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농촌의 사회·문화적 기능 가치 평가
Assessing Economic Value of Social-cultural Function of Korean Agriculture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4, 2020년, pp.15 - 26  

성재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김수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유찬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조원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강경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the demand and awareness of public regarding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would increase recently, the sustainability of them has continuously decreased. To deriv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ements of social-cultural function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ㆍ문화적 기능은 농업의 지속가능성 악화와 농촌 공간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인해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ㆍ문화적 기능에 대한 일반대중의 수요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가상가치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 나는 농업이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동의합니다. 나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가치를 유지ㆍ확산하기 위해 세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습니다.
  • 3) 나는 농업이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나는 이러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유지ㆍ확산하기 위해 세금을 지불하는 데에는 반대합니다.
  • 4) 농업의 사회문화적 기능을 유지ㆍ확산하는 데에 내가 얼마의 세금을 지불해야 하는지에 관계없이, 나는 농업이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사회문화적 기능을 제공한다는 사실 자체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ㆍ문화적 기능에 대한 응답자들의 지불의사를 분석하기 위해 Cameron & James(1987)의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응답자 i의 정책에 대한 지불의사는 응답자의 특성을 포함한 설명번수(zi), 그리고 연구자에게 발견되지 않은 확률적인 부분(ui)로 구성된 선형모형으로 가정하였다(식 5).
  • 또한 지불의사가 0원인 지불거부자를 명시적으로 처리하지 않았다. 이는 암묵적으로 지불의사의 분포에 음의 영역이 포함됨을 가정한다. 비록 지불저항응답과 지불거부응답을 처리하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불저항 응답과 지불거부응답에 대한 보다 정교한 식별과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지불저항응답을 이상치로 간주하고 이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이러한 접근법은 지불저항응답자의 지불의사와 지불의향자의 지불의사가 동일한 분포를 가지고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또한 지불의사가 0원인 지불거부자를 명시적으로 처리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S., Kim, E.J., Kim, Y., Seo, J.H. 2005. Monetary Valuation of the Sociocultural Commonweal Functions from the Rural Communities in Korea.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15(1):175-213. 

  2. Blamey, R. K., J.W Bennett, and M.D. Morrison, 1999. Yea-saying in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Land Economics 75: 126-141. 

  3. Cameron, T. A., and M.D. James, 1987.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from survey data: an alternative pre-test-market evaluation procedur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4): 389-395. 

  4. Czajkowski, M., C.A. Vossler, W. Budzinski, A. Wisniewska, and E. Zawojska, 2017. Addressing empirical challenges related to the incentive compatibility of stated preferences methods. Journal of Economic Behavior & Organization 142: 47-63. 

  5. Heo, J.H, Lee, M.K., Rhew, C.H., Woo, S.H. 2018.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on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5(4):721-741. 

  6. Heo, J.H., Park, H.J., Woo, B.J. 2019 Public Opinion Survey o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Hole AR. 2007.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estima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willingness to pay measures. Health Economics 16: 827-840. 

  8. Hwang, J.I., Kim, E.J., Rhee, S.Y., Lee, S.W. 2009. Valuing Sociocultural Multifunctionality of Rural Area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6(3): 643-669. 

  9. Johnston, R.J., Boyle, K.J., Adamowicz, W., Bennett, J., Brouwer, R., Cameron, T.A., Hanemann, W.M., Hanley, N., Ryan, M., Scarpa, R. and Tourangeau, R. 2017. Contemporary guidance for stated preference studies.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sts, 4(2): 319-405. 

  10. Jourdain, D. and Vivithkeyoonvong, S. 2017.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irrigated rice agriculture in Thailand: a choice experiment considering attribute nonattendance. Agricultural Economics, 48(5): 655-667. 

  11. Kallas, Z., Gomez-Limon, J.A. and Arriaza, M. 2007. Are citizens willing to pay for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Agricultural Economics, 36(3): 405-419. 

  12. Kim, S.S., Sung, J.H., Cho, W.J,. Lee, M.K., Lee, S.M. 2018. The Evaluation of Agricultural Multifunctionality - Focused on Sustainable Livestock Productio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3. Kim, Y.R., Jung, H.K., Min, J.H. 2013. The Valuation of the Economic and Public Value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Korea.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4. Kong, K.S., Lee, C.L., Leem, M.H. 2013. Evaluating Multifunctionality of Rice-Farming as regards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40(2): 352-38. 

  15. Krinsky, I., and A.L. Robb, 1986. On approximat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elasticiti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8(4): 715-719. 

  16. Kwon, O.S., Yoon, T.Y. 2004. Amenity Value of Rice Farm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45(2):235-261. 

  17. Lim, H.B and Lee, S.W. 2004. Measuring Economic Value of the Landscape of Rural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6(3):25-48. 

  18. Moon, W., & J.W. Griffith, 2011. Assessing Holistic Economic Value for Multifunctional Agriculture in the US. Food Policy 36(4): 455-65. 

  19. Oh, S.I., Kim, S.S., Kang, C.Y. 2001.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 Randall, A. 2002. Valuing the outputs of multifunctional agriculture. European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29(3): 289-307. 

  21. Rhew, C.H., Kim, S.S., Cho, W.J., Kim, S.W. 2018. The policy Agenda and Direction for Enhancing Multifunctionality in Agricultu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2. Seo, D.K., Lee, S.Y., Park, P.S, Cho, S.J., Ko, B.N. 2002.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landscape value of paddy agricult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3. Vossler, C.A., Doyon, M., & Rondeau, D. 2012. Truth in consequentiality: theory and field evidence on discrete choice experiments. American Economic Journal: Microeconomics 4(4): 145-71. 

  24. Zawojska, A. 2013. The Economic and Social Justifications for Public Spending to Agriculture: Theoretical Insights and Empirical Observations. Oeconomia 12(4): 133-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