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경제적 평가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Public Value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Korea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4, 2014년, pp.101 - 112  

김용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정학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허주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blic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hich in turn signifies economic values other than the production func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virtual scenario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농업·농촌의 다양한 공익적 가치에 대해 기능을 분류하고, 이를 경제적으로 평가하여 정부의 지원, 국민들의 참여 확대와 인식전환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의 지원으로 수행된 과제(PJ008982)의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건부가치측정법이란? 조건부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은 환경재 등 비시장재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론이며, 비시장재에 대한 지불의사액(willingness-to-pay; WTP)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은 1989년 미국의 원유오염에 대한 손실을 추정하기 위해 적용된 이후 세계의 여러 국가에서 환경, 수송, 위생, 건강, 교육 및 자연ㆍ문화자원 등 여러 분야의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Hanemann, 1994).
농업․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농업소득 감소의 영향은? 1960년대 이후 진행된 산업화는 농촌지역과 농업의 인구 유출을 가속화하였다. 농업․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농업소득 감소는 도농간 그리고 농가간의 이중 격차를 확대시켜 농촌지역의 공동체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여가활동, 전통보전, 교육, 치유 및 체험 등의 농업․농촌이 갖고 있는 공익적이고 다원적 기능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산업화와 개방화로 위기에 직면한 농업·농촌이 활성화되고, 공동체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농업·농촌이 고유하게 갖고 있는 공익적 가치(public value)와 다원적 기능(multifunctionality)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1960년대 이후 진행된 산업화는 농촌지역과 농업의 인구 유출을 가속화하였다. 농업․농촌인구의 고령화와 농업소득 감소는 도농간 그리고 농가간의 이중 격차를 확대시켜 농촌지역의 공동체 기반을 약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국민들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여가활동, 전통보전, 교육, 치유 및 체험 등의 농업․농촌이 갖고 있는 공익적이고 다원적 기능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Japan. 1998. Evaluation of Public Functionality of Rural Japan with an Alternative Methods. 

  2. Ahn, Yoon-soo et al. 2003. Monetary Valuation of the Sociocultural Commonweal Functions form the Rural Communities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 Eom, Ki-cheol et al. 1993. "Public Benefit from Paddy Soil"Journal of Korean Soc. Soil Sci. Fert. 26(4). 

  4. Hanemann, W. M., 1984.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66, pp.332-341. 

  5. Hanemann, W. M., 1989. "Welfare Evaluations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s: Repl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1, pp.1057-1061 

  6. Hanemann, W. M., 1994. "Valuing the Environment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a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8, pp. 19-43. 

  7. Hanemann, W.M., J. Loomis and B. Kanninen, 1991. "Statistical Efficiency of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Contingent 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Vol. 73., pp.1255-1263. 

  8. Heo, Joo-nyung et al. 2012.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Urban Agriculture using Turnbull Model".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0-4 pp. 431-445. 

  9. Kang, Kee-kyung et al. 2008. "E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 Research achievement and appl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0. Kim, Yong-lyoul et al. 2012. The Evaluation of the Economic and Public Values i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1. Lim, Jeong-bin et al. 2011. "Swissland Agriculture and policy focusing on Multifunctionality". Focusing GSnJ-123. 

  12. Lim, Hyung-baek et al. 2004. "Measuring Economic Value of the Landscape of Rural Society".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16-3. pp. 25-49. 

  13. OECD, 2001, Multifunctionality: Towards an Analytical Framework. 

  14. OECD, 2008, Multifunctionality in agriculture : evaluating the degree of jointness, policy implications. 

  15. Oh, Se-ik et al. 2001.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6. Seo, Dong-gyun et al. 2002.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Landscape Function of Agricult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7. Seo, Dong-gyun et al. 2003. E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by of Agricultural Production Environmen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8. Switzerland FOAG(Federal Office for Agriculture), Agricultural Report 2011, 2012. 

  19. Whang, Jeong-im et al. 2009. "Valuing Sociocultural Multifunctionality of Rural Area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and Development. 16(3): 643-669. 

  20. Yang, Seung-ryong et al. 2011. "The Value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1. Japan Ministry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http://www.maff.go.j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