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업장 규모별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요양 실태와 영향 요인
Analysis of the Factors Regarding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by Company Size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522 - 535  

정성원 (극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경하 (근로복지공단 근로복지정책연구센터)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과) ,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structed in order to examine factors that influenc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WMSD) approvals and current status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study that utilized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Claim Data. Workplaces with over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의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승인자의 현황을 사업장 규모별로 분석하고 이들의 근골격계질환 요양 특성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사업장 규모별로 맞춤형 근골격계질환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요양 특성을 사업장 규모별로 비교분석하고 요양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사업장 규모별 맞춤형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사업장 규모별 근로자의 업무상 근골격계 질환 요양 실태와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특히 대규모 사업장에 비해 중소사업장은 노동집약적 작업, 열악한 작업환경 등 근골격계질환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예방대책에 대한 법적 조치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Park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사업장에서 근골격계질환을 신청하여 승인된 자 중 요양서비스를 받는 자가 실제 어떠한 특성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실제로 얼마나 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지를 사업장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이란 무엇인가?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이란 근육, 뼈, 신경, 건, 인대, 관절 연골, 척주의 추간판 등에 영향하는 손상이나 기능부전으로, 업무에 종사한 기간과 시간, 업무의 양과 강도, 업무수행 자세와 속도, 업무수행 장소의 구조 등과 반복동작, 무리한 힘을 가하는 업무, 부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는 업무, 진동, 그 밖에 특정 신체 부위에 부담되는 상태에서 하는 업무 등이 복합적으로 관련되어 근로자의 팔, 다리, 또는 허리부분에 근골격계 질병이 발생하거나 악화된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Enforcement decree of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Article 34). 1993년 당시 직업성질환 총 1,413건 중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은 2건에 불과 하여 발생률이 0.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발생 고위험 직업군과 그이유는 무엇인가?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발생은 연령, 성별, 흡연, 운동, 근력, 신장, 몸무게, 체질량 지수 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함께(Bernard, 1997), 작업자세나 동작, 반복적인 업무, 진동, 온도, 부적절한 의사소통, 지지 부족 등 매우 다양한 요소와 관련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uno & Edgar, 2010;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14). 업무상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인체공학적 위험에 만성적으로 폭로되는 고위험 직업군은 농산물 포장 작업자, 자동차 정비업자, 목수, 부품조립자, 연마 및 세공자, 미용업자 등으로 영세 소규모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용 작업인원이 적기 때문에 장시간 근무하게 되어 근골격계 증상을 호소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o, Shin, Chae & Lee, 2011; Chai, 2009; Choi, Choi & Cha, 2006). 이렇듯 작업환경 특성상 소규모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호소율이 대규모 사업장에 비해 높음에도 불구하고, 근골격계질환의 발생 보고에 있어 대규모 사업장에 비해 소규모 사업장이 질환발생 보고를 적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소규모 사업장 종사자들 중에는 산재신청을 하지 않은 잠재적인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자는 더 많을 것이라 우려된다.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은 막대한 보상비용과 치료비용을 발생시키고 작업손실과 생산성 저하를 포함하여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동반하기 때문에 개인뿐 아니라 가족, 사업주 및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Choobineh, Sani & Rohani 2009; Turner et al.,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rnard B. P.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ttp://www.cdc.gov/niosh/docs/97-141/ 

  2. Bruno R. da Costa & Edgar Ramos Vieira. (2010).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ongitudinal studi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3(3), 285-323. http://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jim.20750/abstract 

  3. Canadian Centr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2014, January). What are the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Retrieved July 3. 2014. from http://www.ccohs.ca/oshanswers/ergonomics/risk.html 

  4. Chai K. J. (2009). A study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revention in the skin beauty artis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7(4), 73-85. http://www.kosac.or.kr/bbs.html?bidpaper&sk&kc0&kt%5B%5D&ks&pop&kh0&cp8&bno545&actview 

  5. Choi M. G., Choi S. B. & Cha S. E. (2006). A survey on the subject symptom an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1(6), 106-115. http://www.koreascience.or.kr/search/articlepdf_ocean.jsp?urlhttp://ocean.kisti.re.kr/downfile/volume/kiis/HOJHB0/2006/v21n6s78/HOJHB0_2006_v21n6s78_106.pdf 

  6. Choobineh A., Sani G. & Rohani M. (2009). Perceived demand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employees of an Iranian petrochemical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39, 766-770. http://dx.doi.org/10.1016/j.ergon.2009.01.001 

  7. Hwang M. J.(2008). Study on depression, functional disabilities, family support and rehabilitation program satisfaction of the industrial disaster victims suffering from chronic low back pai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Hwang R. I., Kim K. H., Suk M. H. & Jung S. W. (2014).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the korean worker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1(1), 65-74. http://www.dbpia.co.kr/Article/3438327 

  9. Jung J. G. & Ahn H. H. (2012). A study on the strategy for improvement to reduc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of small business.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2012(2), 31-37. 

