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니엘 리베스킨트 건축 공간의 경관적 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Interpretation of Landscape in Daniel Libeskind Architectural Spa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2, 2014년, pp.7372 - 7379  

송대호 (부경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본 연구는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을 대상으로 건축물 내 외부에서 지각되는 공간감과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외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리베스킨트 건축의 경관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니엘 리베스킨트는 '느껴지는 공간'을 통해 과거의 흔적, 형태적 모순 등을 계획하였고, 다이나믹한 공간과 더불어 불안정한 긴장감을 유발시켰다. 특히, 그는 공간과 시간 사이의 벽을 허물어 그 간격을 모호하게 함으로써 이용자가 보는 것뿐만 아니라 느낄 수 있는 지각적 공간 차원의 경관을 만들고 있다. 다시 말해, 리베스킨트 건축은 과거 역사적 사건을 현대인들이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지각적 공간으로서의 경관으로 이해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Daniel Libeskind's architecture by analyzing the perceived form characteristics visually and the sense of space recognized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in Daniel Libeskind architecture. The results showed that Libeskind is to deconstruct not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물을 대상으로 지각적 차원에서의 경관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즉, 리베스킨트의 건축은 공간을 체험하면서 느낄 수 있는 경관으로서 물질(형상)과 비-물질(배경) 간의 경계선상에서 파악되는 이미지 그리고 해체주의와 주름 이론을 바탕으로 선적인 매스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외관, 마지막으로 과거의 역사를 현재로 끌어들임으로써 시간의 경계를 허물고 사용자로 하여금 지각할 수 있도록 한 공간 등은 시지각적 체험을 통한 경관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 자크 데리다의 철학과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영향을 받은 해체주의는 기하학적 구성과 비정형적 형태로 시각적 인식이 강하게 느껴진다. 따라서 먼저 해체주의 건축이 진행되어온 과정을 분석하여 현대사회에서의 해체주의 건축과 시각적 경관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초기 스케치 및 공공 건축물을 대상으로 그가 건축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공간을 지각적 차원에서 즉, ‘느껴지고 감지된 공간’으로서의 공감각적 특성을 경관적으로 해석하고자 하였다.
  • 이 후에도 그의 많은 프로젝트를 통해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에서 나타난 사건과 건축의 ‘사이’를 여러 공간을 통해 드러내고자 계획하였다.
  • 이를 통해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이 내재하고 있는 정신적·물질적 경관 특질을 파악하고 새로운 차원에서의 접근 방향에서 리베스킨트의 작품을 해석해 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건축을 대상으로 건축 외적인 물적 특성에서 벗어나 건축물 내·외부에서 지각되는 공간감과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외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건축에 내재된 경관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그들은 규칙과 질서에 얽매여 있는 기존의 구조주의적 사고 형식을 깨고 창조적이고 탈구조주의적인 디자인 개념을 건축에 반영하였다. 이와 더불어 순간적인 장면에 대해 우연하게 포착되는 형태를 바탕으로 건축 형태를 창출하고자 했다.
  • 사건과 공간 사이의 중간은 층들 사이의 상호관계, 중간의 공간빈틈, 간격들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들 사이에 역사적 경관이 침투하게 된다. 지그재그의 선을 통해 그는 독일과 유대인 사이의 관계의 연결과 같은 보이지 않는 것들을 연결하고자 하였다. 이렇듯 사건과 공간 사이의 건축은 하나의 바탕개념의 가능한 실현화이고 새로운 배경 경관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법이다[2].
  • 첫째, 해체주의 건축의 동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크 데리다의 철학과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영향을 받은 해체주의는 기하학적 구성과 비정형적 형태로 시각적 인식이 강하게 느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체주의 건축은 어떤 이유로 발생되었는가?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해체주의 건축은 기존의 건축 질서로부터의 일탈, 사고 과정의 전복 등 정형의 건축물과 그에 대한 질서를 해체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정형 건축물로 인식된다.
비정형 건축물이 흉물로 인식되기도 하는 이유는? 이러한 비정형 건축물은 현대 도시 내에서 랜드마크로 자리잡거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하나의 흉물로써 인식되기도 한다. 그만큼 해체주의 건축의 형태는 보는 이로 하여금 강하게 인식되며,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경관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표피가 구축되어 이루는 공간 특성이 행위자의 지각적 접근에 따라 보여지고 느껴진다고 말할 수 있는 이유는? 즉, 형태 자체가 갖고 있는 오브제의 속성, 그것이 어떤 프로그램을 담고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는 표피의 조절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표피는 단순한 피상적인 외관이 아닌 두께(Depth)를 가진 내부의 속성을 표현하는 매개체이다[4]. 그러므로 표피가 구축되어 이루는 공간 특성은 행위자의 지각적 접근에 따라 보여지고 느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Jong-Gun, Deconstruction of Deconstructive Architecture, Bal-Un, p.12, pp.169-170, 1999. 

  2. Paola Gregory, New Scape:Territories of Complexity, Time+Space, 2004. 

  3. Bernard Tschumi, Ryu, Ho-Chang, Seo, Jeong-yeon, Architecture and Destruction, Time+Space, p.35, 2002. 

  4. Park, Ji-Ho, A Study on 'Terra-Tectonic' in Architecture, Seoul University Master's Thesis, p.18, 2001. 

  5. Kim, Sung-Kwang and 2 others, A Study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constructive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6 no.6, p.110, 1990. 

  6. Yun, Jae-Eun, A Study on the Meaning System of Space Philosophy in Deconstructivism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Doctor's Thesis, pp.60-63, 2007. 

  7. Lim, ki-Taek, A Study on the Border-Dismantling Tendency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Doctor's Thesis, p.28 2006. 

  8. K. Micjael Hays, Bong, Il-Bum, Architecture Theory since 1968, spacetime, pp.241-441, 2010. 

  9. Lee, Sun-Man, A Study on the Ground & Figure in Gestalt Psychology,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7 no.2, pp.246-247, 2006. 

  10. Lee, Do-Hee, A Study on Daniel Libeskind's Architectural Contempla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13 no.1, p.33-36, 2004. 

  11. Jung, In-Ha,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Non-representation, Acanet, p.46, 2006. 

  12. Song, Dae-Ho,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al Thinking and Form Characteristics in Free-form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2 no.4, p.92, 2010. 

  13. Daniel Libeskind, The space of Encounter, UNIVERSE, pp.25-26, 2000. 

  14. Lee, Sun-Hye and 1 others,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and Architectural Ideology of Daniel Libeskind,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 vol.13 no.4, pp.52-56, 2011. 

  15. Chung, Tae-Yong, A Study on the Embodiment of Architectural Concept in Felix Nussbaum Museum,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20 no.3, p.5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