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측 및 해석을 통한 단순 산악지형의 바람장 분포 연구
A Study on Wind Distribution of Mountain Area by Spot Measurements and Simulation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8 no.6, 2014년, pp.13 - 21  

김응식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방재연구과) ,  조민태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장환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림 화재는 여러 가지 변수를 포함하고 있지만 바람장에 의한 영향이 다른 어떠한 변수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봄철 산림지형에서의 풍향풍속을 알고 있다는 것은 산불진화기술 및 산불확산예측을 결정하는데 핵심 요소이다. 현재는 산림 지역의 풍향풍속 산정을 위하여 기상관측소의 데이터를 의존하게 된다. 기상청의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는 넓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어 비교적 간편하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나 실제 산림지역의 기상인자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WS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산악지형의 바람장을 실측하고 이를 통하여 바람장 예측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실측 지형으로 단순 구릉 지형을 선택하여 주변의 지형지물에 의한 바람장의 왜곡을 최소화 하였으며, 이들 지형에서 바람장의 실측 및 전산유체해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 구릉 지형으로는 제주도 오름과 안면도 마검포 지형을 선택하여 바람장 데이터를 취득 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 바람장의 패턴추출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fire has a number of variables and since the effects of wind fields are bigger than any other variables, it is essential to know wind direction and velocity for the forest fire extinguishing techniques and the prediction of fire spread. With regards to the local area that has a high chanc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ure 1은 기상청 AWS 데이터로 산불 발생 시 중요한 인자인 온도, 습도, 풍향, 풍속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 지형의 기상 인자의 실측을 수행하기 전의 선행연구로 AWS 데이터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기상관측을 위하여 사용된 장비는 Davis사의 기상관측시스템(vantage Pro2)을 이용하였으며 소프트웨어는 integrated sensor suite (ISS)를 사용하여 온도, 습도, 풍향,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 또한 국내에도 바람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많은 관련 논문들을 검색할 수 있다(6-12).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AWS와 국부지형간의 기상인자를 실측 양자를 비교하였다. 둘째로 단순 산악지형을 선정하여 실측을 통하여 바람장 데이터를 취득하여 분석한 결과 일정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실측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는 산림 지역의 풍향풍속 산정을 위하여 무엇에 의존하는가? 산림 화재는 여러 가지 변수를 포함하고 있지만 바람장에 의한 영향이 다른 어떠한 변수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봄철 산림지형에서의 풍향풍속을 알고 있다는 것은 산불진화기술 및 산불확산예측을 결정하는데 핵심 요소이다. 현재는 산림 지역의 풍향풍속 산정을 위하여 기상관측소의 데이터를 의존하게 된다. 기상청의 automatic weather station (AWS)는 넓은 지역에 골고루 분포하고 있어 비교적 간편하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으나 실제 산림지역의 기상인자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풍향풍속을 알고 있다는 것은 어떤역할? 산림 화재는 여러 가지 변수를 포함하고 있지만 바람장에 의한 영향이 다른 어떠한 변수보다 상대적으로 크므로 봄철 산림지형에서의 풍향풍속을 알고 있다는 것은 산불진화기술 및 산불확산예측을 결정하는데 핵심 요소이다. 현재는 산림 지역의 풍향풍속 산정을 위하여 기상관측소의 데이터를 의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R. Warren and D. L. Vance., "Remote Automatic Weather Station for Resource and Fire Management Agencies", USDA Forest Service General Technical Report, INT 116, 1-11 (1981). 

  2. http://blog.daum.net/kfri9612/138 (2014). 

  3. S. Y. Lee, I. U. Chung and S. K. Kim,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Optimum Mountain Meteorological Observation Network System for Forest Fire Preventio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 8, No. 1, pp. 36-44 (2006). 

  4. Forthofer, J. and Butler, B., "Differences in Simulated Fire Spread Over Askervenin Hill Using Two Advaced Wind Models and a Traditional Uniform Wind Field", USDA Forest Service Proceeding RMRS-P-46CD (2007). 

  5. http://www.firemodels.org/index.php/research-systems/windninja. 

  6. S. Y. Lee and J. E. Kim, "A Study on Meteorological Elements Effecting on Large-scale Forest Fire during Spring Time in Gangwon Young-d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1, No. 1, pp. 37-43 (2011). 

  7. F. A. Albini, "Thermochemical Properties of Flame Gases from Fine Wildland Fuels",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243 (1980). 

  8. H. J. Park, E. S. Kim, J. H. Kim and D. H. Kim, "A Combus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 Fallen Leaves Using Radiation Heat Flux",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Conference, Vol. 21, No. 3, pp. 44-46 (2007). 

  9. J. H. Kim, E. S. Kim, M. B. Lee, D. H. Kim and H. J. Park, "A Study of Calorie Analysis Methods about Surface Fire Fue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2, No. 3, pp. 258-264 (2008). 

  10. E. S. Kim, "A Study on Forest Fire Spreading Prediction Program", Kore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1997). 

  11. D. H. Kim, "Analysis of the effect factors Cause by a scale of Forest Fire Damaged Are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ol. 2004, pp. 178-180 (2004). 

  12. J. L. Dupuym, J. Marechal and D. Morvan, "Fires from a Cylindrical Forest Fuel Burner : Combustion Dynamics and Flame Properties", Combustion and Flame, pp. 65-7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