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한 ITO 박막의 전기적 특성 평가
Electrical Properties of ITO Thin Film Deposited by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using Various Sn Concentration Target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47 no.6, 2014년, pp.311 - 315  

김민제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정재헌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  송풍근 (부산대학교 재료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s (30 nm) were deposited on PET substrate by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using In/Sn(2, 5 wt.%) metal alloy target without intentionally substrate heating during the deposition under different DC powers of 70 ~ 110 W. The electrical properties were estimated by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In에 Sn을 2 또는 5 wt% 첨가한 두 종류의 금속 합금 타깃을 이용하여 산소 분위기에서 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한 ITO 박막을 대기 중에서 후열처리를 실시하여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림 1, 2, 3은 In/Sn 5 wt.
  • In에 Sn을 2 또는 5 wt% 첨가한 두 종류의 금속합금타깃을 이용하여 산소 분위기에서 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 증착한 ITO 박막을 대기 중에서 열처리를 행한 후 전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Sn 5 wt%를 함유한 타깃의 경우, 열처리를 하지 않은 박막의 비저항은 증착중의 파워의 증가에 따라 크게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것은 증착공정 중 발생하는 고 에너지 입자들의 층격에 의한 박막 손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현상은 박막의 후열처리를 통하여 크게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50 mm × 50 mm 크기의 PET 기판위에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30 nm 두께의 ITO 박막을 증착하였다. PET기판은 초음파 세척기내에서 에탄올 및 이온교환수를 이용하여 전처리 과정을 행하였다. 증착 전 챔버 내의작업압력은 약 1.
  • . 다양한 DC 파워에서 ITO 필름을 PET위에 증착한 후, 대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증착조건과 열처리시간에 따른 전기적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 이것은 타깃의 표면이 sputtering yield가 큰 metal mode에서 sputtering yield가 작은 oxidemode로 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타깃 표면이 완전히 oxide mode로 전환되어 증착률의 큰 변화가 없는 영역인 산소 유량 [O2/(Ar + O2)] 25%로 유지하여 증착하였다. 또한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인 증착속도에 대한 이력곡선을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박막 두께를 얻기 위하여 챔버내에 산소 주입 전 Argas만을 이용하여 pre-pre sputtering을 15분간 실시하여 타깃 표면은 항상 금속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으로 많이 쓰이는DC 스퍼터링법과 비교하여, 높은 증착율과 가격이 저렴한 메탈 금속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비용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성을 가지는 반응성 DC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ITO 막을 제작하였다3-5). 다양한 DC 파워에서 ITO 필름을 PET위에 증착한 후, 대기 중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증착조건과 열처리시간에 따른 전기적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타깃 표면이 완전히 oxide mode로 전환되어 증착률의 큰 변화가 없는 영역인 산소 유량 [O2/(Ar + O2)] 25%로 유지하여 증착하였다. 또한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인 증착속도에 대한 이력곡선을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박막 두께를 얻기 위하여 챔버내에 산소 주입 전 Argas만을 이용하여 pre-pre sputtering을 15분간 실시하여 타깃 표면은 항상 금속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박막물성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증착전 산소 주입 후에 pre sputtering을 10분 실행하여 방전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6).
  • 열처리는 대기 분위기의 전기로 내에서 4℃/min의 승온속도로 120°C에서 6 또는 12시간동안 유지한 후, 자연냉각 시켰다. 박막의 전기적 특성은 Hall-effect measurements system (ECOPIA, HMS3000)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증착 시 DC 파워와 열처리 시간에 따른 비저항, 캐리어 농도, 및 이동도를 관찰하였다
  • 증착 중 DC 파워는 70 W부터 110 W까지 10 W씩 증가시키며 증착을 진행하였다. 스퍼터링 타깃으로는 직경 3 inch 크기의 In/Sn (Sn 2, 5 wt.
  • 또한 반응성 스퍼터링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특징인 증착속도에 대한 이력곡선을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박막 두께를 얻기 위하여 챔버내에 산소 주입 전 Argas만을 이용하여 pre-pre sputtering을 15분간 실시하여 타깃 표면은 항상 금속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최종적으로 박막물성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증착전 산소 주입 후에 pre sputtering을 10분 실행하여 방전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6).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는 50 mm × 50 mm 크기의 PET 기판위에 반응성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30 nm 두께의 ITO 박막을 증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명전도 산화물은 어디에 쓰이는가? 현재 LCD, PDP, OLED, 태양전지, 광센서 등 여러 응용분야에서 투명전도 산화물(TCO, TransparentConducting Oxide)이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1-2). 이에 따라 각종 소자의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이러한 소자에 필요한 필수적인 투광성과 전기 전도성이우수한 투명 전극용 재료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디스플레이용 터치 패널 방식 중 정전용량 방식은 어떤 장점이 있는가? 디스플레이용 터치 패널은 저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 정전용량 방식은 고투과율과 내구성, 고감도 등의 장점으로 Apple사의 iPhone, iPad에 적용되면서 터치 시장에서의 비중을 높이고 있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은 다른 방식에 비해멀티터치 적용에 이점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주목될 것으로 예상된다.
ITO는 무엇을 혼합하여 사용하는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재료는 ITO (Indium Tin Oxide)로 1990년대부터 마그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증착면적이 대형화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ITO는 산화인듐(In2O3)과 산화주석(SnO2)을 혼합하여 사용하며, 산화주석(SnO2)이 5 - 10 wt.%함유되었을 경우 투명전극으로서의 특성이 가장 좋기 때문에 상품화된 타깃의 경우 산화주석을 10 w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Y. S. Park, S.H. Lee, P.K. Song, J. Kor. Inst. Sur. Eng., 40 (2007), 107. 

  2. J.H. Jung, S. H. Cho, P. K. Song, J. Kor. Inst. Sur. Eng., 46 (2013) 16. 

  3. J. H. Kim, C. G. Kang, Y. T. Kim, W. S. Cheong, P. K. Song, J. Nanosci. Nanotechnol, 13 (2012) 1. 

  4. S. Honda, M. Watamori, K. Oura, Thin Soild Films, 281 (1996) 206. 

  5. C. MENG, B. Xuedong, G. Jun, S. Chao, H. Rongfang, W. Lishi, J. Mater. Sci. Technol., 16 (2000) 281. 

  6. S. W. Kang, H. J. Lee, S. H. Cho, W. S. Cheong, G. H. Lee, P. K. Song, J. Nanoelectron. Optoelectron., 7 (2012) 494. 

  7. S. W. Kang, S. H. Cho, W. S. Cheong, G. H. Lee, P. K. Song, J. Nanoelectron. Optoelectron., 9 (2014) 1. 

  8. A. S. A. C Diniz, Renewable Energy., 36 (2011) 1153. 

  9. N. Oka, Y. Kawase, Y. Shigesato, Thin Solid Films., 520 (2012) 4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