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안정성 원리에 기반한 환자이동기술 개발 및 효과검정
Development of Patient Transfer Techniques based on Postural-stability Principles for the Care Helpers in Nursing Homes and Evaluation of Effectiven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39 - 49  

마예원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과학과.경남대학교 간호학과)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postural-stability patient transfer technique for care helpers in nursing homes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Four types of patient transfer techniques (Lifting towards the head board of the bed, turning to the lateral position, sitting upr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환자이동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증상 예방을 목적으로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Figure 1).
  • 수평움직임은 요양보호사의 승모근과 손목의 굴근 사용도 증가시켜 근골격계질환을 유발시키는 동작에 해당된다[25]. 본 연구에서는 어깨에 부하 되는 작업량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요양보호사는 침대 위 환자와 같은 기저면 상에서 자세하고,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신체 중심선을 이동시켜 자세안정성이 증가하도록 하였고 환자의 무릎을 세워 요양보호사의 가슴에 단단히 고정시켜 환자중심과 가깝게 하였다. 그리고 요양보호사가 사용하는 힘의 최종방향이 환자이동방향과 일치하여 적은 힘으로 환자의 신체를 침대머리로 유도할 수 있게 하였다.
  • 본 연구의 자세안정성 환자이동기술은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 대상으로 환자의 체위변경 및 신체이동 등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고자 자세안정성의 원리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신체 이동 기술 동작은 현황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침대머리로 올리기, 옆으로 눕히기, 침대에 걸터앉기,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 등의 4가지 동작으로 설정하였고 그 세부적인 내용과 근거에 대한 논의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의 실험은 경기도 소재 노인요양시설에서 2013년 10월 1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약 1개월간 진행되었으며 근무시간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에 필요한 양질의 근전도 신호를 수집하고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가 근무하는 노인요양시설 내 지정된 병실에서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같은 조건에서 이동기술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이동기술에 필요한 침대, 보조 의자 및 휠체어를 동일화했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및 증상을 예방할 수 있는 환자이동기술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개발된 이동기술이 근활성도 및 관절각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예방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신체이동기술 방법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Table 3).
  • 1. 개발된 환자이동기술 수행 시 승모근, 다열근 근활성도 정도가 낮을 것이다.
  • 1. 개발된 환자이동기술 수행 시 주관절, 견관절, 슬관절 각도는 낮고, 요추 각도는 높을 것이다.
  • 개발된 신체이동기술은 침대 높이의 보조의자에 앉아서 환자의 상체를 요양보호사의 우측 어깨와 등에 지지시킨 후 휠체어로 수평이동하였다. 환자의 무게와 이동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의 방향이 균등하게 작용하고, 의자에 앉은 자세로 인하여 무게중심이 낮고 의자에 허리를 지지하게 되어 허리에 가해지는 부하량이 낮을 것이라 가정하였고 결과적으로 작업 부하의 감소를 가져올 것이라 보았다.
  • 가설 2. 환자이동기술 방법에 따라 연구 대상자의 관절각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1. 환자이동기술 방법에 따라 연구 대상자의 근활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는 입소노인에게 직접적으로 돌봄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으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의 건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돕고, 계획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업무를 제공 한다[1,2]. 그러나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는 거동이 어려운 노인 및 환자를 대상으로 체위변경과 이동, 재활 및 개인위생 등 일상 업무를 지원하면서, 반복적이고 육체적 힘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형 작업에 노출되어 결과적으로 높은 근골격계질환을 보고하고 있다[3].
안정된 자세와 신체의 무게중심 유지가 갖는 장점은 무엇입니까? 안정된 자세와 신체의 무게중심 유지는 신체의 근육과 골격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로[14], 동작 수행 과정에서 자세가 불안정할 때 힘을 조절하도록 하여 척추의 부하에 잘 적응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15,16]. 이러한 자세안정성과 신체무게중심에 기반을 둔 동작은 근육 사용의 균형을 유지하여 근골격계의 손상위험 감소와 힘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12,14] 환자 신체이동작업 수행 시 발생되는 근골격계질환을 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다[12,17,18].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노인요양시설 내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요인으로 1일 2교대, 3교대 등의 근무형태[3], 장기요양보험 등급에 따른 돌봄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3], 요양서비스에 대한 직무규정 및 교육의 부재[5],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인식부족[6] 등이 있으나 이 중 작업자세, 작업시간 및 내용과 같은 작업적 요인이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6-9]. 노인요양시설 내 7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ark MS. Educational needs in the provision of oral care by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12(1):72-80.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tandard textbooks of care helper. Seoul: Author; 2009. 

