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도홈을 이용한 효과적인 수압파쇄 모델연구
A Study on the Model for Effective Hydraulic Fracturing by Using Guide Hole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4 no.6, 2014년, pp.440 - 448  

문홍주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Ocean University) ,  신성렬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Ocean University) ,  임종세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Ocean University) ,  정우근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Ocean University) ,  장원일 (Dept. of Energy & Resources Engineering, Korea Maritime Ocea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압파쇄 기술은 가스나 석유, 지열 등 에너지자원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수압파쇄 메커니즘 규명 및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압파쇄를 위하여 실제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유도홈의 개수에 따른 수압파쇄시 균열발생 압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압파쇄 시험 장치를 구축하여 수압파쇄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물성과 역학적인 특성을 취득하여 3차원 개별 요소 프로그램인 3DEC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모델링 값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도홈을 이용할 경우 효과적인 균열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draulic fracturing technique has been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order to improve the recovery of energy resources such as gas, oil and geothermal energy and research about finding out hydraulic fracturing mechanism and application has been steadily proceeded. In this study, for effective hydra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압파쇄를 위하여 실제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유도홈을 이용한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유도홈의 개수에 따른 수압파쇄시 균열발생 압력을 중심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물성과 역학적인 특성을 취득하여 3차원 개별요소 프로그램인 3DEC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모델링 값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대개의 수압파쇄 모델실험에서는 연직방향, 즉 수압파쇄공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재하는 수압파쇄 조건식과 무관하여 해석에 있어서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와 시험편 내로 삽입되어 있는 패커의 돌출 부분으로 인해 시험편의 상부를 재하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내용을 근거로 본 실험에서는 이축재하의 수압파쇄 모델실험을 계획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압파쇄를 위하여 실제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유도홈을 이용한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유도홈의 개수에 따른 수압파쇄시 균열발생 압력을 중심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토대로 물성과 역학적인 특성을 취득하여 3차원 개별요소 프로그램인 3DEC을 이용한 수치해석적 모델링 값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압파쇄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압파쇄 기술은 가스나 석유, 지열 등 에너지자원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으며 수압파쇄 메커니즘 규명 및 응용분야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수압파쇄를 위하여 실제 현장과 유사한 상황을 구현할 수 있는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유도홈의 개수에 따른 수압파쇄시 균열발생 압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압파쇄 시험 장치를 구축하여 수압파쇄 시험을 실시하였다.
수평시추, 수압파쇄 기술 발전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에너지자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압파쇄 기술은 수평시추와 더불어 1940년대 말부터 개발되어 현재까지 꾸준히 진보해 왔으며, 대형 전통유전의 발굴 감소및 기존 유전의 생산성 향상 방안 모색, 고유가에 따른 비전통자원개발의 경제성 확보 등으로 2000년대 들어서 현장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평시추, 수압파쇄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비전통자원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다(Kim et al, 2014).
이축재하의 수압파쇄 모델실험을 계획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개의 수압파쇄 모델실험에서는 연직방향, 즉 수압파쇄공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재하는 수압파쇄 조건식과 무관하여 해석에 있어서 그다지 중요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이유와 시험편 내로 삽입되어 있는 패커의 돌출 부분으로 인해 시험편의 상부를 재하한다는 것이 그리 쉽지 않다. 따라서 이와 같은 내용을 근거로 본 실험에서는 이축재하의 수압파쇄 모델실험을 계획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Busaidi, A., Hazzard, J.F. and Young, R.P., 2005, Distinct element modeling of hydraulically fractured Lac du Bonnet granite, Journal Geophysical Reserch 110, B06302, DOI:10.1029/2004JB003297. 

  2. Cheon, D.S. and Lee, T.J., 2013,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sign of Hydraulic Fracturing in Oil and Gas Produ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23, No. 6, 538-546. 

  3. Choi, S.O., 2000, A Numerical Study of Hydraulic Fractures Propagation with Rock Brid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10, 447-456. 

  4. Choi, S.O., 2011, Numerical Approach for Determination of shut-in Pressure in Hydrofracturing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21, No. 2, 128-137. 

  5. Choi, S.O. and Lee, H.K., 1995, The Analysis of Fracture Propagation in Hydraulic Fracturing using Artificial Slot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Vol. 5, 251-265. 

  6. Haimson, B.C. and Fairhurst, C., 1967, Initiation and extension of hydraulic fracture in rocks, SPE, 7, 301-318. 

  7. Hazzard, J.F., Young, R.P. and Maxwell, S.C., 2000, Micromechanical modeling of cracking and failure in brittle rocks, J. Geophys. REs., 105(B7), 16683-97. 

  8. Hubbert, M. K. and Willis, D.G., 1957, Mechanics of hydraulic fracturing, Trans. AIME., 201, 153-163. 

  9. Ishida, T., 2001, Acoustic emission monitoring if hydraulic fracturing in laboratory and field,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5, 283-295. 

  10. Kim, G.T., Chung, K.Y. and Park, J.K., 2014, Recent Water Treatment Technology for Unconventional Natural Recource Development, Korean Chem. Eng. REs., 52(2), 154-165. 

  11. Lee, H.K.,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Geothermal Energy through the Hydraulic Fracturing Method, KOSEF. 

  12. Lockner, D., Byerlee, J.D., 1977, Hydrofracture in Weber sandstone at high confining pressure and differential stress, J. Geophys. Res., 82(14), 2018-2026. 

  13. Shimizu, H., Murata, S., Ishida, T., 2011, The distinct element analysis for hydraulic fracturing in hard rock considering fluid viscos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t. J. Rock Mech. Min. Sci., 48, 712-727. 

  14. Zoback, M.D., Rummel, F., Jung, R. and Raleigh, C.B., 1977, Laboratory hydraulic fracturing experiments in intact and pre-fractured rock, Int. J. Rock Mech. Min. Sci. & Geomech. Abstr., 14, 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