  10. Kim B. K., Park J. Y., Yim H. W., Koo J. W. & Lee K. S. (2005). Selection of a high risk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an exercise program on musuloskeletal symptom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1), 10-25. http://www.dbpia.co.kr/Article/989655 

  11. Kim K. S., Park J. G. & Kim D. S. (2010).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4), 405-422. http://dx.doi.org/10.5143/JESK.2010.29.4.405 

  12. Kim, K. H. (2012). Analysi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recuperation conditions. Seoul: Labor Welfare Research Center,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frm1&sourceweb&cd1&ved0CB4QFjAA&urlhttps%3A%2F%2Fwww.kefplaza.com%2Flabor%2Fdown.jsp%3Fidx%3D12321%26fileId%3D11894&eid9bkU-CSOIfs8AXuwYGwCg&usgAFQjCNEIzQ_8sMb6ovAMg4c1pzGpIPAp7g&sig2eBNpc0n3F0SYRJ65yHGQ7Q&bvmbv.72676100,d.dGc&cadrjt 

  13. Kim, K. H., Hwang, R. I. & Suk, M. H. (2013). The trends and statu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under Korean worker's oompensation syste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102-111. http://www.earticle.net/article.aspx?sn199390 

  14. Kim, Y. S. (2014). A study on the non-regular worker's scale among large enterprises in Korea. Seoul: Korea Labor & Society Institute. 

  15. Koo H. R., Shin Y. S., Chae H. S. & Lee K. S. (2011). The research of job stress and MSDs symptoms of small plants with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18(4), 861-877. 

  16. Lee S. G. (2013). A study on reorganization plan of labor law system and policy for the aging employment security and promotion. Kyung Hee Law Journal, 48(1), 237-296. 

  17. Lee, S. H., Lee, T. W. & Kang, K. S. (2000). A study on the survey of safety and health status in less than 5 employee enterprises.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fall conference(pp.199-202).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served (2013. November). 2012 Analysis of Industrial Disaster Conditions. Sejong. 

  19. Mok Y. S., Yoon H. G. Lee Y. C., Kim C. O., Park J. G., Baek J. B. & Kim Y. H. (2004). The long-term strategic plan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eoul: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 Moon, J. S., Kwon, E. H. & Jeong, H. S. (2003). Subjective symptoms trauma disorder in furniture manufacturing labor worker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1), 153-162. 

  21. Moon, J. S. & Kwon, E. H. (2003). Working conditions related to cumulative trauma disorder and symptoms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 in furniture company employee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7(2), 266-277. 

  22. Morse T., Dillon C., Weber J., Warren N., Bruneau H. & Fu R. (2004). Prevalence and reporting of occupational illness by company size: population trends and regulatory implication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5(4), 361-370. http://dx.doi.org/10.1002/ajim.10354 

  23. Morse T., Dillon C., Kenta-Bibi, E., Weber J., Warren N., Diva, U., Warren, N & Grey, M. (2005). Trends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reports by year, and industrial sector: A capture-recapture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8(1), 40-49. 

  24. Mun S. H. & Park E. J. (2010).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claim duration of injured worker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26(4), 215-237. http://dx.doi.org/10.1002/ajim.20182 

  25. Park, S. G., Chae, H. J., Shin, J. Y., Jung, D. Y., Kim, Y. K., Jung, T. J., Leem, J. H., Kim, H. C. & Lee, Y. C. (2006). Relationship of burden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 in small to medium sized enterpris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8(1), 59-66. 

  26. Turner J. A, Franklin G., Fulton-Kehoe D., Egan K., Wickizer T. M., Lymp J. F., Sheppard L. & Kaufman J. D. (2004). Prediction of chronic disability i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prospective, population-based study. BMC Musculoskeletal Disord (electric version) 5(14).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28578/ 

  27. Won J. U, Kim J. S., Kim H. R., Lim S. H. & Kim T. R. (2010). Assessment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Industrial disaster recuperation through analyzing conditions.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Reserved. 

  28. Yun S. N. & Jung H. S. (2001). Occupational health care management model in small scale enterprise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2(3), 647-660. http://www.koreamed.org/SearchBasic.php?RID0200JKACHN/2001.12.3.647&DT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