW. Factors that A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in Korea [dissertation]. Gyeongsan, Daegu Haany University, 2000 (Korean) 

  18. You IY. Age specific Osteoporosis related-risk factors in postmenopausal women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1 (Korean) 

  19. Hannan MT, Felson DT, Dawson-Hughes B, Tucker KL, Cupples LA, Wilson P. Risk factors for longitudinal bone loss in elderly men and women. J Bone Miner Res 2000;15:710-720 

  20. Orwoll ES, Bevan L, Phipps KR.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older men. Osteoporos Int 2000;11:815-821 

  21. Huuskonen J, Vaisanen SB, Kroger H, Jurvelin C, Bouchard C, Bouchard C, Alhava E.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aged men: a population-basd study. Osteoporos Int 2000;11:702-708 

  22. Hong HR. Association of the Obesity and Osteoporosi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Korean) 

  23. Valtora A, Konkanen R, Kroger H, Tuppurainen M, Saarikoski S, Alhava E. Lifestyle and other factors predict ankle fractures in perimenopausal women: A population-basd prospective cohort study. Bone 2002;30(1):238-242 

  24. Lee HJ. Association of waist circumference with bone density in Korean twins and familie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Korean) 

  25. Janicka A. Fat mass is not beneficial to bone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7;92(1):143-147 

  26. Gilsanz V. Reciprocal relations of subcutaneous and visceral fat to bone structure and strength. J Clin Endocrinol Metab 2009;94(9):3387-3393 

  27. Yamaguchi T. Associations between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versus bone mineral density and vertebral fractur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Bone 2009;45(2):174-179 

  28. Sandler RB. Muscle strength and skeletal competence: Implications for early prophylaxis. Calcif Tissue Int 1988;42:281-283 

  29. Hus YH, Venners SA, Terwedow HA, Feng Y, Niu T, Li Z. Realtion of body composition, fat mass and serum lipids to osteoporotic fractur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hinese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2006;83(1):146-154 

  30. Mun SO.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using the data from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ssertation]. Seoul, Dongduk Women's University, 2013 (Korean) 

  31. Park MY. Comparison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dissertation].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3 (Korean) 

  32. Michaelsson K, Bergstrom R, Holmber L, Mallmin H, Wolk A, Ljunghall S. A high dietary calcium intake is needed for a positive effect on bone density in Swedish post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Int 1997;7(2):155-161 

  33. Sung CJ, Baek SK, Lee HS, Kim MH, Choi SH, Lee SY, Lee DH. A Study of Body Anthropometry and Dietary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30(1):159-167 (Korean) 

  34. Berenson AB, Rickert VI, Grady JJ. A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 of oral and injectable contraception on bone mineral density. Obstet Gynecol 2000;1;95(4 suppl):S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