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호지역 이해집단간 환경의식 차이에 관한 연구 -설악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the Interest Groups in the Protected Areas: Focused on Seora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8 no.6, 2014년, pp.779 - 788  

김정민 (상지대학교 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보호지역인 국립공원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적 갈등을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구현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최근 국립공원 내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이용과 보전의 입장이 첨예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는 설악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일반탐방객의 환경의식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14년 9월 6일부터 7일까지 설악산 국립공원 주변에 거주하는 지역주민 150명과 오색~대청봉간 탐방로 이용객 2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설문 문항은 포괄적인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해 대표적으로 이용되는 Dunlap과 Liere(1978)의 NEP척도 12개와 '자연자원의 회복가능성'을 추가한 총 13개의 측정변수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주민과 탐방객 모두 '자연과의 조화'에 대한 의식이 '자연에 대한 인간의 지배' 차원에 대한 의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장 억제 또는 자원의 이용에 있어서 적절한 통제가 바람직하다고 의식하는 환경중심적 시각에 대해서도 다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주민과 탐방객 사이에는 환경에 대한 의식 차이가 존재하여 탐방객이 지역주민에 비해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수준의 환경의식을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결과는 국립공원 관련 정책이나 특정 사업의 시행 시 인간중심의 이용에 대한 의식이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주민에게는 일반 국민이나 탐방객 대상의 규범적 접근법과는 다른 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전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환경의식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고 특히 학생들이 가장 환경중심적인 의식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향후 생태시티즌십 구현에 대한 높은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연구로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고 이해집단의 환경의식과 그 차이에 대한 기초적 수준의 파악에 머무르고 있어 향후 전체 국립공원 대상의 표본 수집을 통한 후속연구가 요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 a case where the environmental conflict and dispute arose between the use and the conservation as in the other protected areas in Korea, took the first step to build ecological citizenship to solve various and complicated issues in a fundamental level by providing a basic inform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국립공원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다양하고 복잡한 수준의 환경적 갈등을 보다 근본적인 수준에서 해결할 수 있는 생태시티즌십 구현을 위한 기초단계로서 탐방로, 케이블카 등 최근 국립공원 내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이용과 보전의 입장이 첨예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는 설악산 국립공원의 지역주민과 일반 탐방객의 환경의식과 그 차이를 분석하여 보호지역내 이해 집단간 갈등의 해결을 위한 정책적, 행정적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의식과 인구학적 특성의 관계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국민들의 환경의식에 관한 조사연구는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현상적 연구위주 에서 1990년대 이후에는 환경의식의 내용과 원인을 규명하는 실증 분석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환경의식과 인구학적 특성과의 관계는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환경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Kwon and Kang, 1995; Kwak, 1998; Jo, 2005), 친환경적 여가스포츠의 참여기간이 길수록 환경의식이 높게 나타났다(Kim et al, 2004).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인식이 높았으나(Oh, 1996), Lee(2000) 의 연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환경가치관은 낮으나 환경 실천의식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보존이 잘된 곳에서 성장한 사람일수록 환경민감성이 높게 나타났다.
생태시티즌십에 대한 논의는 무엇에 기인한 것인가? 1990년대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환경시티즌십(environmental citizenship) 혹은 지속가능시티즌십(sustainability citiznship)등의 개념은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으로서 등장하고 있다. 이는 범국가적, 혹은 전 지구적 환경문제의 해결이 개인이나 소규모 공동체의 변화만으 로는 불가능하고 사회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사회구조적인 변화를 추동하는 행위자이면서 동시에 그러한 변화로 영향을 받는 주체인 생태적으로 민감하면서도 동료시민과 자신이 속한 정치공동체와 같은 정치적인 것을 고려하는 민주적인 새로운 유형인 시민 (Park, 2010)의 부상은 기존 환경권이 지닌 경쟁적이고 절차적인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수준의 한계를 넘어 기존의 의사결정틀을 환경적인 방향으로 급진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Eckersly, 2005).
환경의식이란? 환경의식이란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의존관계에 대한 인식을 의미(Eom, 1993; Choi, 1994a)하며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 환경정책에 대한 평가,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실천 의지 등으로 구성되는 포괄적인 개념(Jo and Kim, 2003)이다. 또한 재화와 용역의 구매, 사용, 처분의 전 소비과정에서 개인의 행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개인의 욕구충족 뿐 아니라 사회의 복지향상까지 고려하는 환경친화적 소비자 의식으로 정의되기도 한다(Choi, 1994b; Park and Rhee, 1995; Park and Shin, 1998; Roh and Kim, 2002; Park,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ustin, D.M., and C.Woolever(1994) 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cerns as influences on growth attitudes: a research note. Sociological Spectrum 14:87-99. 

