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학교적응 관련 보호요인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in School Bullying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633 - 643  

김동희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adjustment of victims in school bully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14 victims among 825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asurements we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on resilience, and the Childrea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집단따돌림은 초등학교 때부터 증가하여 중학교 때 정점을 이루고 고등학교 때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Yoon, 2007) 중학생 대상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영향과 중재에 대한 관심이 더욱 강조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집단따돌림을 당한 중학생 피해자들을 대상으로 학교적응에 내적 보호요인인 극복력과 외적 보호요인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양육행동, 친구관계, 교사의 따돌림 관련 태도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집단따돌림 피해자가 따돌림 이전의 상태의 긍정적 적응 상태를 보일 수 있도록 영향을 줄 수 있는 내·외적 보호요인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여 영향있는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중재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또한 대상자의 성격이나 정신적, 신체적 건강상태 등 본 연구에서 통제하지 않은 변수들로 인해 생기는 잠재적인 오류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현재 점점 심각해져가고 있는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문제점 중의 하나인 학교적응과 관련된 보호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학교적응을 위한 중재 개발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특히, 극복력과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교사의 태도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자의 극복력, 양육 행동, 친구관계, 교사의 따돌림 관련 태도를 중심으로 학교적응과 관련된 보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극복력, 양육행동, 교우 관계, 교사들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여 이들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보호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개인의 극복력과 부모의 양육행동, 교사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태도가 집단따돌림 피해자의 효과적인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설문조사를 실시한 연구원은 2인으로 모두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로서, 연구실시 전에 설문지의 내용을 본 연구자와 함께 검토하여 숙지하도록 하였으며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교육을 받았다. 본 조사 실시 전 설문 진행시 필요한 의사 진행과 배부 및 수거 방법에 대해 동일하게 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고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가능한 질문에 대해 똑같은 대답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2월 17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었고 설문지에 응답하는 데는 약 2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기상황을 조절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개인 보호 요소에는 무엇이 있나 위기상황을 조절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는 개인 특성인 내적요인과 지지 역할을 할 수 있는 외적요인이 있다(Mandleco & Peery, 2000). 대표적인 개인 보호요소로 연구되어 온 것은 자아존중감(Jung & Ah, 2006), 대처 능력(Choi, 2013), 대인관계 기술(Cheon, 2010) 등이 있는데 극복력(resilience)은 이들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개인이 위기나 역경을 극복하여 위기 이전의 적응 수준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심리 사회적 능력을 말한다(Masten, 2004). Kim(2002)은 극복력을 가진 아동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상황과 자신의 능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자신감과 낙천성을 가지고 있으며, 당면한 문제를 책임감있고 계획성과 융통성을 가지고 해결하며, 자원을 동원하는데 주저하지 않고, 자율적이고 적극적으로 어려움에 대처하며, 가족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사교적이고 친밀한 대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집단따돌림이란? 집단따돌림은 한 명 이상의 사람이 그가 속한 집단에 있는 특정인이나 특정 집단을 소외시켜 역할 수행을 방해하거나 인격적으로 무시하고 음해하는 언어적, 신체적인 행위이다(Olweus, 1994). 측정 도구 및 대상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상 학생의 약 7-17%까지 피해 경험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고 따돌림의 방법이나 내용도 다양화, 난폭화 되고 있어 집단따돌림의 심각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Kim, Leventhal, Koh, Hubbard, & Boyce, 2006; Park & Koh, 2005).
집단따돌림을 당한 피해자들이 겪는 문제는? 학교는 학생들의 성장 발달 과정에서 심리, 사회, 인지 여러 측면에서 중요한 영향을 주는 곳으로 학교에서의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은 이 시기에 큰 위기로 작용하여 자아정체감 발달, 또래와의 사회화 과정 등 발달 과업 성취에 문제를 일으키고 이후 성인기에까지 정신․신체건강, 사회 적응 등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된다(Allison, Roeger, & Reinfeld-Kirkman, 2009). 집단따돌림을 당한 피해자들의 수치심, 두려움, 자아 존중감 저하, 우울, 불안, 학업 저하, 신체화 증상 경험 등의 다양한 문제들은 사회적으로도 큰 이슈가 되고 있다(Nansel, Craig, Overpeck, Saluja, & Ruan, 2004). 그러므로 학교에서 집단따돌림을 경험한 피해자들의 긍정적 적응 문제는 한 개인의 일생 전반에 걸쳐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lison, S., Roeger, L., & Reinfeld-Kirkman, N. (2009). Does school bullying affect adult health? Population survey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ast victimization. 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43(12), 1163-1170. http://dx.doi.org/10.3109/00048670903270399 

