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여대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눈건강 인식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Management and Eye Health Awareness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rea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3, 2016년, pp.203 - 214  

최지영 (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송윤영 (제주관광대학교 안경광학과) ,  변종철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스학과)

초록

목적: 여대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눈건강 지식 인식도를 분석하여 콘택트렌즈 교육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5월 1일부터 2016년 6월 11일까지 콘택트렌즈 착용 경험이 있는 제주지역 여대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대해 알 수 있었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에 따라 콘택트렌즈 착용 불편감, 눈건강지식 인식도 간에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착용 콘택트렌즈의 종류에 따라 일부 렌즈에서 불편감, 일주일 평균 착용일수, 최초 착용시기, 불편감 발생시 조치방법에 따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여대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콘택트렌즈 하루 착용시간, 착용 렌즈의 종류 및 재질, 주로 느끼는 불편감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관리법에 대한 교육 및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contact lens wearing, management and awareness of eye health knowledge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Jeju area and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management of contact lens. Method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콘택트렌즈 착용을 많이 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여대생들의 특성, 콘택트렌즈 관리 및 착용 습관에 따른 불편감, 눈 건강 지식 인식도 간의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여 적절한 콘택트렌즈 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추후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콘택트렌즈의 주된 소비자인 20대 여대생들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과 콘택트렌즈 착용 불편감 간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연령, 하루 평균 사용시간, 가정 소득수준, 부모와의 동거여부에 따라 불편감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과 눈건강 지식 인식도 간에도 가정 소득수준, 콘택트렌즈 최초 착용시기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경험이 있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관련 눈건강 지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착용을 포기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인가? 실제 신규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전체 콘택트렌즈 착용자 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으며, 이는 불편감으로 인한 콘택트렌즈 착용을 포기하는 사람의 비율이 다른 나라에 비해 한국이 높기 때문이다.[4] 콘택트렌즈 착용에 따른 대표적인 불편감으로는 건조감, 충혈, 이물감 등이 있으며, 이들이 콘택트렌즈 착용을 포기하게 만드는 원인이다. 또한,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잘못된 콘택트렌즈, 렌즈 관리용액 및 보관용기의 소독 및 관리로 인해 발생한다.
콘택트렌즈 향후 착용 의향이란 질문에 과반수 넘는 사람이 착용 의사가 있다고 한 이유는? 2%가 착용 의사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콘택트렌즈 사용이 여러 가지 불편함이나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가진 장점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착용 포기 의사를 밝힌 응답자 비율이 무시할 수준의 적은 비율이 아니라고 생각되며, Pritchard 등의 연구[21]에서도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34%가 적어도 한 번은 콘택트렌즈 착용을 포기하였으며, 이 중 77%가 콘택트렌즈 착용을 다시 시도하였으며, 재시도자 중 48%가 다시 포기한다고 보고하였다.
콘택트렌즈 사용율과 시장의 증가하는 이유는? 7배 정도로 많다.[3] 이러한 콘택트렌즈 사용율과 시장의 증가는 안경에 비해 콘택트렌즈가 가진 장점(넓은 시야, 우수한 입체감, 김서림 현상 없음, 수차 감소, 부등시 교정 등)들과 미용칼라렌즈의 대두로 시력교정이 필요하지 않으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소비층의 형성으로 기인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SR, Shin SM, Park JA, Park M. The contamination level of lens cases by various wearing and storage periods of soft contact lens and the actual condition of lens case care.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2):135-145. 

  2.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2015 The national utilization of glasses and contact lens, 2015. http://www.optic.or.kr/Cate_03/eOpticnews.asp?nmodeview&OnsSeq2570&search_what&keyword&search_type4&page4(31 August 2016). 

  3. Lee WJ, Sung DY, Youk DJ, Kang SS.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2;7(2):79-87. 

  4. Lee KJ, Buyn JW, Mun MY, Lee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ual patient-reported symptoms and signs in the soft contact lens wearer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8;13(3):19-28. 

  5. Kim DH, Kim JS, Mun JH. The status of soft contact lens wear in college students in Korea.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4;9(2):233-239. 

  6. Sohn SE, Kwak HJ. Evaluation of contact lens care pattern and contact lens case care. Korean J Vis Sci. 2007;9(3):351-356. 

  7. Jung MA, Lee HJ. Survey on cosmetic color contact lens wear status of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Korean J Vis Sci. 2013;15(4):439-446. 

  8. Kim PS, Kim SD, Kim JD, Choi CW. A survey on contact lens care in young adolescent stud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1):54-58. 

  9. Ryn GC, Kim IS. The current state of lens care in contact lens weare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2;7(1):15-20. 

  10. Shin JC. The status of care for soft contact lens and periodic examina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0;5(2):107-113. 

  11. Kim TH, Min GR, Sung AY. Study on the contact lenses wear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5;10(2):151-157. 

  12. Kim DH, Hwang SY. The state and problem of the soft contact lens wearer. J Korean Ophthalmic Opt Soc. 1998;3(1):249-258. 

  13. Choi TH, Kim HM, Cha HW, Kim JC, Kim MS, Lee HB et al.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contact lense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11):1833-1841. 

  14. Song YY, Oh HJ, Jung MA. Survey on contact lens wear status in Gyeonggido.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2):373-378. 

  15. Korea Consumer Agency. Survey of safety in contact lens wear, 2001. https://www.ciss.go.kr/www/selectBbsNttPrductView.do?key109&pKndPRDUCT02&bKndsreport&nttNo3636&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4&pageUnit10(31 August 2016). 

  16. Dong EY, Kim EC. Results of population-based questionnaire on the symptoms and lifestyles associated with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2001;42(1):30-35. 

  17. Kim KS, Kim SK, Kim HJ. The survey on its wearing schedule of workers wearing contact le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1):43-49. 

  18. Vajdic C, Holden BA, Sweeney DF, Cornish RM. The frequency of ocular symptoms during spectacle and daily soft and rigid contact lens wear. Optom Vis Sci. 1999;76(10):705-711. 

  19. Cedarstaff TH, Tomlinson A. A comparative study of tear evaporation rates and water content of soft contact lenses. Am J Optom Physiol Opt. 1983;60(3):167-174. 

  20. Kim JM, Kim YH, Jung JH. Use of the texas eye research and technology center dry eye questionaire (TERTC-DEQ) as a screening survey for contact lens wearers and nonwearers. 2007;12(4):127-131. 

  21. Pritchard N, Fonn D, Brazeau D, Discontinuation of contact lens wear: a survey. Int Contact Lens Clin. 1999;26(6):157-162. 

  22. Weed K, Fonn D, Potvin R, Discontinuation of contact lens wear. Optom Vis Sci. 1993;70(12s):140. 

  23. Park M, Lee U, Kim SR. The actual management state of trial contact lenses and lens care products in local optical shop. 2011;16(4):391-401. 

  24. Szczotka-Flynn LB, Imamura Y, Chandra J, Yu C, Mukherjee PK, Pearlman E et al. Increased resistance of contact lens-related bacterial biofilms to antimicrobial activity of soft contact lens care solutions. Cornea. 2009;28(8):918-926. 

  25. Wu YT, Zhu H, Willcox M, Stapleton F. Removal of biofilm from contact lens storage cas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0;51(12):6329-6333. 

  26. McLaughlin-Borlace L, Stapleton F, Matheson M, Dart JK. Bacterial bioflim on contact lenses and lens storage cases in wearers with microbial keratitis. J Appl Microbiol. 1998;84(5);827-8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