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연령주기별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Vulnerable Elderly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419 - 431  

신계영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경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ccording to age groups in vulnerable elderly women.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with 1,533 elderly women beneficiaries of the visiting health care program in Seoul. The p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령과 여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을 연령주기별로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일 도시의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대상자만을 포함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지만 연령주기별로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이 다름을 파악한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여성노인들의 연령주기별 건강 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연령주기별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정보가 미비한 상태에서 신체적 건강관련 특성으로 만성질환 수, 기능적 건강관련 특성으로 일상생활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도구적 일상생활활동(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심리적 건강관련 특성으로 우울과 주관적 건강지각의 다각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령주기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들이 겪고 있는 주된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노인들이 겪고 있는 주된 어려움은 건강문제 (39.3%)와 경제적 어려움(36.4%)으로써(Statistics Korea, 2013),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 상위계층으로 불리는 취약계층은 건강에 위해한 요인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위험요인에 노출된 후 이에 대한 대처능력이 약하여 신체적, 정신적으로 악화되기 쉬운 집단이므로(Park, Ma, & Choi, 2010),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Jeon & Choi, 2010; Park, 2013; Tajvar, Arab, & Montazeri, 2008). 따라서 고령과 여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 여성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주관적 건강지각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한편, 만성질환 수도 본 연구에서 전기고령노인과 중기고령노인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요인이었지만 주관적 건강지각의 영향력 보다는 낮았고 후기고령노인에서는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었다. 이는 여성노인이 만성질환을 여러 개 앓고 있다 하더라도 자신의 건강상태를 ‘이만하면 좋다’라고 인식한다면 건강관련 삶의 질이 악화되지 않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후기고령노인으로 나아갈수록 만성질환을 수용하게 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화에 따라 불가피하게 겪게 되는 질환을 조기에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만성화되지 않도록 노력함과 더불어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상황이더라도 주관적 건강지각을 향상시킴으로써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의 연령주기별 구분법은 무엇인가요? 노인을 연령주기별로 구분하면 65-74세의 전기고령 노인(young old), 75-84세의 중기고령노인(old old), 그리고 85세 이상의 후기고령노인(oldest old)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Damian, Ruigomez, Pastor, & Martin-Moreno, 1999; Jeon & Choi, 2010), 우리나라의 전기고령노인은 2010년 62.4%에서 2060년 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ghamolaei, T., Tavafian, S. S., & Zare, S. (2009).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living in Bandar Abbas, Iran: A population-based study. Acta Medica Iranica, 48(3), 185-191. 

  2. Borgaonka, M. R., & Irvine, E. J. (2000). Quality of life measurement in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order. Gut, 47(3), 444-454. http://dx.doi.org/10.1136/gut.47.3.444 

  3. Damian, J., Ruigomez, A., Pastor, V., & Martin-Moreno, J. M. (1999). Determinants of self assessed health among Spanish older people living at home,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53(7), 412-416. http://dx.doi.org/10.1136/jech.53.7.412 

  4. Jeon, E. Y., & Choi, Y. H. (2010).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 in vulnerable aged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3), 400-410.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400 

  5. Jung, K. H. (1997).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Health Welfare Forum, 13, 43-52.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periodical/forum/view.jsp?bid19&aid51&ano4 

  6. Jung, J. Y., Kim, J. S., Choi, H. J., Lee, K. Y., & Park, T. J. (2009). Factors associated with ADL and IADL from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III), 2005. Journal of Korean Family Medicine, 30(8), 598-609. http://dx.doi.org/10.4082/kjfm.2009.30.8.598 

  7. Kang, H. J., & Kim, Y. J. (2009). Life satisfaction of older women focused on household types and poverty level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1), 71-80. 

  8.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2), 298-307. 

  9. Kim, J. I. (2013).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1), 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10. Kim, Y. H. (2013).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age among vulnerabl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3), 1342-1349. 

  11. Kim, E. Y., Shin, E. Y., & Kim, Y. M. (2004). Caregiver burde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caregiv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5-13. 

  12. Lee, S. H. (2013). Gender difference in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12), 523-535. http://dx.doi.org/10.14400/jdpm.2013.11.12.523 

  13. Lee, H. S., Kim, H. S., & Jung, Y. M. (2009).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 12-22. 

  14. Park, K. Y. (2013).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gender among elderly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6), 3219-3233. 

  15. Park, D. S., Ma, S. J., & Choi, K. E. (2010). Current situation of the rural vulnerable class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Centered o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grandparents-grandchildren famili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Research Report R612/2010.10.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library.krei.re.kr/dl_images/001/033/R612.pdf 

  16. Park, K. E., Kwon, M. H., & Kwon, Y. E. (2013). Correlation among depression, death anxiety, and quality of life of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527-538.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3.527 

  17. Sheikh, J. A., & Yesavage, J. A. (1986). Geriatric depress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pp. 165-173). NY: the Haworth press. 

  18. Shin, K. R., Byeon, Y. S., Kang, Y., & Oak, J.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37-444. http://dx.doi.org/10.4040/jkan.2008.38.3.437 

  19. Smith, J., Borchelt, M., Maier, H., & Jopp, D. (2002).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Journal of Social Issues, 58(4), 715-732. http://dx.doi.org/10.1111/1540-4560.00286 

  20. Statistics Korea. Daejeon. (2013). Statistics of aged.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kosis.kr 

  21. Statistics Korea. Daejeon. (2012). Life table. national approval statistics 10135.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kosis.kr 

  22. Statistics Korea. Daejeon. (2010). Estimated future population: 2010-2060.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kosis.kr 

  23. Statistics Korea. Daejeon. (2009). Report on the social survey. Retrieved June, 10, 2014, from http://kostat.go.kr 

  24. Tajvar, M., Arab, M., & Montazeri, A. (2008). Determinant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in Tehran, Iran. BMC Public Health, 8, 323. http://dx.doi.org/10.1186/1471-2458-8-323 

  25. Ware, J. E., Kosinski, M., Dewey, J. E., & Gandek, B. (2001).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Lincoln: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6. Won, C. W., Yang, K. Y., Rho, Y. G., Kim, S. Y., Lee, E. J., Yoon, J. L., Cho, K. H., Shin, H. C., Cho, B. R., Oh, J. R., Do, K. Y., Lee, H. S., & Lee, Y. S.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ale. Journal of Korean Geriatric Society, 6(2), 107-120. 

  27. Yang, S. A. (2012).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a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158-173.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158 

  28. Yang, S. O., Cho, H. R., & Lee, S. H. (2014).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nior centre by region: Focus o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 501-5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