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블록별 부지분류 적용 해안시설 영역에서의 HAZUS 기반 지진피해 추정
Preliminary Estimation of Earthquake Losses Based on HAZUS in a Coastal Facility Area with Blocks Applying Site Class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4, 2014년, pp.10 - 27  

선창국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천성호 (대림산업(주) 기술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ZUS-MH는 지진, 홍수 및 허리케인의 세 가지 다중 재해현상에 대한 잠정적 손실을 추정하기 위한 GIS 기반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지진 재난에 대해서는 HAZUS에 설정한 가상이나 실제 지진 특성에 따라 지진동의 세기가 평가되고 이에 따라 손실을 계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 플랜트시설 영역의 향후 지진에 대한 대비의 일환으로 HAZUS를 활용하였다. 대상 시설 영역의 특성 평가를 위해 기존 지반조사 보고서를 토대로 지반특성 자료들을 취합하였다. 또한, 시설구조물들의 재료 및 구조 특성에 따라서도 분류하였다. 연구 영역은 부지 조성 및 시설 분포 상황을 고려하여 17개 블록으로 나누고 지반 조건을 내진설계기준의 부지분류 체계에 따라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치 모델링을 통해 주요 시설물들의 지진취약도 곡선들을 도출하고 HAZUS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 영역에 대한 HAZUS 활용 추정 결과는 부지 조건 및 구조물 종류에 따라 다양한 지진 피해와 손실 정도를 보였다. 본 사례 연구를 통해 해안시설 영역의 지진 피해 평가를 위한 HAZUS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ZUS-MH is a GIS-based computer program that estimates potential losses from multi-hazard phenomena: earthquakes, floods and hurricanes. With respect to seismic disaster, characteristics of a hypothetical or actual earthquake are entered into HAZUS. Then HAZUS estimates the intensity of ground sh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해안시설 영역에 대한 효율적 지진피해 예측 평가 목적의 기법적 방안 제시를 위하 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안 플랜트시설 영역을 선정하여 전세계적으로 가장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GIS 기반 지진피해 평가 시스템인 HAZUS를 적용한 예측 평가를 수행하였다. 특히, 금 번 HAZUS 기반 피해평가 과정에서는 실제 대상영역의 지반조사 자료의 종합 분석에 근거한 부지분류 조건을 HAZUS 내에서 분류 지도로 적용하여 지역적 지반 특성을 반영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 지진공학적 지반특성에 따른 지반운동 증폭 정도의 정량적 변화를 반영하여 해안시설 영역에서의 지진피해 예측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상이 해안 매립 및 인근 내륙 절토를 통해 조성한 복합 시설물 분포 영역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권역화 된 여러 제어단위의 구역 형태로 블록화 하였다. 대상 영역을 총 17개의 블록으로 권역화 하였으며, 이 블록별로 VS30에 따른 부지분류 수행을 통한 지진공학적 지반특성의 정량화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구축한 지반 DB를 토대로 구역화 된 블록별 지반조사 정보들 파악해 본 결과, 5개의 블록(블록 11, 블록 14~블록 17)에는 기존 지반 조사 자료가 존재하지 않았다.
  • 또한, 우리나라와 같이 시설물 지진피해 기록이 거의 전무한 경우에도 대상 시설물에 대한 취약도 곡선의 적용에 한계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록 지역적 특성이 다를 수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HAZUS의 구성 DB에 내장된 시설물 지진취약도 곡선을 우선 활용하고자 하였다.
  • 또한, 풍화암의 경우도 80m가 넘는 심도에서 조사되는 부지도 존재한다. 따라서 연구대상 해안시설 영역은 지진공학적 지반응답 특성의 다양성을 보이게 되고, 이러한 다양성은 HAZUS 기반 지진피해 예측의 기본적 특성 정보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 HAZUS에서는 피해 정도를 None부터 Slight, Moderate, Extensive, Complete의 순서로 총 5 단계로 제시하며, 지진취약도 곡선의 구분 단계와 동일하다. 또한, 각 시설물별 손상에 따른 피해액이 설정된 경우 손상 정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피해액을 산출하여 제시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영역 내의 다양한 시설구조물들에 대해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개수를 블록별로 구분하여 DB로 구현하였다.
  • 이러한 분류 지도를 적용하지 않게 되면 대상 영역은 단일 부지로 분류되므로 그 지진피해 예측의 공간적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대표적 시설구조물인 저장 탱크의 지진취약도 함수를 차별적으로 도출 반영하여 예측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병행하였다. 다양하고 복잡한 HAZUS 구성 DB를 파악 분석하고 연구 영역의 지진피해 해석을 위한 DB 수정 반영을 성공적으로 진행하여 체계적인 HAZUS 적용 절차 기법을 확립하였다.
  • 대상 영역에 대해 지반 특성을 지진공학적 관점에서 정량화함으로써 예측 신뢰도를 증진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HAZUS를 적용한 지진피해 예측의 기본적 지반 특성으로서 현행 국내외 내진설계기준의 부지분류 체계 (MOCT, 1997; ICC, 2000; Sun et al, 2005)에 따른 지반특성 정량화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부지분류 체계에서는 지진 시 지반운동의 증폭 정도를 우선 5 종류(A∼E 또는 S A ∼ S E )로 구분하게 된다.
