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지구과학회지 논문(1979-2014)의 정량적 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during 1979-2014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7, 2014년, pp.562 - 571  

조영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지구과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1979년 창간 한 이후 36년간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의 학술교류와 다음 세대 교육에 큰 역할을 한 한국지구과학회지에 출판된 논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지구과학회지를 통하여 2014년 8월 기준 35권 1,544편의 논문이 실렸고, 년 간 실리는 논문 수도 증가하여 왔다. 한국지구과학회지에 실린 논문들은 지구과학 내용학 관련 논문이 69.3%, 지구과학 교육학 논문이 30.7%이며, 내용학 논문 중 지질학 55.2%, 대기과학 17.6%, 환경과학 16.0%, 해양학 6.0%, 천문학 5.2%의 분포를 보였다. 최근 들어 대기과학과 환경과학 논문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지구과학 교육학 관련 논문수는 15년 전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2008년 12월 창간호를 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의 창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외국인 저자들의 공동 참여 논문 수는 53편으로 전체 논문의 3.4%에 불과하여 한국지구과학회지가 우수등재학술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회지의 양적인 팽창 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영문 홈페이지 개선과 함께 국제적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육부는 앞으로 학술지 등재제도의 지나친 문제점의 발생으로 학술지 등재제도 폐지를 통한 학계 자율평가체제로의 전환을 구상 중이며 한국지구과학회지도 이러한 미래의 변화에 대해 철저히 준비하여 학회의 위상을 제고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eleb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the whol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JKES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JKESS has played a major role in exchanging academically among earth science education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79년 창간 이후로 2014년 8월까지 발행된 논문을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학 논문으로 양분하여 보았다(Table 2). 2014년 8월 현재 한국지구과학회지 총 논문 1544편 중 지구과학 내용학 논문은 1070편으로 전체 69.
  • 1979년부터 2014년 8월까지 36년 동안 발간된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양적인 변화와 더불어 논문을 지구과학 내용학, 지구과학 교육학으로 영역별로 분류하여 년에 따른 논문 주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인 논문 자료들은 ‘환경지질연구정보센터(http://ieg.
  • 그러나 년도 별 논문수의 양적인 변화와 외국인 참여 논문 수의 변화를 알아 볼 때는 2014년 35권이 아직 완전히 발행되지 않고 진행 중인 관계로 2013년까지 발행된 1권부터 34권까지의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전체 논문을 지구과학 내용 학과 지구과학교육학으로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어 양적인 조사를 하였고, 지구과학 내용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천문학,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환경과학으로 나누었다. 