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따른 안구건조증과 눈 피로
Dry Eye Syndrome and Ocular Fatigue according to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and Manag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5 no.4, 2014년, pp.259 - 269  

허선 (남부대학교 간호학과) ,  김계하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ry eye syndrome and ocular fatigue according to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and manage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195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aring contact lenses.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OS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알아보고,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따른 안구건조증 및 눈 피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안구건조증 및 눈 피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주착용자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알아보고,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안구건조증 및 눈 피로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향후 안전한 콘택트렌즈 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싱가폴의 연구에서 콘택트렌즈와 관련한 합병증으로 어떤 것들이 나타나는가? 안구건조증은 다른 선행연구들[14-16]에서도 대표적인 콘택트렌즈 착용의 부작용으로 보고 되어 있어 콘택트렌즈 관련 문제를 조사할 때 간과할 수 없는 증상이다. 싱가포르에서 실시된 연구[17]에서도 콘택트렌즈와 관련한 합병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들의 68%가 여성이었고, 감염성 각막염을 가장 많이 호소하였으며, 다음으로 많은 합병증이 안구건조증이었다. 눈 피로와 안구건조증은 서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는데 선행연구들[18,19]에서는 눈 피로를 호소하는 환자의 51.
콘택트렌즈로 인한 부작용은 왜 발생하는가? 콘택트렌즈는 안구와 직접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착용자가 콘택트렌즈를 잘못 착용하거나 관리를 소홀히 할 경우 각막염, 알레르기성각막염, 각막궤양, 각막찰과상 등 다양한 눈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3-5]. 특히 미용을 목적으로 착용하는 컬러렌즈의 경우 착색 염료의 탈색, 각막의 산소공급 부족 등으로 인해 심각한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6,7].
렌즈 케이스 소독을 보존용액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9%)’로 하는 경우도 일부 있었다. 단백질은 아무리 관리를 잘 한다 해도 렌즈가 눈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각종 단백질 등의 침착물과 세균들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으로 합병증이 발생한다[27]. 식염수는 방부제 포함 여부에 상관없이 개봉 후 오염되기 시작하여 시간이 경과하면 오염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오염된 세균은 대부분 기회감염 또는 의료 관련감염과 관련된 세균으로 결막염, 각막염, 각막궤양, 안내염을 유발하는 균주로 조사되었다[8]. 다른 선행연구[28]에서는 시력교정용 안경 세척법에서 수돗물을 이용했을 경우, 검출된 세균의 수에 다소 감소가 있기는 하였으나 세척 전과 세균의 종에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고하여 콘택트렌즈의 세척과 보관을 위해 수돗물이나 식염수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할만한 방법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콘택트렌즈 착용은 콘택트렌즈의 종류에 상관없이 안구표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29] 특히 세균성 각막염과 같은 감염성 질환의 경우 그 원인이 과착용 또는 불결한 위생, 보존액 및 보존 케이스의 부적당한 소독 등으로 인한 것이므로 콘택트렌즈를 사용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적절한 관리용품을 사용해 주어야 하며 철저한 세척, 헹굼, 소독의 단계를 거쳐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u BS, Mah KJ, Hwang JH. Contact lens market trend of Korean optometric clinics in 2010.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0;13(3):225-234. 

  2. Kim DH, Kim JS, Mun JH. The status of soft contact lens wear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04;9(2):233-239. 

  3. Shin JC. The status of care for soft contact lens and periodic examination.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00;5(2):107-113. 

  4. Choi TH, Kim HM, Cha HW, Kim JC, Kim MS, Lee HB, et al.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ontact lens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4;45(11): 1833-1841. 

  5. Dong EY, Kim EC.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Results of population-based questionnaire on the symptoms and life styles associated with contact lens.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1;42(1):30-35. 

  6. Park SJ, Lee SM, Kim MK, Han YK, Wee WR, Lee JH. Cosmetic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9 case.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9;50(6):927-935. 

  7. Song JS, Lee H, Kim JW, Chang MH, Ha SK, Kim HM. The effect of cheap tinted contact lenses on corneal swelling and ocular surface inflammation.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8;49(12):1888-1893. 