  2. Bayraker, F. (2012). Bullying among adolescents in North Cyprus and Turkey: testing a multifactor model.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6), 1040-1065. http://dx.doi.org/10.1177/0886260511424502 

  3. Cheon, K. M. (2010). The influence of physical self-percep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bullying experience of adolescence. Curriculum Education Research, 14(1), 47-65 

  4. Choi, M. K. (2013).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health status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30(3), 25-34. 

  5. Jang, H. S. (2002). Attachments to parents, separation-individuation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in late adolescence.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5(1), 101-121. 

  6. Jun, S. J. (2003). A study on the traits of alienated students and non-alienated students: the case of self-concept and social rel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Jung, S. Y. (2001).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hildren's friend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Jung W. C., & Ah, Y. A. (2006). Risk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and bullied exper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3(2), 89-115. 

  9. Jung, Y. J., & Kim, Y. H. (2013). Structural Analysis of Bullying Victims' Maintenance and Resilience Factors. Family and Counseling, 3(1), 15-23. 

  10. Kim, D. H. (2013). Content analysis on the teachers' intervention experiences on bullying. Journal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11(4), 307-316. 

  11. Kim, D. H. (2002).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Kim, D. H., Kim, Y. S., Koh, Y. J., & Leventhal, B. L.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llying and Perceived Parenting Practices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2), 89-96. 

  13. Kim, J. K., &Lee K. H. (2008). Relationships between combinational pattern of parenting style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Korea Journal of counselling, 9(3), 1183-1200. 

  14. Kim, Y. C., & Jung, M. S. (2012).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Soci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3(1), 51-70. 

  15. Kim, Y. S., Leventhal, B. L., Koh, Y. J., Hubbard, A., & Boyce, W. T. (2006). School bullying and youth violence: causes or consequences of psychopathologic behavio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3(9), 1035-1041. 

  16. Kim, Y. R. (2000). Educational psychology. Mooneumsa. Seoul. 

  17. Kwon, S. D. (2004). Testing of the SEM of the peer network, character, bullying.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2), 543-564. 

  18. Lee, E. J. (2003).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chool-system factors on experience of bullying offending: focusing on the bul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9. Lee, H. H. (2003). Resilience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problem-drinking in par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 Lee, M. Y., Im, J. Y., Lee, S. D., & Oh, S. E. (2009). Perception of teachers on school viol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2), 174-185. 

  21. Lee, S. H. & Choi, H.R. (2007).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their ego-resiliency, test anxiety,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19(2), 321-337. 

  22. Lim, S. K., & Lee H., S. (2007). The effects of self-esteem,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s o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3), 169-183. 

  23. Mandleco, B. L. & Peery, J. C. (2000).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resilience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13(3), 99-111. http://dx.doi.org/10.1111/j.1744-6171.2000.tb00086.x 

  24. Masten, A. S. (2004). Regulatory processes, risk and resilience in adolescent developm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021, 310-319. http://dx.doi.org/10.1196/annals.1308.036 

  25. Nansel, T. R., Craig, W., Overpeck, M. D., Saluja, G., & Ruan, W. J. (2004). Cross-national consis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behavior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8(8), 730-736. http://dx.doi.org/10.1001/archpedi.158.8.730 

  26. Olweus, D. (1994).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7), 1171-1190. http://dx.doi.org/10.1111/j.1469-7610.1994.tb01229.x 

  27. Park, N. Y. & Koh J. H. (2005). A component analysis on the causes of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An application of social relations model. Adolescent Counselling Research, 13(1), 43-54. 

  28. Seo, M. J. (2008). Participation in bullying: bystanders' characteristics and role behaviors.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5), 79-96. 

  29. Yoo, G. S., Lee S. C., & Lee H. M. (2013).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characteristics on participant roles of school bully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8(3), 63-89. 

  30. Yoon, Y. M. (2007). Analysis on bullying tendencies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1(2), 230-24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