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SFCA 기반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구미시 노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 : A Case Study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in Gumi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4, 2014년, pp.112 - 128  

안재성 (경일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김이배 (경북행복재단) ,  박미라 (세종사이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구미시를 사례로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기반 접근성 변화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2SFCA는 기본인구가 증가하면 접근성이 감소하고, PPR(Provider to Population Ratio)이 증가하면 접근성이 증가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구미시 내부의 지역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 과정에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지역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미시 읍면 외곽지역처럼 노인복지시설과 멀리 떨어져 있는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미미하였다. 둘째, 기존 노인복지시설 주변 지역은 매개 변수값의 변화에 따라 접근성이 개선되거나 약화되는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노인인구가 많고 노인복지시설이 밀집해 있는 동 지역에서는 PPR의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고, 나머지 지역은 기본인구 변화에 따른 접근성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매개 변수값이 커지면 여러 곳의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구미시 중앙구역에서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양호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향후, 2SFCA 기반의 접근성 분석 과정에서 매개 변수값 선택을 위한 신중한 시나리오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vari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pattern based on 2SFCA(2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by changing its parameter values. The general pattern of the result of 2SFCA analysis shows that the spatial accessibility value is decreased by growing base population, while the...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접근성 측정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Talen(2003)은 공공서비스 입지 평가에서 사용되어 온 접근성 측정 방법을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는데, 계산 방식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이 가능하다. 접근성 측정 방법은 일정한 공간 범위에 포함되는 서비스 시설을 집계하는 방식 (컨테이너, 커버리지 모델), 서비스 이용자와 시설 간의 최소거리나 비용을 계산하는 방식 (최소거리, 이동비용 모델), 서비스 공급능력과 서비스 이용자 간의 거리마찰 효과를 고려하는 중력모델 기반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GIS의 발전으로 최소거리, 비용계산 방식이나 중력모델 기반 방법들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V2SFCA 방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 Luo and Whippo(2012)는 2SFCA 방법을 개선하였다. V2SFCA(Variable 2SFCA)라고도 불리는 이 방법은 사전에 정해 놓은 기준에 맞는 다양한 임계거리를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첫 번째 단계의 PPR 계산에서는 기준인구(base population)를 정한다.
2SFCA 적용 시 공간분석 단위가 세밀해질수록 어떻게 해야하는가? 2SFCA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적인 특성과 정책 목적에 맞게 수요와 공급의 범위를 정하고, 정해진 범위가 일반적인 기준이 아님을 유의하면서 결과를 해석해야 한다. 공간분석 단위가 세밀해질수록 분석 기준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준 설정과 결과 해석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ng, Y., J. Wang and M.W. Rosenberg. 2012. Spatial access to residential care resources in Beiji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1:1-32. 

  2. Cho, D.H,, J.Y. Shin, K.Y. Kim and G.H. Lee. 2010. An analysi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public healthcare services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2):137-153 (조대헌, 신정엽, 김감영, 이건학. 2010. 농촌지역 공공 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2):137-153). 

  3. Dai, D. and F. Wang. 2011. Geographic disparities in accessibility to food stores in southwest Mississippi. Environment and Planning B 38(4): 659-677. 

  4. Higgs, G. 2004. A literature review of the use of GIS-based measures of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Health Services & Outcomes Research Methodology 5:119-139. 

  5. Huh, W.K. 2004. Analyzing accessibility with GIS-Transportation : a review. Journal of Geography 43:1-27 (허우긍. 2004. 교통지리정보시스템(GIS-T)에 기반한 접근성 분석. 지리학논총 43:1-27). 

  6. Kim A.Y. and B.W. Jun. 2012.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76-86 (김아연, 전병운. 2012.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76-86). 

  7. Kim, Y.B. and J.S. Ahn. 2014.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cessibility to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use in Gyeongpuk province utilizing GIS. Social Welfare Policy 41(3):107-125 (김이배, 안재성. 2014. GIS를 활용한 경북 사회복지 이용시설의 접근성 비교 연구. 사회복지정책 41(3):107-125). 

  8. Kim, Y.H. and M.H. Jo. 2003. 3D visualization approaches for evaluation location solution performan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6(3):21 -32 (김영훈, 조명희. 2003. 시설물 접근성 분석을 위한 GIS의 3차원 시각화 기법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3):21-32). 

  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2011.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local government's organization and operation : analysis of social welfare manpower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지방자치단체 조직운영실태 분석.진단 3과제 : 사회복지인력 운영 분석. 진단). 

  10. Luo, W. 2004. Using GIS-based floating catchment method to assess areas with shortage of physicians. Health & Place 10:1-11. 

  11. Luo, W. and F. Wang. 2003. Measures of spatial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in a GIS environment: synthesis and a case study in the Chicago region. Environment and Planning B 30(6):865-884. 

  12. Luo, W. and T. Whippo. 2012. Variable catchment sizes for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Health & Place 18:789-795. 

  13. Luo, W. and Y. Qi. 2009. An enhanced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E2SFCA) method for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rimary care physicians. Health & Place 15:1100-1107. 

  14. Ma, S. and H.S. Kim. 2011. Accessibility to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rough GIS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inland areas in Incheon.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0:61-75 (마세인, 김흥순. 2011.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인천시 내륙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70:61-75). 

  15. McGrail, M.R. 2012.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health care utilizing the two 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 an assessment of recent improve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11:1-12. 

  16. McGrail, M.R. and J.S. Humphreys. 2009a. Measuring spatial accessibility to primary care in rural areas :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Applied Geography 29:533-541. 

  17. McGrail, M.R. and J.S. Humphreys. 2009b. The index of rural access : an innovative integrated approach for measuring primary care access. BMC Health Service Research 9:1-12.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2014 Report on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보건복지부. 2014. 2014년 노인복지지설 현황). 

  19. Schuurman, N., M. Berube and V.A. Crooks. 2010. Measuring potential spatial access to primary health care physicians using a modified gravity model. Canadian Geographer 54:29-54. 

  20. Seo, H.J. and B.W. Jun. 2011.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76-86 (서현진, 전병운. 2011.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4):221-237). 

  21. Sohn, J.Y. and S.K. Oh. 2007. Measuring accessibility of day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n Seoul using GIS spatial analysi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3(5):576-594 (손정렬,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 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576-594). 

  22. Son, K.H. 2013. A case study on functional shift and specializ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 to social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utilizing GIS analysi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4:99-125 (손광훈. 2013. GIS를 이용한 사회복지관의 장애인복지 기능전환 및 특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4: 99-125). 

  23. Talen, E. 2003. Neighborhoods as service providers: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pedestrian access. Environment and Planning B 30:181-2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