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행위와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Consequ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3, 2016년, pp.303 - 312  

한은혜 (경상대학교병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social support,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the consequences of workplace bullying in hospital nurses, and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workplace bully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직장 내 괴롭힘 행위 예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관계지향문화·혁신지향문화[20,21], 직장 내 괴롭힘 경험과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마련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악영향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마련을 위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경험,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한 신체적·심리적·사회적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간호조직문화, 직장 내 괴롭힘 경험과 직장 내 괴롭힘 결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장 내 괴롭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병원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발생을 예방하고,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최근 6개월 이내에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한 비율은 24.
  • 설문조사를 위하여 J시에 위치한 3개의 종합병원에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병원장과 간호부서의 부장 혹은 과장을 만나 연구목적과 연구 내용을 설명하고 기관장과 간호부서장의 허락을 구하였다. 설문조사를 허락한 3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각 병동을 찾아가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구 내용과 방법, 동의서와 설문조사지 작성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대상자는 연구동의서에 사인하여 자료수집에 응하도록 하였고, 이때 연구참여에 동의한 경우라고 할지라도 언제라도 연구참여를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고, 응답의 비밀보장과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도 절대로 노출되지 않을 것과 오직 연구만을 위해서 사용될 것임을 설명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아존중감이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 또는 판단으로 자신이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대처와 관련이 있다[13].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직장 내 괴롭힘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낮은 자아존중감은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이 되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개인은 다른 사람의 공격에 있어서 매우 취약하여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는 대상자가 될 수 있다[4].
낮은 자아존중감이 불러오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자아존중감은 자신에 대한 평가 또는 판단으로 자신이 유능하고 중요하며 성공적이고 가치 있다고 여기는 것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대처와 관련이 있다[13].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직장 내 괴롭힘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낮은 자아존중감은 직장 내 괴롭힘 경험을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이 되고, 자아존중감이 낮은 개인은 다른 사람의 공격에 있어서 매우 취약하여 직장 내 괴롭힘을 경험하는 대상자가 될 수 있다[4].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에 대한 완충작용을 하는 요인으로[14] 직장내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 간 요인이 될 수 있다.
간호 조직 내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하는 이유를 간호조직문화와 관련하여 설명하시오. 영국 왕립간호대학에서는 간호 조직 내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하는 주요한 이유로 간호조직문화와 직장 내에서 괴롭힘을 가하는 가해자의 특성을 꼽았다[9]. 간호사들은 직장 내에서 괴롭힘 행위를 경험하게 되었을 때 괴롭힘 행위를 자신이 감당해야 할 직업적 특성의 일부로 생각하여 소극적으로 대응하거나, 괴롭힘 행위에 대해 관리자에게 보고한다고 하여도 개선될 수 없다고 생각하여 참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문화가 간호조직 내에 내재되어 괴롭힘이 반복 적으로 발생한다고 지적하였다[9,19]. 또한 간호사 간의 괴롭힘 행위에 대한 조직의 묵인 혹은 괴롭힘 행위가 조직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꺼려하여 은폐함으로써 직장 내 괴롭힘이 반복 되는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2]. 조직문화는 크게 관계지향 ․ 위계지향 ․ 성과지향 ․ 혁신지향 조직문화로 분류될 수 있는데, 조직문화의 유형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2,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ubert AB, van Veldhoven M. Risk sectors for undesirable behaviour and mobbing.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1;10(4):415-424. http://dx.doi.org/10.1080/13594320143000799 

  2. Lewis MA. Nurse bullying: organizational considerations in the maintenance and perpetration of health care bullying cultur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06;14:52-58. http://dx.doi.org/10.1111/j.1365-2934.2005.00535.x 

  3. Lee Y, Lee M, Bernstein K.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 22(2):77-8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2.77 

  4. Seo YN. The role of culture on workplace bullying: The comparison between UK and South Korea[Ph.D dissertation]. Nottinghamshire county: University of Nottingham; 2010. 