  2. Buttel, F.(1979) Age and Environmental Concern: A Multivariate Analysis. Youth and Society 10:237-256. 

  3. Cho, J.H.(2006) Tourist's tourism attitude, tourism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concern for the sustainable ecotourism. Ph.D.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203pp.(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N.S.(1994a)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the Environmental Behavior. J.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2(5):29-43.(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N.S.(1994b).A Study on the Ecological Life Style in the Home and Preservation of the Earth Environment. Environmental Education 7:88-10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Dunlap,R.E. and K.Van Liere(1978) The New Environmental Paradigm.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9(4):10-19. 

  7. Eckersley, R.(2005) Environmental Rights and Democracy. In: D. Bell, Political Ecology: Global and Local, Dangdae, Korea, 205pp. 

  8. Eom, H.J.(1993) Housewife's Management Behavior Related to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1(2):169-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o, Y.A and K.H. Kim(2003)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 Korea: Empirical Analysi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2(1):177-20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o, Y.A(2005)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 on Environmental Concern Scales. Environmental Policy 13(1):3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ones, R.E. and R.E. Dunlap(1992) The Social Bases of Environmental Concern: Have They Changed Over Time? Rural Sociology 57(1):28-47. 

  12. Lee, S.H(2000) The relationship among nature-friendly sports participati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ivitity. Master's Theis, Korea National Sport Univerisity, Seoul, Korea, 7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R, S.M. Park and E.J. Jang(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ature-Friendly Spending Behavior of Nature-Friendly Sports Participants. The Kor. J.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14(1):57-6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wak, I.S(1998).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Disposal Behavior of Home Consumption Goods. J.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2):1-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won, B.A and L.J. Kang(1995) The Comparison of the Environment Consciousness and the Disposal Behavior between the Urban Children and the Rural Children. J.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3(2): 35-4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on, S. and B.U. Chung(1998) Tourism Development Policies and Environpolitics of Korea: The Case of the Seorak Mt. Tourism Development. J. of Tourism Studies 22(2):146-15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hai, P. and B. Twight(1987) Age and Environmentalism: An Elaboration of the Buttel Model Using National Survey Evidence. Social Science Quarterly 68:798-815. 

  18. Oh, J.H.(1996) A study on Korean consumers' environmental perceptions.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5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E.A and K.C . Rhee.(1995) A Study on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 Behavior. J.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4):199-212.(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S.Y.(2010) Korean Implication and Debate on Ecological Citizenship. ECO 14(1):167-19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Y.O and H.S. Shin(1998) The Consumer Consciousness and Behavior on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High School Girls. Kor. J. of Human Ecology 1(1):44-6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Roh, Y.L. and S.W. Kim(2002) A Study on Environmental and Recycling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Consumers' Recycling: Focused on the Unused Clothing of Unmarried Working Wom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 163-178. 

  23. Scott, D. and K. Willits(1994)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A Pennsylvania Survey. Environment and Behavior 26(2):239-260. 

  24. Wall, G(1994) Ecotourism: Old Wine in New Bottles? Trends 31(2):4-9. 

  25. Woo, H.T., B.H. Eom and Y.H. Moon(1999)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ttitude.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8(5):559-56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eo, H.K .and S.G. Kang(2002) Difference of Tourism Attitude on the Environmental Cognitive of Sustainable Tourism. J.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4(1):69-84.(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Weigel, R. and J. Weigel.(1978) Environmental Concern: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Environment and Behavior 10(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