  • HAZUS-MH Earthquake의 지진재해 산출 방법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확률론적 방법, 결정론적 방법, 그리고 지진동분포도와 같은 정보를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진원 특성 자료의 부족과 대상 지역의 강지진동 정보 부재 환경을 고려하여 확률론적 방법을 우선 적용하여 HAZUS의 적용성을 고찰하였다.
  •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일부 예시적 적용 수준에 국한되어 왔으며, 실제 대상 지역에 대한 지반특성의 합리적 고려나 시설물 특성의 개선 반영과 같은 체계적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HAZUS의 지역적 제한성을 극복하고 국내 해안 플랜트시설 영역 한 곳에 대한 체계적 지진피해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해안 시설 영역에 대한 HAZUS의 모범적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현주기 500년 규모 6.0 및 재현주기 2500년 규모 6.5의 두 종류 지진 조건에 대해 피해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림 9는 규모 6.
  • 본 연구에서는 지진피해 평가의 절차적 체계화 및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대상 영역 내 주요 시설물인 저장탱크를 대상으로 해석적 접근을 통한 지진취약도 곡선(그림 2)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HAZUS 적용을 위한 입력 확률변수인 평균과 분산으로 정리하였다(표 4).
  • HAZUS 내장 지진취약도 함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관심 시설물들의 구조 및 재료 형식에 따른 전문가적 분류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도 대상 영역에 대한 시설물 분류 및 적용을 통한 지진피해 평가 수행을 위하여, 위성영상을 이용한 초기의 가정적 추정 추출 과정과 그 이후 이어진 현장 답사를 통한 구조물 형식 및 재료에 따른 분류를 수행하고 시설물들의 규모에 해당되는 층수와 면적을 조사하였다. 답사 과정에서 각 시설물별 위치 번호를 부여하고 좌표를 획득하여 그에 따른 HAZUS에서의 유형 속성으로 정리하였다(FEMA, 2006;Zadeh, 2005).
  • HAZUS를 이용한 지진피해 산출 과정에서 보다 정확하고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내장 입력 DB 자료의 정확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영역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방문 조사와 현장자료 확보 분석을 병행하여 가능한 실질적 현황 자료를 반영하여 HAZUS DB에 입력하고자 하였다. HAZUS 활용을 위해 입력하여 구현해야 하는 DB는 미국 전체 주(state)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각 주별 County와 Tract 위치 정보를 저장한 syBoundary.
  • 구축한 지반 DB를 토대로 구역화 된 블록별 지반조사 정보들 파악해 본 결과, 5개의 블록(블록 11, 블록 14~블록 17)에는 기존 지반 조사 자료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블록에 대해서는 깊이 증가에 따른 전단파속도(VS ) 분포를 도출하지 않고 지형이나 과거 이력이 유사할 것으로 판단되는 주변 블록의 부지 분류 결과를 참고하기로 하였다.
  • 지진공학적 지반특성에 따른 지반운동 증폭 정도의 정량적 변화를 반영하여 해안시설 영역에서의 지진피해 예측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상이 해안 매립 및 인근 내륙 절토를 통해 조성한 복합 시설물 분포 영역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권역화 된 여러 제어단위의 구역 형태로 블록화 하였다. 대상 영역을 총 17개의 블록으로 권역화 하였으며, 이 블록별로 VS30에 따른 부지분류 수행을 통한 지진공학적 지반특성의 정량화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AZUS를 도입 적용한 우리나라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07; Nastev, 2014).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일부 예시적 적용 수준에 국한되어 왔으며, 실제 대상 지역에 대한 지반특성의 합리적 고려나 시설물 특성의 개선 반영과 같은 체계적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HAZUS의 지역적 제한성을 극복하고 국내 해안 플랜트시설 영역 한 곳에 대한 체계적 지진피해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해안 시설 영역에 대한 HAZUS의 모범적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HAZUS-MH란 무엇인가? HAZUS-MH는 지진, 홍수 및 허리케인의 세 가지 다중 재해현상에 대한 잠정적 손실을 추정하기 위한 GIS 기반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지진 재난에 대해서는 HAZUS에 설정한 가상이나 실제 지진 특성에 따라 지진동의 세기가 평가되고 이에 따라 손실을 계산하게 된다.
샌프란시스코의 지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HAZUS를 개발하고 모범적으로 적용해 오고 있는 지역 중의 한 곳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이다. 특히, 샌프란시스코는 강지진 구역에 위치하여 1906년 규모 8.3의 대지진과 같은 여러 지진피해 기록들이 축적되어 있고, 해안 도시 지역임에 따라 다양한 지반 및 시설물이 존재한다. 해안 지역의 다양한 지반특성 변화는 지진피해 정도의 공간적 변화와 관계되는데, 샌프란시스코 지역에서의 여러 조건들에 대한 HAZUS 적용 지진피해 평가 결과들과 기존 피해사례들과의 비교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Rowshande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orcherdt, R.D. 1994. Estimates of sitedependent response spectra for design (methodology and justification). Earthquake Spectra 10(4):617-653. 

