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교육 복지재정의 실태 분석 연구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를 중심으로-
Local Education Welfare Financial Analysis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6 = no.72, 2014년, pp.1245 - 1260  

이영내 (부산대학교) ,  주철안 (부산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ze of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Special Account and Educational finance Changes based on the welfare types from 2009 to 2013. It also identifies the impact on welfare finance education programs that target low-income students. The size of Education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 교육복지정책 유형별 재정 규모의 변화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재정 단위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부산광역시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에서 교육복지재정의 규모, 복지유형별 재정규모의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 추세가 저소득층 학생을 주요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재정 단위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지방교육복지 재정 정책과 관련된 학문적이고 실제적인 필요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지방교육복지정책을 중심으로 교육 복지유형을 구분하고, 이에 기초하여 교육복지정책사업의 구체적인 내역을 파악하고, 부산광역시 교육청 교육비특별회계를 대상으로 교육복지 재정의 규모와 비중, 유형별 추이 등을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 추세가 저소득층이나 교육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복지재정 단위사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복지의 범위는 무엇인가? 교육복지는 “정상적인 교육의 기회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경험을 갖지 못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능력을 제대로 개발하지 못하여 질 높은 삶을 누리지 못하는 교육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의도된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Kim In-Hee, 2011). 교육복지의 범위는 교육기회의 확대, 교육 불평등 완화, 교육부적응 해소, 복지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 등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교육정책은 학생들의 교육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교육기회의 확대(저소득층 교육지원,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장애자 및 건강장애자 교육, 새터민청소년 교육 등), 교육불평등 완화(계층간·지역간 교육격차 해소, 정보화 격차 해소 및 사교육 불평등 완화), 교육부적응 해소(대안교육 활성화 등), 복지 친화적 교육환경 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다룬다(An ·Kim, 2009).
교육복지란 무엇인가? 교육복지는 “정상적인 교육의 기회를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학습경험을 갖지 못함으로써 자신의 잠재능력을 제대로 개발하지 못하여 질 높은 삶을 누리지 못하는 교육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의도된 노력”으로 정의될 수 있다(Kim In-Hee, 2011). 교육복지의 범위는 교육기회의 확대, 교육 불평등 완화, 교육부적응 해소, 복지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 등을 대상으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교육복지 분야에는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한편, 우리나라에서 교육복지 분야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교육복지의 개념정립과 모형 개발, 법적·제도적 지원체제 구축 등이 여러 가지로 추진되어 왔다(Lee, 2010; Park·Hwang, 2008). 그러나, 교육복지에 대한 개념이나 영역이 아직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고, 교육복지영역에 대한 통계지표가 일관성 있게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교육복지에 투입된 재정규모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Chun et al, 2013). 더욱이,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보편적 교육복지의 확대에 따른 지방교육재정의 실태와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매우 희소한 실정이다 (Lee·Woo,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Byeong-Young Kim, In-Hee (2009). Education Welfare Policy, Seoul: DaSan. 

  2. Ban, Sang-Jin(2013). New directions and policy agenda of financial support to implement the president-elect Park's pledge for higher education welfare,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2(4), 121-148. 

  3.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09-2013). Special education budget accounting financial statements. 

  4.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2014). 2013-2017 years Mid-term financial planning for education in Busan. 

  5. Choi, Jong-Ho(2011). Interests of the advanced welfare domocracies, Political Studies, Kore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6. Choi, Kwang(2012). Korean Public Finance in Retrospect: Critical Discourses, Finance Research 5(2), 53-89. 

  7. Chun, Se-yeoung Kim, Hyeok-yeon G. Ulziisaikhan (2013). Policy Logic and Scale Estimation of Education Welfare Finance,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2(1), 51-70. 

  8. Jo, Gyeong-Yeop Yu, Jin-Seong (2012). Populist welfare policies and fiscal health, Korea Economic Institute Seminar data 2012(9), 24-50. 

  9. Kim, Dae-Ho(2010). Free meals and universalism, and dynamic welfare state, Monthly Welfare Trends 140, 12-18. 

  10. Kim, Gyeong-Aa et al(2011). First Promotion of the site center voluntarily education welfare support business plan research,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1. Kim, Hyeok-Yeon(2013). Analysis of size and features of education welfare finance, Chung Nm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PhD thesis. 

  12. Kim, In-Hee(2010). Tasks of Education Welfare Policy for Eliminating Educational Alienation and Disparity, Korea Social Policy Review, 17(1). 129-175. 

  13. Kim, In-Hee(2011). A Study on the Perspective of School as Education Welfare Community, Political education research 18(4), 29-60. 

  14. Kim, Jeong-Won et al(2008a). Research for Education Welfare Master Plan,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5. Kim, Jeong-Won et al(2008b). Research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ducation Welfare Measures,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16. Kim, Min-Hee(2012). Direction and Task of Educational Welfare Finance,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1(1), 91-124. 

  17. Kim, Min-Hee Kim, Ji-Ha(2012). Contribution and Tasks of Granting Special Subsidies for Local Education Financial Subsidy System,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1(3), 1-34. 

  18. Kim, Yong-Ha(2012). Potential Welfare Spending and Fiscal Sustainability, Korea Institute of Finance 2012(12), 3-25. 

  19. Ku, In-hoe Son, Byeong-Don An, Sang-Hun (2010). Social Welfare Policy, NaNam. 

  20. Lee, Bong-Ju Woo Myeong-Suk(2014). Universal education welfare, limited education budget: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The Korean Society for the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1. Lee, Don-Hee(1999). Education definition, Seoul: Education Science Publishers. 

  22. Lee, Sang-Yun(2010). Legislation Improvement Plan for the education gap,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Training financial management reports. 

  24.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2004). Participatory Government Education Welfare Comprehensive Plan(2004-2008). 

  25. Park, Jae-Youn Hwang, Jun-Seong(2008). A Study on the principles and tasks of Legislation of Education Welfare, Education Law Studies 20 (1), 49-81. 

  26. Ryu, Bang-Ran(2010). Direction of education policy for the education welfare disadvantaged group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onference, 94-109. 

  27. Ryu, Bang-Ran et al(2011). 2010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Program Evaluation Report,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8. Ryu, Bang-Ran et al(2012). Education Welfare investment priority area Support Program Longitudinal Effects Analysis,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9. Song, Ki-Chang(2013). The Expansion Measures of Financial Resource for Local Education by the Demand Prospects for Implementation of Presidential Pledge on Educational Welfare of Park Geun-hye Government,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2(4), 85-119. 

  30. Yoon, Hong-Sik(2011). The Essence of Universalism in Welfare Polic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3(2), 57-79. 

  31. Yun, Hong-Ju(2011). An analysis of Trends and Determinants of Location Revenues,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0 (1), 75-102. 

  32. Yun, Hong-Ju(2012).Accomplishments and challenges of general grant system of local education,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1(3), 14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