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의 먹는 물에서 우라늄 검출 특성
Uranium in Drinking Water of Kyungpook Area in Ko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7 no.4, 2014년, pp.235 - 242  

이해근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  차상덕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정진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영훈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라늄은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에 의해 오염이 가능하지만 국내 지하수 토양환경에서는 자연적 원인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다. 우라늄은 방사성 독성과 화학적 독성을 동시에 갖고 있어 먹는 물에 포함될 경우 그 위해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지하수, 샘물 및 먹는 샘물, 먹는 물 공동시설, 지하수 측정망, 민방위비상급수 등의 시료를 대상으로 우라늄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국내외 수질 기준과 비교하여 오염 정도를 평가하였다. 총 803개의 시료 중 미국의 먹는 물 권고기준 또는 우리나라의 권고기준인 $30{\mu}g/{\ell}$를 초과하는 시료의 수는 6개이며 전체시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7%이다. 모암의 특성에 따른 우라늄의 농도는 흑운모화강섬록암, 흑운모화강암, 편마상화강암 등과 같은 화강암질 암석이 분포한 지역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anium can be released into the water environment from natural sources and human activities. The natural source of uranium is dominant in the Korea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Uranium has both of radioactive and chemical toxic properties. Therefore, a drinking water contaminated with urani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 ICP-MS 분석시 표준용액(1 mg/ℓ)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4 point의 우라늄(U238)농도 검량선을 작성하여 시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건환경연구원에 분석 의뢰되는 경상북도 지역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지하수, 샘물 및 먹는 샘물, 먹는 물 공동시설, 지하수 측정망 및 민방위비상급 등을 대상으로 우라늄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국내외 수질기준과 비교하였으며 지질적 특성 및 행정적 구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 시료는 Whatman사의 0.45 µm의 PTFE Syrige Filter를 이용하여 여과한 뒤 질산(68~70%, 특급)으로 전처리(0.5 V/V%로 산 처리)하여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ICP-MS Spectrometer, Perkin Elmer, ELAN DRC-e)를 사용하여 우라늄(U238)을 정량분석 하였다(Table. 1).
  • 우라늄 농도가 높게 검출된 상위 100개의 시료에 대하여 황산이온농도, pH, 경도,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등의 일반적 수질인자들과의 상관성조사를 수행하였다. Fig.
  • 지하수, 마을상수도, 샘물 등 경북지역의 소규모 먹는 물 시설에서 채취한 800여 개의 시료를 분석하여 우라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전체시료에 대한 평균농도는 3.

대상 데이터

  • 경상북도 중남부지역 시⋅군에 소재하고 있는 2,000여 개소의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지하수, 샘물 및 먹는 샘물, 먹는 물 공동시설, 지하수 측정망, 민방위비상급수 등은 연구원에 의뢰되는 시료이며 일부 사회복지시설 지하수, 민⋅관합동수질확인검사 시료 등은 연구원에서 직접 시료를 채수하여 2011년 1월-12월 기간 동안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시약은 모두 고순도의 시약이며 구입 후 추가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중금속 분석에 질산(HNO3, 68-70%, 유해중금속용, JUNSEI)을 사용하였고 표준원액으로 Manufactured under ISO 9001 Quality Assurance System : Multi-Element Calibration Standard 3 (No Hg, 5% HNO3, 125 mℓ) 10 mg/ℓ 등이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시약은 모두 고순도의 시약이며 구입 후 추가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중금속 분석에 질산(HNO3, 68-70%, 유해중금속용, JUNSEI)을 사용하였고 표준원액으로 Manufactured under ISO 9001 Quality Assurance System : Multi-Element Calibration Standard 3 (No Hg, 5% HNO3, 125 mℓ) 10 mg/ℓ 등이 사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라늄의 인체에 가장 큰 위해는 무엇인가? 음식 섭취 등을 통한 우라늄의 평균섭취량은 약 2 µg/day이며 신진대사 작용으로 섭취량과 유사한 양이 배출된다. 방사성 독성과 중금속 화학적 독성으로 구분되며 우라늄의 인체에 가장 큰 위해는 방사성 독성보다 화학적 독성에 의한 신장독성으로 알려져 있다(Park and Rim, 2003; Park and Rim, 2004).
경북지역의 먹는 물 시설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 결과, 어떤 지질특성을 가진 지역에서 높은 농도의 우라늄이 검출되었는가? 먹는 물에 포함된 대부분의 우라늄은 지질적 기원에 의한 것이며 지질적 특성과 매우 연관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흑운모화강섬록암, 흑운모화강암, 편마상화강암 등의 지질특성을 가진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우라늄이 검출되었다. 황산이온, pH 등의 수질인자들과의 상관성조사에서 우라늄은 기타수질 인자와의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먹는 물에서 우라늄의 권고기준은? WHO의 먹는 물 권고기준은 15 µg/ℓ이고, 미국환경보호청과 대한민국의 권고기준은 30 µg/ℓ이다.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환경의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오염제거 또는 복원이 가능하며 오염제거 기술로는 흡착, 막여과, 식물상정화, 환원적 침전, 생물학적 침전 등이 있다(Berisha and Goessler,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risha, F. and Goessler, W. (2013) Uranium in Kosovo's drinking water. Chemosphere, 93, 2165-2170. 