  2. Fah, D., F. Kind, K. Lang and D. Giardini. 2001. Earthquake scenarios for the city of Basel.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21(5):405-413. 

  3. FEMA. 2006. $HAZUS^{(R)}MH$ MR2 User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Washington, D.C. 

  4. ICC. 2000. 2000 International Building Code. International Code Council. 

  5. Kang, S.Y. and K.H. Kim. 2009. A case study of GIS-based site classification in the Gyeongsang Province constrained by geologic and topographic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4): 136-145 (강수영, 김광희. 2009. GIS기반 의 지질.지형 자료를 활용한 경상도지역의 지반분류 사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 136-145). 

  6. Kang, S.Y., K.H. Kim, D.C. Kim, H.S. Yoo, D.J. Min and B.C. Suk. 2007. A preliminary study of the global application of HAZUS and ShakeMap for loss estimation from a scenario earthquake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47-59 (강수영, 김광희, 김동춘, 유해수, 민동주, 석봉출. 2007. 지진재해예측을 위한 HAZUS와 ShakeMap의 한반도에서의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47-59). 

  7. KIGAM. 2011. Development on technology of the real-time seismic monitoring and the seismic hazard prediction at metropolitan areas.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147pp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실시간 지진관측 및 대도시 지진위험도 예측 기술 개발. 지식경제부. 147쪽). 

  8. Lee, S.H., B.G. Kim and D.G. Jeong. 2006. Database design for development of the GIS-based earthquake damage evaluation system of highway bridg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0(3):135-147 (이상호, 김봉근, 정동균. 2006. 도로교의 GIS 기반 지진피해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10(3):135-147). 

  9. Lee, S.H. and Y.G. Jang. 2007. Development of a web-base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and assessing geotechnic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142-152 (이상훈, 장용구. 2007. 지반정보 분석 및 평가를 위한 웹기반 지리공간정보 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142-152). 

  10. MOCT. 1997. Study of seismic design guideline(I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492pp (건설교통부. 1997. 내진설계기준연구(II). 492 쪽). 

  11. Nastev M. 2014. Adapting Hazus for seismic risk assessment in Canada.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51(2): 217-222. 

  12. NEMA. 2013. Public announcement of national seismic hazard maps. NEMA Announcement No. 2013-179,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소방방재청. 2013. 국가지진위험지도 공표. 소방방재청 공고 제2013-179호). 

  13. NIDP. 2003.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earthquak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Ministry of Government Adminstration and Home Affairs. 109pp (국립방재연구소. 2003. 지진재해정보시스템 도입방안 연구. 행정자치부. 109쪽). 

