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Nurses' Empowerment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0 no.5, 2014년, pp.558 - 566  

김명자 (을지대학병원) ,  김현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empowerment and to identify any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the empowerment of nurses.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which were given to 381 nurses in C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간호사의 외적 자원인 상사 및 동료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간호사 개인이 인지하는 내외적 자원이 임파워먼트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임파워먼트 향상의 전략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임파워먼트는 간호사의 직무만족의 향상을 통하여 이직의도를 감소하는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으므로[6,17],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찾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서, 간호사의 외적 자원인 상사 및 동료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간호사 개인이 인지하는 내외적 자원이 임파워먼트에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임파워먼트 향상의 전략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외적 자원인 상사 및 동료를 포함한 사회적 지지와 내적 자원인 자아존중감과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향후 임파워먼트 향상의 전략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임파워먼트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 중에 나이, 결혼, 학력, 총 임상 경력, 현 근무부서 경력, 직위와 월급여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간호사 임파워먼트의 향상을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이상 규모의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파악하고,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임파워먼트의 수준을 파악하고,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임파워먼트는 내적 그리고 외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조직의 구조적 특성이 반영되는 구조적 임파워먼트와 개인의 내적 자원을 주요 원동력으로 보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로 나누어볼 수 있다[2,3].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가진 내외적인 자원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정도를 규명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적 지지란? 사회적 지지는 한 개인이 가진 대인관계로부터 얻을 수 있는 모든 긍정적 자원을 의미하며, 직장 상사와 동료, 가족과 의미있는 지인들과의 관계이다[8,9]. 즉, 한 개인이 의미있는 사회적 대상으로부터 받는 존경, 애정, 신뢰, 관심, 경청 등의 정서적 지지로서 직장생활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감소하여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의미있는 자원을 의미한다.
자아존중감이란? 자아존중감은 Rosenberg의 정의를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며[11,12], 자신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것으로서 자기 존경의 정도가 높고 스스로를 상당히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13]. 자아존중감은 개인이 환경에 적절하게 적응하고 나아가 긍정적인 자기실현에 필요한 요소로서, 궁극적으로 간호 업무성과와 직무만족을 높이는 주요 변인이다[12,14].
자아존중감과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일 개 지역에 소재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것으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이 있으나, 전체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임파워먼트와 관련된 상사의 지지 형태나 임금 수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SH, Jang IS, Park SM, Lee HY.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 (2):206-214.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2.206 

  2. Spence Laschinger HK, Nosko A, Wilk P, Finegan J. Effects of unit empowerment and perceived support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on unit effectiveness and individual nurse well-being: A time-lagged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14. http://dx.doi.org/10.1016/j.ijnurstu.2014.04.010 

  3. Jeong EY.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mong clinical nurses in South Kore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5):599-6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3.19.5.599 

  4. Han SS, Moon SJ, Yun EK. Empowermen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mparison of permanent and temporary nurses in Korea. Applied Nursing Research. 2009;22(4):e15-20. http://dx.doi.org/10.1016/j.apnr.2009.06.004 

  5. Greco P, Laschinger HK, Wong C. Leader empowering behaviours, staff nurse empowerment and work engagement/burnout. Nursing Leadership (Toronto, Ont.). 2006;19(4):41-56. 

  6. Cicolini G, Comparcini D, Simonetti V. Workplace empowerment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7):855-871. http://dx.doi.org/10.1111/jonm.12028 

  7. Hospital Nurses Associ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report of nurse staffing 2013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4 [cited 2014 April 10]. Available from: http://khna.or.kr/web/information/resource.php 

  8. Thomas LT, Ganster DC.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5;80(1):6-15. 

  9.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0. Yom YH, Kim HJ.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870-87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6.870 

  11.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 (2):143-151. http://dx.doi.org/10.11111/jkana.2010.16.2.143 

  12. Ryu SA, Moon SH, Choi JS, Kim BH. Perception of recovery, self-esteem, role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psychiatric mental heath nurse.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2;18(4):434-441.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4.434 

  13.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4. Karanikola MN, Papathanassoglou ED, Giannakopoulou M, Koutroubas A. Pilot explor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professional satisfaction in Hellenic hospital nurs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7;15:78-90.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6.00673.x 

  15. Roberts JE, Gamble SA. Current mood-state and past depression as predictors of self-esteem and dysfunctional attitudes among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1;30:1023-1037. http://dx.doi.org/10.1016/S0191-8869(00)00093-3 

  16. Lundberg B, Hansson L, E. W, Bjorlman T. Are stigma experiences among persons with mental illness, related to perceptions of self-esteem, empowerment and sense of coherenc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6(6): 516-522.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9.01418.x 

  17. Jeon JH, Yom YH. Roles of empower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sion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 (3):302-312.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302 

  18.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99;37:241-269. 

  19. Youn CY. Subjective quality of life among married Korean career women: Integrating work-family conflict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 domains of work and family [dissertation]. Seoul: Sungkyunkwan Univesity; 2001. 

  20.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Empowerment [Internet].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2011 [cited 2013 October 18]. Available from: http://www.kapa21.or.kr/epadic/epadic_view.php?num774 

  21. Chandler GE. The relationship of nursing work environment to empowerment and powerlessness [dissertation]. Salt Lake City: University of Utah; 1986. 

  22. Koo OH. Clinical nurses' perception of empowerment structural model in nursing organization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0. 

  23. Park JS, Park BN. The influence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task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2):150-158. 

  24. Kwon EO, Cho JS, Song KJ, Choi-Kwon S, Chang SJ, Kim JH,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pecialized mentor program for new graduate nurses -Focused on intensive care unit of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15(4):563-570. 

  25. Kim HS, Yim HW, Jeong SH, Jo SJ. An association among verbal abuse,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for special unit nurses in a hospital.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2009;21(4):388-395. 

  26. Lee YS, Jang SJ.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upervisor support, on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married nurs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4):397-418. 

  27. Losa Iglesias ME, Becerro de Bengoa Vallejo R. Prevalence of bullying at work and its association with self esteem scores in a Spanish nurse sample. Contemporary Nurse. 2012;42(1): 2-10. http://dx.doi.org/10.5172/conu.2012.42.1.2 

  28. Choi YJ.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9. 

  2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mployment and Labor Statistics 2013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cited 2014 May 30]. Available from: http://laborstat.molab.go.kr. 

  30. Munro L, Rodwell J, Harding L. Assessing occupational stress in psychiatric nurses using the full job strain model: the value of social support to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998;35: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