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주여성의 임신적응증진을 위한 다국어 교육자료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Multilingual Education Materials to Promote Immigrant Women's Adaptation to Pregnanc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4, 2014년, pp.235 - 245  

김경원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백성희 (백석대학교 간호학과) ,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evaluate multilingual education materials to promote health and adaptation to pregnancy for immigrant women in Korea. Methods: This study had three procedures: First, contents of the education materi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pregnant women's needs,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 이주여성의 임신기 적응증진을 돕기 위해서 일차적으로 임신한 여성과 남편, 가족이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면서 임신동안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보편적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교육자료는 Roy (1984)의 생리적 욕구, 자아개념, 역할기능 및 상호의존성의 4가지 적응양식에 근거하여[11], 이주여성이 생활과 문화가 다른 환경에서 임신이라는 변화에 적응행동을 촉진하여 최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 내용으로 개발하였고 이를 평가하였다.
  • 이는 교육자료가 이주여성이 임신동안 도움을 받고 싶은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경우는 그림을 통해 내용을 충분히 이해 할 수 있었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본 교육자료는 자신이 활용하고 다른 이주여성에게도 권할 정도로 만족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개발된 교육자료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주여성들의 임신동안 태교와 임신증상과 임신 중 영양, 운동과 휴식 등 임신건강관리에 대한 요구를[16,17],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료가 잘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 단계는 일차로 구성한 교육자료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한국어 교육자료로 개발하고, 개발한 한국어 교육자료를 다국어로 번역하고 번역의 타당도를 검증하여 최종 다국어 교육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한국어 교육자료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검증은 1단계 교육자료의 내용구성에 참여하지 않은 산부인과 의사, 소아과 의사, 간호사, 보건소 보건요원, 교육학전공 교수 등의 전문가들과 이주여성 통역요원에 의해 이루어졌다.
  • 자료수집과정은 연구자들과 연구보조원들이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을 설명하고 연구참여 동의서의 서명을 받은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며 개인의 사적인 정보는 비밀을 유지하고 익명성 보장과 대상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연구참여를 중지할 수 있음을 알려주어 대상자의 권리를 보호하려고 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주여성들이 임신건강관리와 적응증진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다국어 교육자료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개발된 임신건강관리 교육자료가 더 많은 다국어로 제작, 보급되어서 많은 이주여성의 건강증진에 기여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다문화 결혼은 2005년 총 결혼의 몇%를 차지하였는가? 국내 다문화 결혼은 2005년 13.6%를 정점으로[1], 최근 감소하여 2013년에 다문화 결혼은 25,963건으로 총 결혼의 8.0%를 차지한다[2].
국내 다문화 결혼에서 주목해야할 점은? 0%를 차지한다[2]. 국내 다문화 결혼에서 주목할 점은 한국 남성과 결혼하는 외국여성의 비율이 70.5%로 높고[2] 결혼한 외국여성의 83.7%가 입국 후 1년 이내에 임신을 하고 결혼 후 2년 이내에 , 출산을 한다는 점이다[3].
이주여성들을 위한 임신과 출산 관련 교육자료는 어떻게 개발하는것이 필요한가? 또한 중국, 베트남, 필리핀은 물론 캄보디아, 몽골, 우즈베키스탄 등 다양한 국적의 이주 여성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국어로 개발하고[10], 연령과학력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교육자료는 임신기, 출산기, 자녀양육기 등의 생식주기별 핵심내용을 중심으로 효과적 교육매체유형과 요구도가 높은 다국어자료를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ics Korea. Marriage rate for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population movement study in 2005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06 [cited 2014 August 12].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2. Statics Korea. International migration statistics 2013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August 12].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430. 

  3. Kim HR, Hwang NM, Chang IS, Yoon KJ, Kang BJ. The reproductive health and policy subject in the international foreign wive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8. 

  4.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et al.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261-269. 

  5. Ham U, Kim JY. Meth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story expression.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011;22(2):351-373. 

  6. Kim YS, Heo S, Nguyen TA. Language, education; A study on the expression class through story-telling about interracial married women's homeland cultures. Cross Culture Studies. 2011;25:695-721. 

  7. Yang MJ. The study on Korean culture education plan for immigrant women utilizing historical tale-focusing stories of wealth acquisition and stories of success.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2010;14(3):283-302. 

  8. Kim KW.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2010;14(2):133-144. 

  9. Ricci SS. Essential of maternity, newborn, & women's health nursing.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10. Nam WH. Multicultural families. Seoul: Jangshewon; 2010. 

  11. Roy SC. Introduction to Nursing: An adaptation model. 2nd ed.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1984. 

  12. Seol DH, Kim HS, Yoon HS, Lee HK, Yim KT, Chung KS, et al. Foreign wives' life in Korea: Focusing on the policy of welfare and health.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13. Yang SO, Jeong 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valuation tool for sexual education materi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2003;9(4):408-419. 

  14. Jeong GH, Kim KW, Bae K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2012;16(2):157-169. 

  15. Lee EO, Im NY, Park HY. Nursing medical research and statics analysis. Seoul: Soomoonsa; 1999. 

  16. Jeon MS, Kang KJ, Park SH. A study on pregnancy, delivery and infant rearing knowledge and education need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1;36(3):179-190. 

  17. Kim MY, Koh HJ. A study about intermarriage foreign wives' prenatal education needs, health belief and prenatal care compliance. Keimyung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8;12(1):83-96. 

  18. Roy SC, Andrews HA. The Roy adaptation model. 2nd ed. Stamford: Appleton & Lange; 1999. 

  19. Sercekus P, Mete S. Effects of antenatal education on maternal prenatal and postpartum adapt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5):999-1010. 

  20. Kim EH, Lee EJ, Kim MJ, Park DY, Lee SH. Effects of an education program of pregnancy and delivery on pregnancy related knowledge,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0;40(1):78-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