  14. Papatheodorou, C., N. Klimis, Pr. Moutsokapas, S. Koutrakis and B. Margaris. 2007. Geotechnical earthquake hazard assessment based on a GIS platform.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Geotechnical Engineering. Thessaloniki, Greece, June 25-28, 2007. Paper No.1441. 

  15. Park, J.N. and E.S. Choi. 2007. Fragility analysis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seismic performance of building structur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1(3): 11-21 (박주남, 최은수. 2007. 취약도 해석을 통한 빌딩구조물의 내진성능 비교 및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11(3):11-21). 

  16. Rashed, T. and J. Weeks. 2003. Assessing vulnerability to earthquake hazards through spatial multicriteria analysis of urban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17(6):547-576. 

  17. Robinson, D., G. Fulford and T. Dhu. 2006. EQRM: Geoscience Australia's Earthquake Risk Model, Technical Manual Version 3.0. Record 2005/001. Geoscience Australia, Canberra, Australia. 

  18. Rowshandel, B., M. Reichle, C. Wills, T. Cao, M. Petersen, D. Branum and J. Davis. 2004. Estimation of Future Earthquake Losses in California. California Geological Survey. 492pp. 

  19. Schneider, P.J. and B.A. Schauer. 2006. HAZUS - Its development and its future. Natural Hazards Review 7(2):40-44. 

  20. Silva, V., H. Crowley, M. Pagani, D. Monelli and R. Pinho. 2014. Development of the OpenQuake engine, the Global Earthquake Model's open-source software for seismic risk assessment. Natural Hazards 72(3): 1409-1427. 

  21. Sun, C.G. 2010. Seismic site classes according to site period by predicting spatial geotechnical lay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4):32-49 (선창국. 2010.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공학적 부지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32-49). 

  22. Sun, C.G. 2012. Applications of a GISbased geotechnical tool to assess spatial earthquake hazards in an urban area.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5(7): 1987-2001. 

  23. Sun, C.G., B.S. Jung, J.H. Kim, S.K. Hong and K.S. Kim. 2010. Implementation of earthquake alarming system based on acceleration monitoring for coastal LNG receiving terminal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3):339-348 (선창국, 정병선, 김준호, 홍성경, 김기석. 2010. 해안 천연가스 인수기지에 대한 가속도 계측 기반의 지진경보 시스템 구축. 지질공학 20(3):339-348). 

  24. Sun, C.G., C.S. Cho, M. Son and J.S. Shin. 2013. Correlations between shear wave velocity and in-situ penetration test results for Korean soil deposits. Pure and Applied Geophysics 170(3):271-281. 

  25. Sun, C.G., D.S. Kim and C.K. Chung. 2005.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Engineering Geology 81(4):446-469. 

  26. Sun, C.G. and S.H. Chun. 2013. A preparato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ZUS for earthquake loss estimation at a coastal facility area in Korea.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2013. pp.15-18 (선창국, 천성호. 2013. 국내 해안 시설 영역의 지진피해 예측을 위한 HAZUS 적용성 고찰. 2013년 한국지진공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15-18쪽). 

  27. Sun, C.G., S.H. Chun, T.G. Ha, C.K. Chung and D.S. Kim.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tool for earthquake-induced hazard prediction. Computers and Geotechnics 35(3):436-449. 

  28. Sun, C.G., Y.J. Mok, C.K. Chung and M.M. Kim. 2006. Reliable evaluation of dynamic ground properties from cross -hole seismic test using spring-loaded lateral impact sourc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0(4):1-13 (선창국, 목영진, 정충기, 김명모. 2006. 스프링식 횡방향 발진 크로스홀 탄성파 시험을 통한 지반 동적 특성의 합리적 산정.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0(4):1-13). 

  29. Um, D.Y. 2008. A study of damage district forecast by imaginary tsunami scenario.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1):105-115 (엄대용. 2008. 가상 지진해일 시나리오에 의한 피해지역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1): 105-115). 

  30. Zadeh, M.M. 2005. An overview of HAZUS-MH earthquake loss estimation module.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Workshop 2005. pp.117-129 (Zadeh, M.M. 2005. An overview of HAZUS-MH earthquake loss estimation module.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Workshop 발표집. 117-129쪽). 

  31. FEMA. 2014. Hazus Software. http://www.fema.gov/hazus-softwa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