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든식물 수호초(Pachysandra terminalis)로부터 Paraconiothyrium brasiliense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from Garden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2 no.4, 2014년, pp.262 - 268  

최민아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박승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안금란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  김성환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호초로부터 분리된 DUCC5000 균주를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분류를 통해 Paraconiothyrium brasiliense로 동정하였다. 본 균은 기존에 알려진 P. brasiliense 균주의 ITS 염기서열과 100%의 상동성을 보였다. 계통유전학적 분석 결과 P. brasiliense 균주와 같은 clade를 형성하였다. 서로 다른 영양 배지와 pH 조건 하에서 균사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oatmeal agar 배지와 pH 9에서 최적의 생장을 보였다. 배지 종류에 따라 그리고 pH 조건에 따라 균총 형태가 달라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Chroma 반응배지를 이용하여 7가지 세포외 효소의 분비 능력을 조사한 결과 ${\beta}$-glucosidase 활성이 가장 활발하였고 CM-cellulase와 xylerase에서는 활성이 미약하였다. 인공 접종하였으나 수호초에 대한 병원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균은 수호초에서는 국제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균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ungal isolate DUCC5000 from a garden plant Pachysandra terminalis was identified as Paraconiothyrium brasiliense based on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ies. The fungus formed brown to black conidiomata of (0.2-0.7)-2(-3.5) mm singly or as a group on PDA. Conidia measured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균주의 특성과 형태적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분리한 P. brasiliense DUCC 5000는 지금 현재로서는 수호초에서는 국제적으로 처음 분리된 균이며 동시에 생화학적 특성을 처음 보고하는 바이다. 현재 P.
  • 균학적 측면에서는 잎마름병을 일으키는 Psedonectria pachysandricola 균에 대한 국내의 보고[6]와 잎마름병(Volutella blight)을 일으키는 Volutella pachysandricola균에 대한 국외 보고가 있다[7]. 본 연구에서는 수호초 잎으로부터 분리된 국내 미기록 종인 Paraconiothyrium brasiliense에 대한 동정과 특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ar: 100 µm. B: Conidiomata observed 35 days after the growth on PDA. Bar: 200 µm.
  • A, B: Top and back side of culture plate after the growth on PDA for 14 days. C: Conidiomata formed on the surface of PDA after the growth for 35 days. D, E: Conidi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호초의 개화기는 언제인가? 이 식물의 원산지는 일본이며, 자생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 등으로 알려져 있다. 개화기가 4~5월인 이 식물의 꽃은 이삭모양의 흰색이며 수술이 큰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을 하고 있다. 빛에 대한 특성은 내음성으로 음지 혹은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며 넓게 깔리며 자라기 때문에 피복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수호초는 무엇인가? 특히 현대화된 도시의 생태를 위해서 거주지역의 주택 및 도로 환경은 자연미와 쾌적한 느낌을 위해 조경식물의 식재를 더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주택 환경에서 널리 심어지고 있는 정원식물인 수호초는 분류학상 회양목과(Bux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영명은 Japanese spurge이고 학명은 Pachysandra terminalis이다[2]. 이 식물의 원산지는 일본이며, 자생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 등으로 알려져 있다.
수호초의 원산지는 어느 나라인가? 우리나라의 주택 환경에서 널리 심어지고 있는 정원식물인 수호초는 분류학상 회양목과(Buxac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영명은 Japanese spurge이고 학명은 Pachysandra terminalis이다[2]. 이 식물의 원산지는 일본이며, 자생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사할린섬, 중국 등으로 알려져 있다. 개화기가 4~5월인 이 식물의 꽃은 이삭모양의 흰색이며 수술이 큰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m DH, Sung HC. A study on changes of apartment landscapes. J Kor Env Res Tech 2010;13:75-90. 

  2. Le SY, Kim WT, Ju JH, Yon YH. Effect of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roadside ground cover plant growth.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3;41:17-23. 

  3. Yoon PS, Lee JH, Ryu BY. Study on the plants adaptation of rooftop garden.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07;10: 1-7. 

  4. Jeong MI, Han SW, Kim JS, Song JS. Selection of native herbal plants capable to survive year-round in roof garden adopting extensive green roof system in the central district of Korea. Flower Res J 2013;21:172-81. 

  5. Jeong SL, Sun JJ, Heo JA, Kang HJ, Hwang SY, Kim YK. Light intensity levels and growth inhibitors on growth of shade tolerant Japanese spurge (Pachysandra terminalis). Kor J Hort Sci Technol 2002;43:137-42. 

  6. Han KS, Park JH, Cho SE, Shin HD. First report of leaf blight and stem canker of Pachysandra terminalis caused by Pseudonectria pachysandricola in Korea. Plant Dis 2012;96:287. 

  7. Bai Q, Xie Y, Dong R, Gao J, Li Y. First Report of Volutella blight on Pachysandra caused by Volutella pachysandricola in China. Plant Dis 2012;96:584. 

  8. Tang LQ, Hyun MW, Yun YH, Sun DY, Kim SH, Sung GH. New record of Mariannaea elegans var. elegans in Korea. Kor J Mycol 2012;40:14-9. 

  9. Kim SH, Uzunovic A, Breuil C. Rapid detection of Ophiostoma piceae and O. quercus in stained wood by PCR. Appl Environ Microbiol 1999;65:287-90. 

  10.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White Tj, editors. PCR protocol: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11.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Higgins DG. The Clustal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1997;25:4876-82. 

  12.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011;28:2731-39. 

  13. Saitou N, Nei M.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 Biol Evol 1987;4:406-25. 

  14. Yoon JH, Park JE, Suh DY, Hong SB, Ko SJ and Kim SH. Comparison of dyes for easy detection of extracellular cellulases in fungi. Kor J Mycol 2007;35:21-4. 

  15. Mould MJR, Boland GJ, Robb J. Ultra structure of the Colletotrichum trifolii-Medicago sativa pathosystem I, pre-penetration events. Physiol Mol Plant Path 1991;38:179-94. 

  16. Verkley GJM, Silva Md, Wicklow DT, Crous PW. Paraconiothyrium, a new genus to accommodate the mycoparasite Coniothyrium minitans, anamorphs of Paraphaeosphaeria, and four new species. Stud Mycol 2004;50:323-35. 

  17. Damm U, Verkley GJM, Crous PW, Fourie PH, Haegi A, Riccioni L. Novel Paraconiothyrium species on stone fruit trees and other woody hosts. Persoonia 2008;20:9-17. 

  18. Kim CK, Eo JK, Eom AH. Diversity of foliar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Lindera obtusiloba in Korea. Kor J Mycol 2012;40:136-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