  3. Hwang B, Youn KH, Lee JY, Kang JH, Yoo EK. An exploratory study on self-perceived symptoms and pain-inducing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eases among care workers in residential settings: Focused on the scope of care work and care recipients' characteristics.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014;30(1):69-100. 

  4. Park KH, Jeong BY.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employees aged 50 years or olde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9;28(4):139-145. http://dx.doi.org/10.5143/JESK.2009.28.4.139 

  5. Hwang EH, Jung DY, Kim MJ, Kim KH, Shin SJ. Comparison of frequency and difficulty of care helper job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and client hom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2;26(1):101-112.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101 

  6. Lee SY, Lee YK, Joo YS, Kim MH, Choi KS. Development of manual and survey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prevention of care givers.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1. Report No.: 2011-Researcher-1356. 

  7. Karahan A, Kav S, Abbasoglu A, Dogan N. Low back pain: Pr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among hospital staff.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9;65(3):516-524.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8.04905.x 

  8. Rahmah MA, Rozy J, Halim I, Jamsiah M, Shamsul AS. Prevalence of back pain among nurses working in government health clinics and hospital in Port Dickson, Malaysia. Journal of Community Health. 2008;14(2):11-18. 

  9. Ribeiro SB, Cardia MC, Almeida LC. Biomechanical and organizational risk and prevalence of low back pain in the old adults caregivers of a nursing home in Joao Pessoa/PB. Work. 2012;41(Suppl 1):1933-1939. http://dx.doi.org/10.3233/wor-2012-0410-1933 

  10. Bang SJ. Care is skill. Seoul: DSPub; 2011. 

  11. Hitoshi O, Haruki M. Ultimate practical care. Kim YJ, translator. Seoul: Green Home; 2008. 

  12. Hiroshi O. Nursing field of low back pain zero manual. Tokyo, JP: Kirara Shobo; 2005. 

  13. Yukihiro A. Aoyama type patient transfer technique. Tokyo, JP: MC Media; 2012. 

  14.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6. 

  15. Lee BH, Kim SY, Lee JS.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on postural control, balance and upper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9;19(3):69-80. 

  16. Park JK, Kim DS, Seo KB. Musculoskeletal disorder symptom features and control strategies in hospital work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08;27(3):81-92. http://dx.doi.org/10.5143/JESK.2008.27.3.081 

  17. Hur JG, Park CU, Lee JS. Difference of lumbar &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when patients are transferred by physical therapist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1;30(5):613-619. http://dx.doi.org/10.5143/JESK.2011.30.5.613 

  18. Szeto GPY, Wong KT, Law KY, Lee EWC. A study of spinal kinematics in community nurses performing nursing task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3;43(3):203-209. http://dx.doi.org/10.1016/j.ergon.2013.02.003 

  19. Kee D. Workload of patients transferring and its improving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6;21(2):121-127. 

  20. Jeong BY. Ergonomics' role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0;29(4):393-404. http://dx.doi.org/10.5143/JESK.2010.29.4.393 

  21.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191.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22. Kim TW, Kong SJ, Kil SK, Park JC, Jeon HJ, Song JH,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Seoul: Hanmi Medical Publishing Co.; 2013. 

  23. Lee HJ. The effects of tuina program on nurses with low back pai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2. 

  24. Yu N. The differences about nursing practice activity, working environment, body mechanic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low back pain group and no low back pain group in ICU nurs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6. 

  25. Kim CH, Kwon JK, Moon MK, Lee MH, Lee JS. A study for the effects of lifting position, age and gender on maximum lifting strength. Fall Conference and General Meeting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1 October 21-22; Cheonan's Sangnok Resort. Cheonan: Eromonomics Society of Korea; 2011. p. 148-153. 

  26. Callison MC, Nussbaum MA. Identification of physically demanding patient-handling tasks in an acute care hos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12;42(3):261-267. http://dx.doi.org/10.1016/j.ergon.2012.02.001 

  27. Kim DD, Kim YH, Lee GC, Jung BO, Cho NJ, Kwon WA, et al. Kinesiology. Seoul: Hyunmoonsa; 2013. 

  28. Kim SU, Han SJ. Effects of load center of gravity and feet positions on peak EMG amplitude at low back muscles while lifting heavy materi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12;22(3):256-263. 

  29. Choi J, Kim HS, Kim GS, Lee H, Jeon HS, Chung KM. Posture management program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adolescents with mild idiopathic scoliosi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3):120-127. http://dx.doi.org/10.1016/j.anr.2013.07.001 

  30. Park JS, Kim JY. Workload evaluation of various shoulder posture by using muscle force, fatigue and psychophysical workload.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12;31(2):281-289. http://dx.doi.org/10.5143/JESK.2012.31.2.2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