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공주입층재료 Teflon-AF와 전자주입층재료 Li2CO3의 층수 변화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전기·광학적 특성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OLEDs Depending on the Layer Change of HIL Teflon-AF and EIL Li2CO3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7 no.1, 2014년, pp.50 - 55  

강용길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  홍진웅 (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firstly found in 1st group element.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on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the OLEDs by introducing thin layer of some carbonate materials of alkali metal.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LEDs which is one of the next generation displays, we have studied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OLEDs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 재료인 Teflon-AF 와 전자 주입층 재료인 Li2CO3의 두께 비율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LED는 어떤 방식으로 빛을 내는가? OLED는 양(+)극으로 ITO (indium tin oxide)를 음(-)극으로 Al이나 Mg, Ag 같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물 층을 삽입한 구조로 되어있다 [7,8]. 발광은 양 (+)극과 음(-)극으로부터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으로 주입되고 정공과 전자가 여기 상태를 거쳐 다시 재결합함으로서 발광된다 [1,9]. 본 논문에서는 OLEDs의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공 주입층 재료인 Teflon-AF 와 전자 주입층 재료인 Li2CO3의 두께 비율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가 디스플레이소자로 관심을 받은 이유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는 빠른 응답 속도, 넓은 시야각을 가지며, 박막 형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소자로서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조명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2].
유기 발광 다이오드는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가? 최근 1족 원소 중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계열의 물질을 얇은 박막으로 삽입하여 효율 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6]. OLED는 양(+)극으로 ITO (indium tin oxide)를 음(-)극으로 Al이나 Mg, Ag 같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유기물 층을 삽입한 구조로 되어있다 [7,8]. 발광은 양 (+)극과 음(-)극으로부터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으로 주입되고 정공과 전자가 여기 상태를 거쳐 다시 재결합함으로서 발광된다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 W. Tang and S. A. VanSlyke, Appl. Phys. Lett., 51, 913 (1987). 

  2. D. H. Chung, S. K. Kim, J. W. Hong, J. U. Lee, and T. W. Kim, J. KIEEME, 16, 409 (2003). 

  3. P. C. Kao, J. H. Lin, J. Y. Wang, C. H. Yang, and S. H. Chen, Appl. Phys. Lett., 109, 094505 (2011). 

  4. J. H. Z. Xu and Y. Yang,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17, 1966 (2003). 

  5. H. Arakawa and K. Sayama, Catalysis Surveys from Japan, 4, 75 (2000). 

  6. J. W. Park, J. T. Lim, J. S. Oh, S. H. Kim, P. P. Viet, M. S. Jhon, and G. Y. Yeom. Journal of Vacuum Science & Technology, A31, 031101 (2013). 

  7. V. Savvate’ev, J. Friedl, and L. Zou, Appl. Phys. Lett., 76, 2170 (2000). 

  8. F. Ebisawa, T. Kurokawa, and S. Nara, Appl. Phys. Lett., 54, 3255 (1983). 

  9. S. R. Forrest, Nature, 428, 911 (2004). 

  10. J. W. Hong, D. H. Oh, C. H. Kim, G. Y. Kim, and T. W. Kim,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13, 193 (2010). 

  11. J. W. Hong, C. H. Kim, H. S. Han, Y. G. Kang, J. Y. Lee, and T. W. Kim. Appl. Phys. Lett., 60, 1611 (2012). 

  12. S. M. Shim, H. S. Han, Y. G. Kang, W. J. Kim, and J. W. Hong, J. KIEEME, 24, 75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