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간곡선 모델을 이용한 소나무의 지방별 수간재적표 개발
Development of Local Stem Volume Table for Pinus densiflora S. et Z. Using Tree Stem Taper Model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6 no.4, 2014년, pp.327 - 335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손영모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김소원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이선정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임목 재적표는 전국 공용으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적용할 경우 재적을 과소 또는 과대 추정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간곡선식을 이용하여 지역의 재적생장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홍천과 영주지역의 지방별 임목 수간재적표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고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개발하였다. 추정에 적합한 수간곡선식의 도출을 위해서 Max & Burkhart, Korzak 그리고 Parresol et al.의 세 가지 수간곡선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적합도, 편의, 잔차의 표준 오차 등의 통계량을 분석하여 각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수간곡선 모델간에는 정확성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소나무의 수간생장을 표현하는 데에는 Kozak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Kozak 모형을 이용하여 소나무의 지방별 수간재적표를 조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지방별 수간재적표와 전국단위의 소나무 수간재적표와 비교한 결과, 홍천과 영주 2지역 모두에서 현재 재적표보다 재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0.000< ${\alpha}=0.05$), 또한 두 지역간 지방별 재적표의 재적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value: 0.000< ${\alpha}=0.05$) 홍천이 영주에 비해 재적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 volume tables might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volumes of individual trees in a specific region because the tables were made using the data from broad regions within South Korea.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local stem volume tables reflec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산림의 영급, 경급 구조가 장령기에 접어들면서 지역간의 임목재적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기존의 임목재적표의 적용으로는 지역의 생장특성 및 현실재적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방별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수종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강원도 홍천과 경북 영주 지역에 대한 지방별 재적표를 작성하기 위한 최적 수간곡선식을 도출하여 지방별 재적표를 작성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산림의 영급, 경급 구조가 장령기에 접어들면서 지역간의 임목재적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기존의 임목재적표의 적용으로는 지역의 생장특성 및 현실재적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방별 재적표를 조제하고자 수행하였다. 대상수종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강원도 홍천과 경북 영주 지역에 대한 지방별 재적표를 작성하기 위한 최적 수간곡선식을 도출하여 지방별 재적표를 작성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목의 특징은? 임목은 지리적 환경에 따라 형태적, 해부학적, 생리적 형질 변이를 나타내는 지리적 변이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종인 소나무의 분포는 수직적으로 북위 43o 20'의 함북에서부터 북위 33o 20'의 제주 한라산에 이르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m에서 최고 1,300m까지 분포하고 있다(Jung and Lee, 1965).
Kozak 모델이 두 지역의 소나무 수간곡선을 설명하는데 우수함을 알 수 있는 근거는? Table 4에서 적합도지수, 편의(Bias) 등 기타 검정 통계량 값으로 모델의 적합성을 검토하였으며, 또한 잔차도를 그려 평균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검토하였다. Kozak 모델에 의해 추정된 수간곡선식의 적합성은 홍천 92%, 영주 97%였으며, 편의(Bias) 역시 Kozak 모델이 타 모델보다 적어 모델의 적합성을 입증해 주었다(Son et al., 2009, 2012; Chung et al., 2010). Kozak 모델의 수간곡선 모형 적합성을 좀 더 정밀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잔차를 도식한 결과, 2지역 모두에서 잔차는 “0”을 중심으로 하여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Fig. 1).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종은? 임목은 지리적 환경에 따라 형태적, 해부학적, 생리적 형질 변이를 나타내는 지리적 변이를 갖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 수종인 소나무의 분포는 수직적으로 북위 43o 20'의 함북에서부터 북위 33o 20'의 제주 한라산에 이르고 있으며, 수직적으로는 표고 10m에서 최고 1,300m까지 분포하고 있다(Jung and Lee, 1965). Uyeki(1928)는 우리나라 소나무를 수형에 따라 6개군으로 분류한 바 있으며, 이러한 분류는 외부환경요인의 지리적·지역별 차이에 따른 임목생장차이도 같은 수종이라 할지라도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증명해 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ia, R., Gil and J. A. Parods. 1995. Performance of 43 Pinus pinaster Ait. Provenances on 5 Locations in central Spain. Silvae Genetica 44(2-3), 75-81. 

  2. Amateis, R. L. and H. E. Burkhart, 1987: Cubic-foot volume equations for loblolly pine trees in cutover, site prepared plantations. St Jeanne Antide Foundation, pp. 185-189. 

  3. Bennett, F. A., C. E. McGee and J. L. Clutter. 1959. Yield of old-field slash pine plantations. USDA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aper No. 107. 

  4. Bonnor, G. M. and P. Boudewyn 1990. Taper-volume equations for major tree species of the Yukon Territory. Forestry Canada Pacific and Yukon Region-Information Report BC-X-323, 18pp. 