특히 논문수가 제일 많은 지질학 영역은 일반지질학, 지사학, 지구물리학으로 세분하여 양적인 조사를 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지구과학회지를 정량적으로 고찰하여 지난 36년간 게재된 논문의 양적인 분석과 지구과학 내용학 관련 논문들을 분야별로 세분하여 시간에 따른 양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구과학 교육학 관련 논문들을 연구 소재 별로 나누어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논문의 저자인 연구자들의 연구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논문의 저자 수와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주저자와 제 2저자들의 성비를 알아보고, 논문 저자에 외국인의 참여 정도를 알아보았다.
  • 마지막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한 논문들을 1인 집필, 2인 집필, 3인 이상 집필로 그 비율을 알아보았고, 주저자와 제2저자들의 논문 저술 횟수, 주저자와 제2저자들의 성비, 외국인 저자 참여 정도를 알아보았다.
  • 둘째, 지구과학 교육학 관련 논문들을 연구 소재 별로 나누어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논문의 저자인 연구자들의 연구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논문의 저자 수와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주저자와 제 2저자들의 성비를 알아보고, 논문 저자에 외국인의 참여 정도를 알아보았다.
  • 특히 논문수가 제일 많은 지질학 영역은 일반지질학, 지사학, 지구물리학으로 세분하여 양적인 조사를 하였다. 셋째, 한국지구과학회 저자들의 저술 활동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논문 당 저자 수, 논문 저자의 성비, 외국인 참여 비율을 조사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학회 창립 50주년을 맞아 본 논문에서는 첫째, 한국지구과학회지를 정량적으로 고찰하여 지난 36년간 게재된 논문의 양적인 분석과 지구과학 내용학 관련 논문들을 분야별로 세분하여 시간에 따른 양적인 변화를 분석하였다. 둘째, 지구과학 교육학 관련 논문들을 연구 소재 별로 나누어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 일반교육학 관련 논문을 제외한 나머지 지구과학교육학 논문을 논문 소재에 따라 천문학 교육학, 지질학 교육학, 해양학 교육학, 대기과학 교육학, 환경과학 교육학 논문으로 나누어 상대적인 양을 비교하였다(Fig. 8). 지질학 논문은 지구과학 내용학 논문 중 55.
  • 첫째, 지난 1979년부터 2014년 8월까지 36년간 발행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그 동안 발행된 발간 권수, 발행 회수, 게재된 논문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년도 별 논문수의 양적인 변화와 외국인 참여 논문 수의 변화를 알아 볼 때는 2014년 35권이 아직 완전히 발행되지 않고 진행 중인 관계로 2013년까지 발행된 1권부터 34권까지의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주저자와 제2저자의 남·녀 성비를 알아보았다.
  • 한편, 지구과학 내용학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1979년부터 2014년 8월까지 게재된 지구과학 내용학 논문을 천문학,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환경과학 분야 별로 양적 분석을 하였다. 전체 지구과학 내용학 논문 1070편 중 지질학 논문은 591편으로 55.
  • 한편, 지구과학교육학 논문을 논문 소재에 따라 천문학,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환경과학, 일반교육학 관련 교육학 논문으로 분류하였다(Fig. 7). 교과서 분석, 교사에 관한 연구, 교육학 전반에 관한 것, 예비 교사 연구, 영재아 연구, 영재아 부모에 관한 연구, 과학관이나 박물관에 관한 연구, 교육제도 개선에 대한 연구, 과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예비고사, 학력고사, 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문항 분석 등을 다룬 일반 교육학 관련 논문이 279편으로 전체 교육학 논문의 58.

