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시 치료에 의한 시감각 개선이 안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sual Sensory Improvement by Amblyopia Treatment on Improvement of Ocular Function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4 = no.57, 2014년, pp.551 - 555  

김재도 (경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약시치료에 의한 감각개선이 굴절이상, 조절 및 원근 사위의 안기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약시가 치료된 10명(17안, 평균나이 $10.7{\pm}2.9$년)을 대상으로 약시 치료 전과 치료 후의 굴절이상도, 조절오차 및 원근 사위를 비교하였다. 굴절이상도는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N-Vision-5001, Shin Nippon, Japan)로 측정하였며 조절오차는 40 cm 거리에서 단안평가법(M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위는 원거리는 3 m 근거리는 40 cm에서 Howell 사위카드, 차폐 또는 Maddox rod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교정시력은 약시치료 전에 $0.46{\pm}0.11$(소수시력)에서 약시치료 후에 $1.03{\pm}0.13$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 0.001). 구면굴절이상도는 치료 전에 원시도가 $+2.29{\pm}0.86D$에서 치료 후에 $+1.1{\pm}2.38D$로 감소하였지만(p < 0.05), 난시변화는 치료 전에 $-1.80{\pm}1.41D$에서 치료 후에 $-1.65{\pm}1.30D$로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조절오차는 치료 전에는 조절지체 $+1.1{\pm}0.75D$에서 치료 후에는 $+0.5{\pm}0.59D$로 유의적 수준에서 감소하였다(p<0.05). 원거리사위는 치료 전에는 eso $2.9{\pm}6.17PD$(prism diopters)에서 치료 후에 eso $0.2{\pm}3.49PD$유의 수준에서 감소하였고, 근거리 사위 또한 치료 전에는 eso $0.4{\pm}2.32PD$에서 치료 후에는 exo $2{\pm}4.9PD$로 유의 수준에서 변화하였다(p<0.05). 시력 향상과 조절력 감소는 높은 상관관계(r = 0.88, p < 0.001)가 있었다. 결론: 약시치료 후 교정시력과 시감각의 개선과 함께 원시성 굴절이상도는 감소하였으며 약시치료에 의한 시감각의 개선은 조절오차를 개선시키고 조절에 영향을 받는 사위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the improvement of visual sensory (VS) by amblyopia treatment affects the ocular functions in refractive errors, accommodative errors and phoria at distance and near. Methods: 10 subjects (17 eyes, mean age of $10.7{\pm}2.9$ years) who treated amb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However, it still remains a question whether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and motor in ocular functions of accommodation and phoria. So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ing a novel method whether improvement of visual sensory by amblyopia treatment affects ocular functions or not.
  • This study showed that improvement of visual sensory by amblyopia treatment improved accommodative responseor reduced accommodative lag. In this study, vision training by physical technic was not used for accommodative improvement, but used only added lenses for improving visual sensory.

가설 설정

  • Banks[3] also suggested that visual accommodation is commonly viewed as a control system with two primary components; a sensory component which evaluates the clarity or sharpness of the retinal imag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n accommodative change is required, and a motor component which implements the changes in lens shape needed to maximize images sharpness. Among two primary components, he hypothesized that sensory is programming of accurate accommodative responses being dependent on the detection of the consequences of inaccurate accommodation. Thus the sensory hypothesis holds that accommodative development results from development in the ability to detect the image blurring resulting from focusing error, and this study confirmed Banks’ hypothesi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tkinson J, French J, Braddick O. Contrast sensitivity function of preschool children. Br J Opththalmol. 1981; 65:525-529. 

  2. Haynes H, White BL, Held R. Visual accommodation in human infants. Science 1965;148:528-530. 

  3. Banks MS. The development of visual accommodation during early infancy. Child Dev. 1980:51(9);646-666. 

  4. Wickelgren LW. Convergence in the human newborn. J Exp Child Psychol. 1967;5(1):74-85. 

  5. Aslin RN. Development of binocular fixation in human infants J Exp Child Phychol. 1977;23(1):133-150. 

  6. Boothe RG, Dobson V, Teller DY. Postnatal development of vision in human and nonhuman primates. Annu Rev Neusosci. 1985;8:495-545. 

  7. Wiesel TN. Postnatal development of the visual cortex an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Nature. 1982;299:58-91. 

  8. Barbur JL, Hess RF, Pinney HD. Pupillary function in human amblyopia. Ophthalmic Physiol Opt. 1994;14:139-149. 

  9. Ciuffreda KJ, Kenyon RV, Stark L. Increased saccadic latencies in amblyopic eye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78;17:697-702. 

  10. Watts PO, Neveu MM, Holder GE, Sloper JJ. Visual evoked potentials in successfully treated strabismic amblyopes and normal subjects. J AAPOS. 2002;6:389-392. 

  11. Steinman S, Levi DM, McKee SP. Discrimination of time and velocity in the amblyopic visual system. Clin Vis Sci. 1988;2:265-276. 

  12. Buckingham T, Watkins R, Bansal P, Bamford K. Hyperacuity thresholds for oscillatory movement are abnormal in strabismic and anisometropic amblyopes. Optom Vis Sci. 1991; 68:351-356. 

  13. Kelly SL, Buckingham TJ. Movement hyperacuity in childhood amblyopia. Br J Ophthalmol. 1998;82:991-995. 

  14. Kim JD, Cuiffreda KJ. Effective amblyopia treatment using near adds spectacle lenses alone.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3;54: E-Abstract 3988. 

  15. Kim JS, Kim JD. A longitudinal study for 3 years on myopic refractive error changes of myopic children among patients of a Korean optometric clinic.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249-254. 

  16. Zadnik K, Mutti DO, Friedman NE, Adams AJ. Initial cross-sectional results from the orinda longitudinal study of myopia. Optom Vis Sci. 1993;70:750-758. 

  17. Mantyjarvi MI. Changes of refraction in schoolchildren. Arch Ophthalmol. 1985;103:790-791. 

  18. Holbach HT, von Noorden GK, Avilla CW. Changes on esotropia after occlusion therapy in patients with strabismic ambly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1; 28(1):6-9. 

  19. Koc F, Ozal H, Yasar H, Firat E. Resolution in partially accommodative esotropia during occlusion treatment for amblyopia. Eye. 2006;20:325-328. 

  20. Morgan MW. Accommodation and vergence.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1968;45:417-454. 

  21. Maddox E. Investig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vergence and accommodation of the eyes. J Anat. 1886;20:475-505,565-5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