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분석
Analysis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bout 'Stellar Evolu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5, 2019년, pp.538 - 547  

하민경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손정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본 연구는 현직 및 예비 지구과학교사의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개념 지위 분석틀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해 가능성 영역에서 현직교사의 비과학적 용어 사용이 다수 발견되었고, 그래프작성에서 낮은 과학적 탐구 능력과 개념에 대한 비과학적 비유가 발견되어 교수 과정에서 잘못된 개념 전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는 중등교육과정 연계 문항에서 다수의 오류를 보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이 더 잘 될 수 있도록 예비교사 교육 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겠다. 개연성 영역에서, 두 집단 모두 별의 진화가 갖는 우주론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었으나, 예비교사의 별의 실제기작에 대한 설명이 구체적이지 않았다. 유용성 영역에서, 현직교사는 지구과학의 학문적 특성을 반영한 교육적 고민을 하고 있었고, 지식을 현실 문제해결에 활용, 적용하려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 예비교사는 높은 무응답률을 보여 H-R도와 별의 진화를 실용적 개념으로 파악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집단 모두에서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이 다수 발견되어 교사 교육 및 교수 학습 계획 수립 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bout the H-R diagrams and evolution of stars using conceptual status analysis categories. The results show that (a) many teachers use unscientific language in the Intelligibility range, (b) teac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직 및 예비교사의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개념 이해의 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두 집단에서 발견된 비과학적 개념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Hewson과 Lemberger(2000)의 개념지위 분석 목록을 활용하여 별이 진화에 관련한 지구과학I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지구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문항을 제작하고, 문항 별 답변과 하위 개념 지위 요소를 연계하여 관련 개념 이해에 대한 결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분석 과정에서 발견된, 과학적이지 않은 개념을 ‘비과학적 개념(Unscientific Conception)으로 나타내었다.
  • 결과 분석 과정에서 발견된, 과학적이지 않은 개념을 ‘비과학적 개념(Unscientific Conception)으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H-R도와 별의 진화에 대한 교사들의 개념 이해를 확인하고, 과학적 교수학습 계획 수립을 위한 정보와 교사 교육 및 천문 교육의 제안점을 찾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sner et al.(1982)의 개념변화모델에서 개념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은 무엇인가? Posner et al.(1982)는 개념변화모델(CCM, Conceptual Change Model)을 설명하며 개념변화가 일어나기 위해 충족되어야하는 4가지 조건(불만족, 이해가능성, 개연성, 유용성)을 제안했다(Syuhendre, 2017). Tholrey (1996)는 이해 가능성(Intelligibility), 개연성(Plausibility), 유용성(Fruitfulness)과 같은 개념변화모델의 핵심개념 을 표현하기 위해 개념의 표상(Representational)의 예를 추출하여 과학교실담화에 활용할 수 있는, 개념적 내용 구조화를 위한 분석 목록을 개발하였다(Thorley and Stofflett, 1996).
H-R도란 무엇인가? 2015개정교육과정 지구과학1의 내 용 요소 중에는 H-R도와 별의 진화가 포함되어 있 다. ‘H-R도’는 별의 광도와 온도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천문학자들은 이를 활용하여 별분류 및 크기, 온도, 진화를 이해하고, 거리를 추론할 수 있다(Riddle, 2017). 즉, ‘H-R도’와 ‘별의 진화’는 천문학에서 중요한 주제이다
교수학습의 성패 평가를 위해 교사 대상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교수학습의 성패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교사 대상 연구가 필요하다. 많은 학생들이 교사와의 교수 학습 활동을 통해 개념을 형성하고(Kwak, 2002), 교사가 교과 내용 지식이 부족한 단원을 가르치는 경우 효 과적인 수업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Childs and McNicholl, 2007). 초중등 교사들은 천문 단원에서 지도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고(Park and Park, 2018; Shin and Lee, 2011), 교사도 학생과 동일한 대안 개념을 갖고 있는 것으로(Song, 2003)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iley, J. M. 2007, Development of a concept inventory to assess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asoning difficulties about the properties and formation of stars. Astronomy Education Review, 6(2), 1-7. 

  2. Childs, A., & McNicholl, J. 2007,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practice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3), 1629-1653. 

  3. Choi, Joontae, Lee, Kiyoung and Park, Jaeyoung, 2018,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A Case of Planetarium Class at Science Museum, 40(1), 86-106. (in Korean) 

  4. Choi, Jin Hye and Chun, Jae sun, 2015, Analysis of Immunity Conceptual Status between Inservice and Preservice Biology Teacher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 173-193. (in Korean) 

  5. Duit, R., & Treagust, D. F. 2003, Conceptual change: A powerful framework 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6), 671-688. 

  6. Hewson, P., & Lemberger, J. 2000, Status as the hallmark of conceptual learning. Improving Science Education: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110-125. 

  7. Jo, Hoon & Sohn, Jungjoo, 2018,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es Related to the Moon, School Science Journal, 12(4), 453-466. (in Korean) 

  8. Jeong, Eui Oan & Sohn, Jungjoo, 2016, Geocentric Parallax Measurements of Near-Earth Asteroid using Baselines with Domestic Small-Size Observatori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7(7), 398-407. (in Korean) 

  9. Park, Ki Rak & Park, Hyun Ju, 2018,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ceptual Change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2), 193. (in Korean) 

  10. Kim, Miyoung, & Kim, Heui-Baik, 2007,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in Model-Based Instruction for Blood Circulatio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5), 379-393. (in Korean) 

  11. Kwak, Youngsun, 2002,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lativist Epistemology and their Pedagogical Belief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3), 221. (in Korean) 

  12. Lee, Kiyoung, 2009,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3), 330. (in Korean) 

  13. Park ji hyun et al., 2011, The Cross-sectional Analysis of Students' Conceptual Status on Genetics.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39(3), 313. (in Korean) 

  14. Riddle, B. 2017, Star chart.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5. Ryu, Jisun, 2008, Understandings about the Big Bang of th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 367. (in Korean) 

  16. Shin, Dong-Hee, 2000, Past, Present, and Future of Earth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1(4), 479-487. (in Korean) 

  17. Shin, Myeung-Ryeul & Lee, Yong-seob, 2011, A Survey on Astronomical Spatial Concept and Attitudes About Astronomy For Establishment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Astronomy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he earth science education, 4(2), 177-185. (in Korean) 

  18. Song, Jinwoong, 2003, Constructivist Science Education and the Map of Students' Physics Misconcep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2(2), 87. (in Korean) 

  19. Ryu, Sun Hee et al., 2012, Analysis of Conceptual Status Difference of Evolu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Their Interest and Acceptance about Evolution Theory.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40(40), 395-411. (in Korean) 

  20. Syuhendri, S. 2017, A Learning Process Based On Conceptual Change Approach to Foster Conceptual Change In Newtonian Mechanics. Journal of Baltic Science Education, 16(2), 228-240. 

  21. Thorley, N. R., & Stofflett, R. T. 1996,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ual change model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0, 317-339. 

  22. Tsui, C., & Treagust, D. F. 2004, Motivational aspects of learning genetics with interactive multimedia. American Biology Teacher (National Association of Biology Teachers), 66(4), 277-285. 

  23. Tsui, C., & Treagust, D. F. 2007, Understanding genetics: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conceptual statu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205-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