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토산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염화나트륨 및 유기산의 영향
Effects of NaCl and Organic Acid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4, 2014년, pp.413 - 416  

홍의범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김한근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방면호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김현수 (한국국제대학교 제약공학과) ,  김태락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  박윤희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  정대균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용 방부제로써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화나트륨,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이 포함된 배지를 사용하여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키토산항균성을 조사하였다. 키토산의 억제활성은 100 ppm의 키토산(분자량 3,000)이 포함된 배양배지에 염화나트륨을 첨가시킴으로써 미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 등은 세균의 성장에 대한 키토산의 억제활성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염화나트륨,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과 같은 식품 첨가 성분이 키토산의 항균활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was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NaCl, acetic acid, lactic acid, and citric acid to assess its potential use as a food preservative. The inhibitory activity of chitosan decreased slightly upon adding NaCl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6 log cfu/ml viable cells. Therefore, organic acids are the most compatible food components with chitosan as a bactericide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used in this study. On the other hand, NaCl inhibits chitosan-mediated antibacterial activitie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rine CJ, Sandford PA, Zikakis JP. 1992. Advances in chitin and chitosan, p. 404. Elsevier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UK. 

  2. Devlieghere F, Vermeulen A, Debevere J. 2004. Chitosan: antimicrobial activity, interactions with food components and applicability as a coating on fruit an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21: 703-714. 

  3. Hismiogullari SE, Hismiogullari AA, Sahin F, Toksoy Oner E, Yenice S, Karasartova D. 2008. Investigation of antibacterial and cytotoxic effects of organic acids including ascorbic acid, lactic acid and acetic acids on mammalian cells. J. Anim. Vet. Adv. 7: 681-684. 

  4. Huang Y, Lapitsky Y. 2012. Salt-assisted mechanistic analysis of chitosan/tripolyphosphate micro- and nanogel formation. Biomacromolecules. 13: 3868-3876. 

  5. In YW, Kim JJ, Kim HJ, Oh SW. 2013.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cetic acid, citric acid and lactic acid against Shigella Species. J. Food Safety 33:79-85. 

  6. Je JY, Park PJ, Kim B, Kim SK. 2006. Antihypertensive activity of chitin derivatives. Biopolymers. 83:250-254. 

  7. Kimura Y, Okuda H. 1999. Prevention by chitosan of myelotoxicity, gastrointestinal toxicity and immunocompetent organic toxicity induced by 5-fluorouracil without loss of antitumor activity in mice. Jpn. J. Cancer Res. 90:765-774. 

  8. Koide SS. 1998. Chitin-chitosan: Properties, benefits and risks. Nutr. Res. 18: 1091-1101. 

  9. Li Q, Dunn ET, Grandmaison EW, Goosen MFA. 1997. Applications and properties of chitosan, In Applications of chitin and chitosan, pp. 3-29. Goosen, M. F. A. (Eds.) Technomic Publishing Company, Inc., Lancaster, PA, USA. 

  10. Liu H, Du YM, Wang XH, Sun LP. 2004. Chitosan kills bacteria through cell membrane damage. Int. J. Food Microbiol. 95: 147-155. 

  11. Myoung HS, Choi MH, Park YH. 2002. Binding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s on the bacterial cells. J. Chitin Chitosan. 7: 18-22. 

  12. Oh SW, Hong SP, Kim HJ, Choi YJ.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chitosans on Escherichia coli 0157:H7,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18-224. 

  13. Park SH, Dutta NK, Baek MW, Kim DJ, Na YR, Seok SH, et al. 2009. NaCl plus chitosan as a dietary salt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 Vet. Sci. 10: 141-146. 

  14. Ravi Kumar MNV. 2000. A review of chitin and chitosan application, React. Funct. Polym. 46: 1-27. 

  15. Shahidi F, Arachchi JKV, Jeon YJ. 1999. Food applications of chitin and chitosan. Trends Food Sci. Technol. 10: 37-51. 

  16. Sudharshan NR, Hoover DG, Knorr D. 1992. Antibacterial action of chitosan. Food Biotechnol. 6: 257-272. 

  17. Tsai GJ, Su WH. 1999. Antibacterial activity of shrimp chitosan against Escherichia coli. J. Food Prot. 62: 239-243. 

  18. Uragami T, Kurita K, Fukamizo T. 2011. Chitin and chitosan in life science, Kodansha Scientific Ltd., Tokyo, Japan. 

  19. Wang GH. 1992. Inhibition and inactivation of five species of foodborne pathogens by chitosan. J. Food Prot. 55: 916-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