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가맛집에서 사용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fidence on Local Foods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s from Tasty Farm Eaterie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906 - 914  

김수인 (전주대학교 한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xamine how consumers' confidence on the local foods used at tasty farm eateries influence their purchase behaviors. The four factors of perception of local foods used at tasty farm eateries and the factors of consumer confidence and purchase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맛집에서 사용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농가맛집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체 생산하거나, 지역 내 생산된 식재료를 사용하여 지역 전통조리법으로 향토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향토음식점과 차별성이 가지는 점이 농가맛집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또한 자체 생산하거나, 지역 내 생산된 식재료를 사용하여 지역 전통조리법으로 향토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향토음식점과 차별성이 가지는 점이 농가맛집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본 연구의 목적은 농가맛집에서 사용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 파악을 통해, 농가맛집 운영자들이 소비자에게 사용되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 및 로컬 푸드를 사용한다는 점을 인지시켜, 소비자와 신뢰를 형성하게 하고, 농가맛집의 판매를 촉진시키며, 농가맛집 외식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맛집에서 사용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가 농가맛집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자체 생산하거나, 지역 내 생산된 식재료를 사용하여 지역 전통조리법으로 향토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향토음식점과 차별성이 가지는 점이 농가맛집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본 연구의 목적은 농가맛집에서 사용하는 로컬 푸드에 대한 소비자 신뢰 파악을 통해, 농가맛집 운영자들이 소비자에게 사용되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 및 로컬 푸드를 사용한다는 점을 인지시켜, 소비자와 신뢰를 형성하게 하고, 농가맛집의 판매를 촉진시키며, 농가맛집 외식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H1-1: 안전성은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상품성은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지역경제성은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향토성은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농가맛집의 로컬 푸드에 대한 인식이 소비자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소비자 신뢰는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가맛집이 향토음식점과의 차별점인 원산지가 확실한 식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지역농업에 기여하는 점은? 농가맛집은 지역 고유의 음식을 판매한다는 측면에서 향토음식점과 비슷하지만, 차별화 되는 요소로 원산지가 확실한 식재료를 사용하여서 2011년도까지 64개소 농가맛집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경영 성과 조사에서 운영자들은 식재료를 직접 재배하거나, 로컬 푸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다른 음식점과 차별화되는 점은 직접 재배한 우수한 식재료로 조리한 향토 음식이라고 답하였다(Chong et al 2009). 이처럼 농가맛집은 로컬 푸드의 사용으로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신선한 식재료에 대한 신뢰와 지역농산물 소비확대시켜 지역농업에 기여하고 있다(Kim 2013). 농가맛집은 농외 소득 향상과 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의 하나로 지역 내에서 생산된 농·식품을 해당지역에서 소비하는 목적으로 인근 생활권역에서 생산·가공·유통되는 안전하고 신선한 친환경 먹거리로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인증마크를 획득한(Heo et al 2011) 로컬 푸드를 사용하고 있다.
푸드 마일리지의 원칙은? 또한 운영자가 직접 재배·수확하였거나 지역 내에서 생산한 식재료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지역 내 소비를 원칙으로 하는 푸드 마일리지를 지향하며, 소비자에게 신선하고 안전한 식재료를 이용한 향토음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Chong et al 2009).
농가맛집이란? 농가맛집은 농사를 본업으로 하는 사람의 집을 나타내는 농가와 맛있기로 유명한 음식점을 말하는 것으로 농촌지역의 향토음식을 농촌형 외식사업과 연계하여 새로운 모델인 농가맛집이라는 브랜드를 창출하고, 수익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Park 2008). 농촌진흥청은 농가맛집을 농촌 지역에 입지하여 농가나 지역 농가에서 생산한 식재료와 농촌 여성의 경험, 지혜, 이야기를 결합한 농촌 복합 식문화 공간이라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en MF (2007)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7): 1008-1021. 

  2. Chong YY, Kim MJ, Song HY, Lee MY (2009) Current situation in farm restaurant and improved strategies for rural development. Korean J. Food Culture 24(6): 692-701. 

  3. Dwyer FR, Oh S (1987) Output sector munificence effects on the internal political economy marketing channel.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pp 347-358. 

  4. Hong KY, Kim HC, Jung IK (2010) A study of experts perceptions on local food.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12): 4742-4751. 

  5. Hur NH (2011) Local food movement and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Agricultural Research Centers Annual Symposium 17, 1-46. 

  6. Hwang DY, Park JU, We TS, Lee SM (2013) A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dexes and satisfaction in farm restauran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4: 433-434. 

  7. Jeong YG, Kim MG, Song HJ, Lee ME (2009) Current situation in farm restaurants and improved strategies for rural development.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6): 692-701. 

  8. Jung EM (2011) Local food system construction plan for revival of local economy. Center for Food Agricultural & rural Policy 38: 1598-5687. 

  9. Kim HC, Lee YJ, Hong KW, Lee SM (2012)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 of Korean farm restaurants using multiregional input-output model. Foodservice Mangement Society of Korea 15(6): 225-247. 

  10. Kim HC (2013) A study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improvements in of local traditional food resources busines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p 7. 

  11. Kim HJ (2009) Building local food system through school foods safety movement.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2): 630-692. 

  12. Kim HJ (2012) Experience rural village on the experience of satisfaction research program. M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pp. 14-20 

  13. Kim GM (2014) Recommended worthwhile tasty farm eateries in the vacation season.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42476.html Accessed Jun. 16, 2014. 

  14. Kim JY (2013) Impact of perceptions of local foods on consumer buying behavior-based on consumer confidence. Korean J Tourism Research 28(2): 225-244. 

  15. Lee JY (2010) Global food and food cultur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Korea Department of Korean Food Research for Globalization, Korea. pp 53-58. 

  16. Lee KR, Song JY, Hur NH (2013) The perception and compliance of local food principl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9(4): 567-579. 

  17. Lewis JD,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18. Nemoto M (2014) Improvement strategy for local food movement through social economy network: Focused on comparative case study of Korea and Japa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8(1): 57-73. 

  19. Oh MK, Yang TS (2009) A study on impacts of selection attribute of Jeju local folklore food on customers' behaviors-focusing on customer satisfacion, re-visit, and word of mouth of Jeju touris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 636-643. 

  20. Park SH (2008) Scale development for the brand image of brand name of local-food restaurant. Korean Rural Tourism Association 15(1): 1-17. 

  21. Ryu HM (2014) Healing journey into nature's bosom.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4/07/24/20140724004501.html Accessed Jul. 24, 2014.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4) Let's go travel to tasty farm eateries where it has taste and talk. http://www.rda.go.kr/board/board.do?modeview&prgIdday_farmprmninfoEntry&dataNo100000547296 Accessed Jun. 16, 2014. 

  23. Yoon BS (2000) Some alternative suggestions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food processing. Korean l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21(2): 501-5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