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
Evaluation on Practical Use of Raw Data for 3D Indoor Space Modeling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2 no.6, 2014년, pp.33 - 43  

김윤지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유병민 (Geospatial Information Divis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  이지영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지원을 목적으로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제안한다. 기존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분석을 통해 활용도 평가를 위한 필요요건을 정의하고, 검증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서울시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준공도면을 적용하여 수행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people who live indoor space has been increased, the interest in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been grown. Object-Oriented 3D indoor space modeling includ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has performed in level of detail 4, and modeling data is able to be constructed based on va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단계는 실내공간 모델링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위한 필요요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전에 다양한 원시자료의 활용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 필요요건 검증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실내모델링 기초자료로서 원시자료를 획득한 후 실내모델링 수행 전 매핑에 활용될 공간 및 객체를 사진촬영하고, 모델링작업을 위해 촬영된 사진을 편집한다. 로컬좌표계로 구축된 실내모델링 결과를 통해 절대좌표화하고 기준점(Control Point) 위치가 정확한 곳에 위치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위치정확도 검증을 수행한다. 만약, 위치정확도 검증을 통과하지 못할 경우 정립된 기준에 부합하도록 모델링 자료를 수정하여 검증을 다시 수행하여야 하며, 위치정확도 검증을 통과할 경우 원시자료를 구조화하고 목적에 따라 필요한 속성데이터를 입력한다.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전체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원시자료의 활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요건 단계 및 검증방법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법에 원시자료를 적용하기 위해 서울시 모델링 프로 젝트의 원시자료로 이용된 준공도면을 사용하였다.
  •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는 데이터 측면에서 원시자료상 포함 가능한 데이터와 포함 불가능한 데이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원시자료상 포함 가능한 데이터는 원시자료의 필요 요건으로서 원시자료의 활용도를 평가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 모델링을 위해 실내공간의 항목 및 속성, 원시자료 정확도 검증 및 절대좌표화를 원시자료의 필요요건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 조사리스트와 준공도면을 대상으로 실내공간 항목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조사 리스트에 기입된 모든 항목이 준공도면상에 반영되었는지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내공간 항목 검증을 수행한 결과 소화기, 구호물품함과 같이 누락된 항목을 발견하여 Figure 7과 같이 추가적으로 항목의 정보를 기입하여 수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획득한 실내공간의 원시자료와 실내 현황측량 결과를 대상으로 원시자료상 특징점과 실내 측량점을 선점하여 도면의 거리와 측량의 거리를 비교한다. 분석수행 시 현황측량의 측량점과 준공도면상의 버텍스 중심으로 동일점을 선택하고, 검증을 수행하기 위한 통계적 비교기준은 이격 거리의 최소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를 구하여 평가하도록 한다[8].
  • 실내현황 측량은 원시자료 정확도 및 위치 정확도 검증시 비교 기준이 되는 실내공간의 최신성을 반영한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해 수행한다. 원시자료가 실내공간의 크기를 정확히 반영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원시자료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므로 원시자료에 표현된 특징점간의 거리와 실내현황측량으로 구축된 실내현황점간의 거리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한다.
  • 현재까지 원시자료에 대한 정확도 분석 및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 기반의 원시자료 활용도 평가를 위한 종합적인 검증요소를 정의하고 방법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의 문제점은?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실내공간 모델링 수행 지원을 목적으로 원시자료의 활용도 평가를 제안한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어떤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가? 최근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3차원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어떤 작업의 기반이 되는가? 실내공간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은 LoD 4 (Level of Detail 4) 수준의 객체지향 형태로 수행되고 있으며, 원시자료에 따라 준공도면, 레이저스캐닝, BIM데이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델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 3차원 실내공간 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해 정립된 프로세스는 실내공간 모델링 데이터 구축작업의 기반이 되며 구축된 모델링 데이터는 실내공간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설물관리 및 재난관리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용가능하다. 그러나 정립된 실내공간 모델링 프로세스 기반으로 수행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모델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효율적인 모델링을 하는데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ng, Y. S; Ga, C. O; Yu, K. Y. 2012,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4):379-388. 

  2. GongBuilder Software, Virtual Builders, http://www.vbuilders.co.kr/products. 

  3. Kang, H. Y; Hwang, J. R; Lee, J. Y.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oor Spatial Data Model Using CityGML ADE,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1(2):11-21. 

  4. Kim, J. S; Yom, J. H; Lee, D. C. 2007, Analysis of Georeferencing Accuracy in 3D Building Modeling Using CAD Pl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5(2):117-131. 

  5. Lee, I. S; Kim, J. S. 2009, Comparison of 3D Cadastral Reconnaissance Surveying Methods for the Traffic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0(1):59-76.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Open Platform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mprovement and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Service. 

  7.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1, Public Surveying Provision. 

  8. Park, K. B; Jin, G. H; Jang, S. J; Ha, S. R. 2013, Research of Suitability for Practical Use of 3D Indoor Spatial Information using Architectural Drawing: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rrestial LiDAR and 3D Modeling Data,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June 14. 

  9. Park, S. Y; Lee, J. B; Park, W. J; Yu, K. Y. 2009, The Study on Coordinate Transformation for Updating of Digital Map from Construction Drawin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7(2): 281-288. 

  10. Seoul, 2014, Research on 3D indoor space modeling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method in Seoul. 

  11. Shin, D. B; Yu, S. C. 2008,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ps of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for Updating Digital Maps,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June 13. 

  12. Yang, S. C; Choi, J. W; Yu, K. Y. 2009, Development of the Digital Map Updating System using CAD Object Extracted from As-Built Drawing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7(3):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