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밭의 외래잡초 분포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Gyeonggi-do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3 no.4, 2014년, pp.284 - 291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이정란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홍선희 (고려대학교 환경생태연구소) ,  오영주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기도의 밭 주변을 대상으로 350지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경기도의 밭에 발생하는 외래잡초 조사결과 19과 52속 74종 4변종, 총 78종류의 외래잡초가 조사되었고 하계 일년생 식물은 48.7%, 동계 일년생은 28.2%, 다년생은 23.1%가 출현하였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가 32%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비율로 출현하였고 벼과 8%, 마디풀과 8%, 아욱과 7%로 구성되었다. 경기북부에서의 외래잡초 우점종은 개비름, 단풍잎돼지풀, 흰명아주, 미국가막사리, 망초이고 경기남부에서는 흰명아주, 망초, 개망초, 서양민들레, 털별꽃아재비가 조사되었다. 경기도 전체에서는 흰명아주, 개비름, 망초가 가장 우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지역의 외래잡초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CCA 분석결과 경기북부가 경기남부지역보다 다양한 외래잡초가 넓게 확산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에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발생정보는 밭의 지속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urveyed the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in the 350 upland crop fields of Gyeonggi-do. The exotic weeds were summarized as 78 taxa including 19 families, 52 genera, 74 species and 4 varieties. Among the total exotic weeds, the summer annuals were 48.7%, the winter annuals 28.2%, and the perenn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밭 경작지를 대상으로 외래잡초의 분포 및 발생 피도 등급을 조사하여 밭에 발생하는 외래잡초의 종류와 특징을 밝혀내고 외래잡초의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USA. p. 865. 

  2. Cox, G.W. 1993. Conservation ecology: Biosphere and biosurvival. Wm. C. Brown Publishers, IA, USA. 

  3.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4. David, R.C., Antonio, D., Nicholas, J., Barabara, D.B., John, C., et al. 2004. Adaptability of plants invading North American cropland. Agric. Ecosyst. Environ. 104:379-398. 

  5. Gould, F. 1991. The evolutionary potential of crop pests. Am. Sci. 79:496-507. 

  6. Hong, S.K., Kang, H.G., Kim, U.S., Kim, J.G., Kim, C.H., et al. 2005. Engineering of ecology conservation. pp. 165-188. In: Lee, E.J. Invasive plants and vegetation conservation, Lifescience Publishers. Seoul, Korea. 

  7. Jordan, N.R. and Jannink, J.L. 1997. Assessing the practical importance of weed evolution: a research agenda. Weed Res. 37:237-246. 

  8. Kim, C.S., Lee, I.Y., Oh, Y.J., Oh, S.M., Kim, S.C., et al. 2010. Occurrence of exotic weeds in several islands in Korea. Korean J. Weed Sci. 30(2):59-67. (In Korean) 

  9.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n, Gyeonggi-do, Korea. 

  10. Mack, R.N., Simberloff, D., Lonsdale, W.M., Evans, H., Clout, M., et al. 2000. Biotic invasions: Causes, epidemiology, global consequences, and control. Ecol. Appl. 10:689-710. 

  11. Martinez-Ghersa, M.A., Ghersa, C.M. and Satorre, E.H. 2000. Coevolution of agricultural systems and their weed companions: implications for research. Field Crops Res. 67:181-190. 

  12. Mohler, C.L. 2001. Weed evol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pp. 444-493. In: Liebman, M., Mohler, C. and Staver, C.P. (Eds.). Ecological management of agricultural we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3. Oh, S.M., Kim, C.S., Moon, B.C. and Lee, I.Y. 2002. Inflow information and habitat current status of exotic weeds in Korea. Korean J. Weed Sci. 22(3):280-295. (In Korean) 

  14. Oh, S.M., Moon, B.C., Kim, C.S. and Lee, I.Y. 2004. Distribution of exotic weeds in agricultural fields of the Gyeonggi, Gangwon and Jeju areas in Korea. Korean J. Weed Sci. 24(2):138-148. (In Korean) 

  15. Park, J.E., Lee, I.Y., Park, T.S., Lim, S.T., Moo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ean J. Weed Sci. 23(3):277-284. (In Korean) 

  16.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17. Pimentel, D. 2002. Biological Invasio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sts of Alien Plant, Animal, and Microbe Specie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369. 

  18. Pimentel, D., Lach, L., Zuniga, R. and Morrison, D. 2000.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sts of nonindigenous species in the United States. BioSci. 50:53-65. 

  19.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20. Ter-Braak, C.J.F. 1986.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a new eigenvector technique for multivariate direct gradient analysis. Ecol. 67:69-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