  5. Johnson SL, Rea R. Workplace bullying: Concerns for nurse leaders.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9;39(2):84-90. http://dx.doi.org/10.1097/NNA.0b013e318195a5fc 

  6. Simons S.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d by Massachusetts registered nurses and the relationship to intention to leave the organizatio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008;31(2):E48-59. http://dx.doi.org/10.1097/01.ANS.0000319571.37373.d7 

  7. Stanley KM, Martin MM, Nemeth LS, Michel Y, Welton JM. Examining lateral violence in the nursing workforce.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2007;23:1247-1265. http://dx.doi.org/10.1080/01612840701651470 

  8. Lutgen-Sandvik P, Tracy SJ, Alberts JK. Burned by bullying in the American workplace: Prevalence, perception, degree and impact.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2007;44(6):837-862. http://dx.doi.org/10.1111/j.1467-6486.2007.00715.x 

  9. Royal College of Nursing. Healthy workplace, healthy you. Bullying and harassment at work: A guide for RCN members. [cited 2016 January 15]. Available from: https://www2.rcn.org.uk/__data/assets/pdf_file/0011/78518/001497.pdf 

  10. Cleary M, Hunt GE, Horfall J. Identifying and addressing bullying in nursing. Issues Mental Health Nursing. 2010;31(5): 331-335. http://dx.doi.org/10.3109/01612840903308531 

  11. Johnson SL.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A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9; 56(1):34-40. http://dx.doi.org/10.1111/j.1466-7657.2008.00679.x 

  12. Hutchinson M, Wilkes L, Jackson D, Vickers MH. Integrating individual, work group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sting a multidimensional model of bullying in the nursing workplac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2):173-18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09.01035.x 

  13.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14. Cohen S, Wills TA.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985;98:310-357. 

  15. Baillien E, De Witte H. Why is organizational change related to workplace bullying? Role conflict and job insecurity as mediators. Economic and Industrial Democracy. 2009;30:348-371. http://dx.doi.org/10.1177/0143831X09336557 

  16. Hogh A, Hoel H, Carneiro. IG. Bullying and employee turnover among healthcare workers: A three-wave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1;19(6):742-751.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1.01264.x 

  17. Kim M, Han S, Kim J. The development of the nursing organization culture measurement too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4;10(2):175-184. 

  18. Samnani AK, Singh P. 20 Years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 a review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012;17:581-589. http://dx.doi.org/10.1016/j.avb.2012.08.004 

  19. Hutchinson M, Vickers M, Jackson D, Wilkes L. Workplace bulling in nursing: Towards a more critical organizational perspective. Nursing Inquiry. 2006;13:118-126. http://dx.doi.org/10.1111/j.1440-1800.2006.00314.x 

  20. Yun SY, Kang JY. Factors affecting workplace bullying in Korea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4; 26(5):553-562. http://dx.doi.org/10.7475/kjan.2014.26.5.553 

  21. Australian Institute of Employment Rights. Workplace culture and bullying. [cited 2016 May 28]. Available from: http://www.aph.gov.au/Parliamentary_Business/Committees/House_of_representatives_Committees?urlee/bullying/subs/sub109.pdf 

  22. Lee YJ, Lee MH.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WPBN-T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2):209-21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2.209 

  23. Lee Y. The conceptu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new instruments to measure bullying in nursing workplace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2014. 

  24. Weinert C, Brandt PA. Measuring social support with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987;9(4):589-602. http://dx.doi.org/10.1177/019394598700900411 

  25. Tak Y, Kim S, Lee B. Perceived soci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needs, and depression of elderly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9(4):449-456. 

  26. Kang HY. The relationship among nurses' workplace bully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Master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15. 

  27. Choi SE, Lee SS, Kim SD. Relationships of workplace bullying to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linical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3;22(4): 267-274.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4.267 

  28. Park BY, Lee KH, Shin JH. Relationship between verbal abuse and mental health in some operating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2012;7(5):1205-1211. 

  29. Tambur M, Vadi M. Workplace bullying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a post-transitional country.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012;33(7):754-768. http://dx.doi.org/10.1108/01437721211268302 

  30. Hutchinson M, Hurley J. Exploring leadership cap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moderators of workplace bullying.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3;21(3):553-562.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2.01372.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