  8. Lee KJ. Bacter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Salines Used by Contact Lens Wearers.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03;5(1):53-65. 

  9. Lee KJ, Kim HJ, Choi BK, Kim KD. Microbial contamination and associated factors in saline solution used by contact lens wearers.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1;13(2):157-168. 

  10. Bullock JD, Elder BL, Khamis HJ, Warwar RE. Effects of time, temperature, and storage container on the growth of fusarium species: Implications for the worldwide fusarium keratitis epidemic of 2004-2006. Archives of Ophthalmology. 2011;129(2):133-136. 

  11. Yung MS, Boost M, Cho P, Yap M.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accessories of soft contact lens weares (university students) in Hong Kong. Ophthalmic & Physiological Optics: The Journal of the British College of Ophthalmic Opticians. 2007;27(1): 11-21. 

  12. Kim DP, Lee KJ, Eom JH, Choi SM, Doo HY, Park MJ, et al. Ocular symptoms of Contact Lens Wearers identified by a dry eye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1;13(3):213-223. 

  13. Lee KJ, Buyn JW, Mun MY, Lee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atient-reported symptoms and signs in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08;13(3):19-28. 

  14. Kim MJ, Jang WY, Hwang HK.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 (C-SCL).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11;16(4):375-381. 

  15. Kim SJ, Kim KH, Lee JE, Lee JS. Effect of artificial tears used in contact lens-wearing eyes o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in vitro. 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0;51(4):588-597. 

  16. Kim JM, Kim YH, Jung JH. Use of the texas ey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dry eye questionnaire (TERTC-DEQ) as a screening survey for contacts lens wearers and nonwearer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07;12(4):127-131. 

  17. Teo L, Lim L, Tan DT, Chan TK, Jap A, Ming LH. A survey of contact lens complications in Singapore. Eye & Contact Lens. 2011;37(1):16-19. 

  18. Suh YW, Kim KH, Kang SY, Kim SW, Oh JR, Kim HM, et al. The objective methods to evaluate ocular fatigue associated with computer work.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0;51(10):1327-1332. http://dx.doi.org/10.3341/jkos.2010.51.10.1327 

  19. Toda I, Fujishima H, Tsubota K. Ocular fatigue is the major symptom of dry eye. Acta Ophthalmologica. 1993;71(3):347-352. 

  20. Kim JH, Park JH, Ryu KH. A survey on vision health education of heal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2011;13(3):187-195. 

  21.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382-385. 

  22. Schiffman RM, Christianson MD, Jacobsen G, Hirsch JD, Reis B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cular surface disease index. Archives of Ophthalmology. 2000;118(5):615-621. 

  23. Ames SL, Wolffsohn JS, McBrien NA. The development of a symptom questionnaire for assessing virtual reality viewing using a head-mounted display.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2005;82(3):168-176. 

  24. Kim MK. The effect of self acupressure on the eye conditions of college students [master's thesis]. [Busan]: Dongeui University; 2012. 98 p. 

  25. Kim DJ, Park MC, Lee SH, Kim HU, Lee WJ, Cha JW. The influence of office indoor air qualitys on the dry eye symptom of contact lens wearers.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12;17(2):215-222. 

  26. Kim JH. Clinical study on ocular fatigue (dry eye) patien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2):59-66. http://dx.doi.org/10.3341/jkos.2010.51.10.1327 

  27. Kim JH, Song JS, Hyon JY, Chung SK, Kim TJ. A survey of contact lens-related complications in Korea: The Korean contact lens study society. Journal of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2014;55(1):20-31. http://dx.doi.org/10.3341/jkos.2014.55.1.20 

  28. Back SS, Kim HK, Lee KB, Lee HJ, Kim HS. The sterilization effectiveness for bacterial contamination by cleansing methods in the glasses for vision correction.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2013;18(2):101-106. 

  29. Tyagi G, Alonso-Caneiro D, Collins M, Read S. Tear film surface quality with rigid and soft contact lenses. Eye & Contact Lens. 2012;38(3):171-178. http://dx.doi.org/10.1097/ICL.0b013e31824da99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