대상 데이터

  • 첫째, 지난 1979년부터 2014년 8월까지 36년간 발행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그 동안 발행된 발간 권수, 발행 회수, 게재된 논문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년도 별 논문수의 양적인 변화와 외국인 참여 논문 수의 변화를 알아 볼 때는 2014년 35권이 아직 완전히 발행되지 않고 진행 중인 관계로 2013년까지 발행된 1권부터 34권까지의 학회지에 실린 논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둘째, 전체 논문을 지구과학 내용 학과 지구과학교육학으로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어 양적인 조사를 하였고, 지구과학 내용학은 연구 주제에 따라 천문학, 지질학, 해양학, 대기과학, 환경과학으로 나누었다.
  •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인 논문 자료들은 ‘환경지질연구정보센터(http://ieg.or.kr)’에서 검색할 수 있다.
  • 외국인 공동 저자들의 국적은 일본, 미국, 인도, 캐나다, 중국, 브라질 등 14개국이었다. 이 중 8명의 외국인이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하였다. 이는 2008년 SCI(E)급 국내 논문의 평균 외국인 참여 비율인 22% (Kim and Chung, 2010)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치임을 알 수 있어 앞으로 활발한 지구과학회지의 영문 홈페이지 개선과 함께 홍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학문의 발달에 있어서 국제화 교류는 필수적이다. 창립부터 2013년까지 한국지구과학회지의 년도 별 외국인 저자 참여 논문 수의 변동을 알아보았다(Fig. 11). 국제 공동 연구의 논문 통계는 저자의 소속 기관 주소로부터 작성하였다.
  • 한편, 1963년부터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졸업생들이 배출되면서 1969년 5월 4일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일선 교육을 향상시키고 친목 도모를 취지로 ‘한국지구과학교육회’가 창설되었다. 초대회장에 당시 동성고등학교의 조선형 선생이 선출 되었다. 이 무렵 ‘지학교육연구회’와 ‘한국지구과학교육회’를 합치자는 의견이 제의되어 1973년 5월 26일 두 단체의 간부들이 모여서 통합된 새로운 학회를 만들기로 합의하고, 학회 명칭은 ‘한국지구과학교육회’로 하였으며 초대 회장에 유경로 교수가 취임하였다.
  • 한국지구과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주저자와 제2저자의 남·녀 성비를 알아보았다. 통계자료는 한국지구과학회 회원 명단과 KCI (Korea Citation Index)에서 제공한 학회 DB에서 추출하여 사용하였으며, 주저자와 제2저자 중 외국인 32명, 성별을 확인하지 못한 30명을 제외한 999명의 주저자와 제2저자에 대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 중 763명, 76.
  • 한국지구과학회지에 1979년부터 2014년 8월까지 36년간 총 35권, 154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Table. 1). 권당 발행 횟수는 1회에서 8회까지 양적인 변화를 보였고 평균적으로 년 간 4.
  • 2000년도 초반에 외국인 참여 논문 수가 많은데, 특히 2003년에는 외국인 참여 논문 수가 6편이었다. 한국지구과학회지에 2014년 8월까지 게재된 논문 중 외국인이 참여한 논문 수는 53편으로 전체 논문의 3.4%였고, 68명의 외국인이 저자로 공동 참여하였다. 외국인 공동 저자들의 국적은 일본, 미국, 인도, 캐나다, 중국, 브라질 등 14개국이었다.
  • 한국지구과학회지에 논문을 게재한 저자들의 연구 활동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해 논문의 주저자와 제2저자들을 대상으로 저술 횟수를 조사하였다(Table 5). 주저자와 제2저자들 중 1회 저술 활동으로 그친 연구자는 1,061명 중 664명으로 6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지구과학교육회는 어떤 취지로 창설되었는가? 한편, 1963년부터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졸업생들이 배출되면서 1969년 5월 4일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일선 교육을 향상시키고 친목 도모를 취지로 ‘한국지구과학교육회’가 창설되었다. 초대회장에 당시 동성고등학교의 조선형 선생이 선출 되었다.
'지학교육연구회'의 성과에 대해 설명하라. 한국지구과학회는 1965년 한국자연과학교육연구회(Korean Science Education Study Committee)의 지학분과인 ‘지학교육연구회’로 출발했으며 1대 회장은 손치무 교수이다(Yoo, 1989; Woo, 2004). ‘지학교육연구회’는 우리나라 지구과학 교육과정 및 ESCP(Earth Science Curriculum Project)연구, 세미나 개최, 1967년 지구과학 교사 양성, 1968년 지구과학이 고등학교에서 필수과목으로 인정되도록 노력하는 등 많은 지구과학과 지구과학교육관련 성과를 거두었다.
학국지구과학회지의 학술지의 영향력지수는? 3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의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는 0.89, ‘한국지구과학회’의 ‘한국지구과학회지’는 0.7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의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는 0.28로 ‘한국지구과학회지’의 영향력 지수가 다른 자연과학 학술지에 비해 월등하게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D.K. and Hwang, H.A., 2004a, Paleontological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last hundred years (1903-2003).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0, 59-70. (in Korean) 

  2. D.K. and Hwang, H.A., 2004b, Trends in paleontological research in Korea during the last twenty years (1984-2003). Journal of the Paleontology Society of Korea, 6, 1-35. (in Korean) 

  3. Kim, W.J. and Chung, Y.M., 2010, A study on research collaboration among Asian countries in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 103-123. (in Korean) 

  4. Korea Citation Index, 2012, Impact factor of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https://www.kci.go.kr/ (August 5th 2014) 

  5. Pak, S.J., 1996, Prospect and retrospect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6, 486-490. (in Korean) 

  6. Seo, R.H., 2005, An analysis o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Unpublished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68 p. (in Korean) 

  7. Shin, D.H.,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 479-487. (in Korean) 

  8. Woo, Y.K., 2004, History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Proceedings of Autumn Conference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Seoul, Korea, 3-10. (in Korean) 

  9. Yoo, K.R., 1989, History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0, 240-24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