  2. Bhalara, P.D., Punetham, D., and Balasubramanian, K. (2014) A review of potential remediation techniques for uranium (VI) ion retrieval from, contaminated aqueous environ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2, 1621-1634. 

  3. Cho, B.W., Choo, C.O., Kim M.S., Lee, Y.J., Yun, U., and Lee, B.D. (2011)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near the Icheon granit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1, 3, 259-2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B.W., Kim, M.S., Kim, T.S., Yun, U., Lee, B.D., Hwang, J.H., and Choo, C.O. (2013) Characterisics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natural radioactive materials, uranium and radon ini groundwater of the Danyang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 4, 477-4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inelli, E., Lima, A., Albanese, S., Birke, M., Cichella, D., Giaccio, L., Valera, G., and Vivo B.D. (2012) Major and trace elements in tap water from Italy.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112, 54-75. 

  6. Fedoseev, D.A., Dunaev, M.A., and Vladmirova, M.V. (2002) Radiation-chemical behavior of uranium in ground water. Radiochemistry, 44, 1, 91-92. 

  7. Han, H.S., Jung, Y.H., Jung, E.H., Byun, J.H., Park, J.H., Kim, J.K., and Kim, G.H. (2011) A study on the uranium concentrations of groundwater in the North Part of Gyeonggi. report on the joint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Autumn, 295-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wang, J. (2013) Occurrence of U-minerals and source of U in groundwater in Daebo granite, Daeje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3, 4, 399-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Ioannidou, A., Samaropouos, I., Efstathiou, M., and Pashalidis, I. (2011) Uranium in groundwater sample of Northern Greece.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289, 551-555. 

  10. Jeong, C.H., Kim, M.S., Kim, T.S., Jo, B.U., Ryu, K.S., Jang, H.K., and Kim, D.U.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geological properties and natural radioactive isotope in groundwater in Korea. Proceedings of KSEG 2013 Fall Conference November, 14-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Y.S., Park, H.S., Kim, J.Y., Park, S.K., Cho, B.W., Sung, I.H., and Shin, D.C. (2004) Health risk assessment for uranium in Korean ground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77, 77-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urttio, P., Auvinen, A., Salonen, L., Saha, H., Pekkanen, J., Makelainen, I., Vaisanene S.B., Penttila I.M., and Komulainen H. (2002) Renal effects of uranium in drinking water.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10, 337-342. 

  13. Lee, M.H., Choi, G.S., Cho, Y.H., Lee, C.W., and Shin, H.S. (2001) Concentrations and activity ratios of uranium isotopes in the groundwater of the Okchun Belt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57, 105-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Nriagu, J., Nam D.H., Ayanwola, T.H., Dinh, H., Erdenechimeg, E., Ochir, C., and Bolormaa, T.A. (2012) High levels of uranium in groundwater of Ulaanbaatar. Mongoli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14, 722-726. 

  15. Oeh, U., Priest, N.D., Roth, P., Ragnarsdottir, K.V., Li, W.B., Hollriegl, V., Thirlwall, M.F., Michalke, B., Giussani, A., Schramel, P., and paretzke, H.G. (2007) Measurements of daily urinary uranium excretion in german peacekeeping personnel and residents of th Kosovo region to assess potential intakes of depleted uranium (DU). Science of the Total, 381, 77-87. 

  16. Orloff, K.G., Mistry, K., Charp, P., Metcalf, S., Marino, R., Shelly, T., Melaro, E., Donohoe, A.M., and Jones, R.M. (2004) Human exposure to uranium in groundwater. Environmental Research, 94, 319-326. 

  17. Park, S.K. and Rim, Y.T. (2003) International trends for radionuclides management in goround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19, 6, 585-5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Park, S.K. and Rim, Y.T. (2004) International trends for radionuclides management in ground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0, 2, 93-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rat, O., Vercouter, T., Ansoborlo, E., Fichet, P., Perret, P., Kurttio, P., and Salonen L. (2009) Uranium speciation in drinking water from drilled wells in Southern Finland and its potential links to health effect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3, 3941-3946. 

  20. Samarat, A.M. and Cheng, T. (2014) Uranium release from sediment to groundwater: influence of water chemistry and insights into release mechanisms. Journal of Contaminant Hydrology, 164, 72-87. 

  21. Wiegnad, B.A. and Schwendenmann, L. (2013) Determination of Sr and Ca sources in small tropical catchments (La Selva, Costa Rica) - A comparison of Sr and Ca isotopes. Journal of Hydrology, 488, 110-117. 

  22. Wu, Y., Wang, Y., and Xie, X. (2014) Occurrence, behavior and distribution of high levels of uranium in shallow groundwater at Datong basin, Northern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72, 809-8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