  5. Burkhart, H. E., R. C. Parker, M. R. Strub. and R. G. oderward. 1972. Yield of old-field loblloy pine plantation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Pub. FWS-3-72, 51. 

  6. Chapman, H. H. and W. H. Meyer. 1949. Forest Mensuration. McGraw-Hill, New York. 

  7. Chung, Y. G., D. H. Kim and C. M. Kim. 2010. Development of Stem Profile and Taper Equation for Quercus acuta in Jeju Experiment Forest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9(1), 57-61. 

  8. Clutter, J. R., J. C. Fortson, L. V. Pienaar, G. H. Brister, and R. L. Bailey. 1983. Timber management: a quantitative approach. John Wiley & Sons, Inc. 333. 

  9. Gal, J. and I. E. Bella. 1994. New stem taper functions for 12 Saskatchewan timber species. Natural Resources Canada, Canadian Forest Service, Northwest Region, Northern Forestry Centre, Information Report Nor-x-338. 

  10. Jeon, B. H., S. H. Lee, Y. J. Lee, H. Kim, and H. M. Kang. 2007. Estimation of Site Index and Stem Volume Equations for Larix leptolepis Stand in Jinan, Chonbuk.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1), 40-47. 

  11. Jung, T. H. and W. C. Lee. 1965. The Korean forest vegetation zone and theory of the suitable tree on a site tree. Journal of SungKyunKwan University. pp. 329-435. 

  12. Kim, J. S., W. K. Lee and W. H. Byun. 1994. Regional Stem Curve and Volume Function Model of Pinus densiflora in Kangwon-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3(4), 521-530. 

  13. Kim, K. S. and Y. C. Han. 1997. Variation in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S. et Z. at Eight Experimental Plantations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6(2), 119-127. 

  14. Kim, Y. W. and H. K. Lee. 1986. Study of Stem Volume Table of Pinus thunbergii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33, 35-46.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09. Stem Volume Table. 261pp. 

  16. Korea Forestry Service. 2013. Assessment of the Korea Forest Resources. 59pp. 

  17. Korea Forest Service.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88. 

  18. Kozak, A. 1988. A variable-exponent taper equation. Can. J. For. Res. 18, 1363-1368. 

  19. Lee, K. H., Y. M. Son, Y. G. Chung and W. K. Lee. 1999. A Taper and Volume Prediction System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Korea.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62, 155-166. 

  20. Lee, W. K., J. H., Seo, Y. M. Son, K. H. Lee and K. V. Gadow. 2003. Modelling stem profiles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72(1), 69-77. 

  21. Max, T. A. and H. E. Burkhart. 1976. Segmented polynomial regression applied taper equations. Forest Science 22(3), 283-289. 

  22. Matziris, D. I. 1995. Provenance variation of Pinus radiate grown in Greece. Silvae Genetica 44(2-3), 88-96. 

  23. Park, I. H. and S. M. Lee. 1990.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9(2), 196-304. 

  24. Park, N. C. and Y. G. Chung. 1985.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of the Breast-Height Form Factors for Stem of Pinus thunbergii and Cryptomeria japonic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70, 28-37. 

  25. Seo. J. W. 1998. Studies on Estimation of Stand form Factor for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Stands-Focusing on Stands in Kwangwon Province. Jour. Korean For. Measur 1, 12-26. 

  26. Shin, M, Y., J. W. Yun and D. S. Cha. 1996. Local Correction of Tree Volume Equation for Larix leptolepis by Rati-of-Means Estimator.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5(1), 56-65. 

  27. Smalley, G. W. and D. R. Bower. 1968. Volume tables and point factors for loblloly pines in plantations on abandoned fields in Tennessee, Alabama, and Georgia highlands, USDA, U.S. Dep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Southeastern Forest Experiment Station, Paper SO-32, 13. 

  28. Son, Y. M., H. Kim, H. Y. Lee, C. M. Kim, C. S. Kim, J. W. Kim, R. W. Joo and K. H. Lee. 2009. Taper Equations and Stem Volume Table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Plantations in Indonesi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8(6), 633-638. 

  29. Son, Y. M., J. H. Jeon, J. K. Pyo, K. N. Kim, S. W. Kim, S. J. Lee and K. H. Lee. 2012. Development of Stem Volume Table for Robinia Pseudoacacia Using Kozak's Stem Profile Model.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6), 43-49. 

  30. Song, C. C., W. H. Byun and W. K. Lee. 1995. Districting the Growth Zone by Diameter Growth Pattern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4(10), 71-76. 

  31. Uyeki, H. 1928. On the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Korea and silvicultural reatment for its improvement.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College Suigen (Suwon). Korea. 263pp.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