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의 수고-흉고직경 생장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역적인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의 지역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Weibull 생장식을 이용하여 추정한 수고-흉고직경 생장모델을 기준으로 각 표준지의 잔차를 산출하였으며, 추출된 잔차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따라 공간 연관성 지표(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중 Getis-Ord의 $G_i$를 이용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소나무는 총 3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류된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인자와 기후인자 중 연강수량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지역적인 경영 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ocal types in relation to regional differences using Height-DBH growth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The regional type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Getis-Ord's $G_i$ among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by characteristics of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의 수고-흉고직경 생장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역적인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의 지역형을 구분하고 입지 및 기후적인 요인과의 관계를 해석하여 지역적인 산림경영을 위한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연구에서는 소나무의 수고-흉고직경 생장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역적인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의 지역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전형적인 소나무림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흉고단면적 기준 소나무의 점유비율이 75%인 순림을 추출하였으며, 임분밀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흉고직경 생장에 대해 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표준지내 수고를 기준으로 상위 30%의 상층 우세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는 어떻게 분포해 있는가? 소나무는 지리적으로 한반도를 비롯하여 중국의 산둥 반도, 압록강 연안 지역 및 일본의 북해도 이남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북위 33° 20'인 제주도에서부터 함경북도 언성군 증산(북위 43° 20')까지 분포하고 있고, 동으로는 울릉도, 서쪽으로는 백령도의 섬들까지 분포하고 있다. 수직적 분포는 완도 200 m, 한라산 1,300~1,800 m, 금강산 100~180m, 백두산 300~900 m 사이에 분포하고 있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우리나라 산림의 면적 중 소나무 면적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산림의 면적은 6,394천ha이며, 그 중 소나무면적은 1,507천ha로 전체 산림면적의 1/4의 수준으로 단일수종으로서 그 비중은 매우 크다(Lee et al., 2009).
산림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방법적인 차별화에 따라 무엇을 하였는가? 임령에 따른 임목의 생장패턴은 임지의 생산력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산림자원의 관리에 있어서 방법적인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수고와 흉고직경만을 고려해 분류한 핫스팟과 콜드스팟의 두 공간적 군집 내에서 나타나는 임령에 따른 생장특성 차이가 존재하는 지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lama, R. and Montero, G. 2004. Interregional nonlinear heightdiameter model with random coefficients for stone pine in Spain.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4: 150-163. 

  2. Cladera, J.R.M. and Moix, M. 2009. Urban structure and polycentrism: Towards a redefinition of the sub-centre concept. Urban Studies 46(13): 2841-2868. 

  3. Curtis, R.O., Clendenen, G.W., and Demars, D.J. 1981. A new stand simulator for coast Douglas fir DFSIM user's guide. Forest Serveice General Technical Report. PNW128. 

  4. Getis, A. and Ord, J. 1996. Local spatial statistics: An overview, in Longley, P. and Batty M.(eds.), Spatial analysis: Modelling in a GIS Environment, GeoInformation International, Cambridge, pp. 261-277. 

  5. Heo, Y.K. and Lee, J.Y. 2009. The trans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Employment, population, and land value in Ulsan.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2): 111-121. 

  6. Kim, K.Y. 2011. Identification of centers using GWR and spatial clustering methods: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Urban Geographic Society 14(3): 73-86. 

  7. Kim, K.Y. and Park, J.H. 2012. Detecting potential urban regeneration districts using gis and spatial clustering analysis. The Korean Urban Geographic Society 15(2): 67-80. 

  8.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Tree volume.biomass and stand yield table. pp. 261. 

  9.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Economic tree, Pinus densiflora. pp 250. 

  10. Lee, K.S., Kim, S.K., Bae, S.W., Lee, J.H., Shin, H.C., Jung, M.H., Moon, H.S., and Bae, E.G. 2009.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angwon naorthern region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6): 7-17. 

  11. Lee, K.S., Kim, S.K., Bae, S.W., Lee, J.H., and Jung, M.H. 2010.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Samcheok and Taebaek of Kangwon southern reg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 855-862. 

  12. Lee, S.T., Yoon, S.L., Park, E.H., Kim, J.K., and Chung, Y.G. 2005. The dendro chronological characteristic of Pinus densiflora in Gyeongbuk regio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4): 289-295. 

  13. Lee, W.K. 1996. Stand and general height-DBH curve models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Korean Forest Economics Society 4(2): 66-78. 

  14. Lee, W.K., Biging, G.S., Son, Y.H., Byun, W.H., Lee, K.H., Son, Y.M., and Seo, J.H. 2006. Geo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differences in stem taper form of Pinus densiflora in central Korea. Ecological Research 21(4): 513-525. 

  15. McMillen, D.P. 2001. Non-parametric employment suvcenter indentificat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50(3): 448-473. 

  16. Park, I.H. and Kim, J.S. 1989. Biomass regressions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8(3): 323-330. 

  17. Park, I.H., and Lee, S.M. 1990. Biomass and Net production of Pinus densiflora Natural forests of four local form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79(2): 196-204. 

  18. Park, S.G., Joo, S.H., Lee, K.H., and Park, W.K. 2010. Relationships between climate and tree-ring of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s of the Baekdudaegan,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5): 35-43. 

  19. Seo, Y.O., Lee, Y.J., Rho, D.K., Kim, S.H., Choi, J.K., and Lee, W.K. 2011. Height-DBH growth models of major tree species in Chungcheong province. Journal of Korea Forest Society 100(1): 62-69. 

  20. Song, C.C., Byun, W.H., and Lee, W.K. 1995. Districting the growth zone by diameter growth pattern for Pinus densiflora in K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4(1): 71-76. 

  21. Son, Y.M., Lee, K.S., Yoo, B.O., and Pyo, J.K. 2013. Estimation of site index for Pinus thunbergii in southern region of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46(6): 119-126. 

  22. Zhang, L., Bi, H., Cheng, P., and Davis, C.J. 2004. Modeling spatial variation in tree diameter-height relationship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89: 317-3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