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선음식 제공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구매의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약선음식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s Specialized in Yaksun Foods on Purchase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the Value Awareness of Yaksun Food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6, 2014년, pp.943 - 953  

복혜자 (경기대학교 대학원 외식조리학과) ,  정광열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ection attributes of restaurants specialized in Yaksun food on purchase intentions and satisfaction level of consumers as well as mediating effects of value awareness of Yaksun food on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선음식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서비스의 질뿐만 아니라, 금전적·비금전적 희생 간의 상쇄에서 나타나는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약선음식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약선음식을 구매함으로써 고객이 얻을 수 있는 편익과 비용간 상쇄에 의해 고객이 인식하는 약선음식의 품질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10문항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부산지역의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약선음식 제공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약선 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약선음식의 대중화와 고객만족도의 제고, 그리고 약선음식점의 경영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약선음식 제공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관계에서 약선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부산지역의 성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약선음식 제공 레스토랑의 선택속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약선 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약선음식의 대중화와 고객만족도의 제고, 그리고 약선음식점의 경영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선음식을 제공하는 레스토랑 선택시 고려하는 선택속성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와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 관계에서 약선음식에 대한 가치 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약선음식의 대중화와 고객만족도의 제고, 그리고 약선음식점의 경영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선이란? 약선은 전통적인 한의학에서 서로 다른 약재와 식품 각각의 성질과 맛의 역할을 근거로 합리적인 배합을 통해 가공 조리한 음식을 말하며, 의약품과 식품의 근원을 동일하게 본 약식동원(藥飮食同原)이라는 동양전통의학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Kim TH 2002). 약선은 독특한 성질, 색깔, 향기, 맛, 모양 등에서 효과가 있는 음식으로, 외식소비자들의 맛있는 음식에 대한 미식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생리기능을 돕고, 신체기능을 증진하여 질병 발생을 예방하며, 질병 치료의 보조 및 신체기능을 촉진하는 등의 작용을 발휘한다(Chung & Cha 2005).
약선음식의 장점은? 약선은 전통적인 한의학에서 서로 다른 약재와 식품 각각의 성질과 맛의 역할을 근거로 합리적인 배합을 통해 가공 조리한 음식을 말하며, 의약품과 식품의 근원을 동일하게 본 약식동원(藥飮食同原)이라는 동양전통의학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Kim TH 2002). 약선은 독특한 성질, 색깔, 향기, 맛, 모양 등에서 효과가 있는 음식으로, 외식소비자들의 맛있는 음식에 대한 미식 욕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생리기능을 돕고, 신체기능을 증진하여 질병 발생을 예방하며, 질병 치료의 보조 및 신체기능을 촉진하는 등의 작용을 발휘한다(Chung & Cha 2005). 따라서 약선음식은 사람의 체질, 인위적 환경, 자연적 환경, 식품의 맛과 성질 등을 종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효능까지 지닌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약선의 의의는? 현대인들은 소득증대와 더불어 소비생활 수준의 향상, 식생활의 변화, 웰빙 등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몸에 좋은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지향적인 음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건강지향적 음식 중에 약선은 약의 기능을 가진 음식으로 식습관의 잘못과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로 하여금 건강의 균형을 유지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편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Yang S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ng KY (2002) A difference of hotel selection attribute on personal value of Japanese tourists to Korea. J Tourism & Leisure Research 14(3): 213-227. 

  2. Kong HS (2007) A comparative analysis of hotel selection attribute on purpose of use of guests to hotel business center. Int J Tourism & Hospitality Research 21(2): 339-354. 

  3. Kim GA (2008) The effect of the property for selection of medicinal cuisine menu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intention for re-buy. M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p. 66. 

  4. Kim KH, Park JY, Oh YS (2012)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herbal menu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 Tourism Research 27(1): 1-16. 

  5. Na JS (2010) The effects of quality of Yaksun food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value and relationship retention. MS Thesis Hansung University, Seoul. pp 1-88. 

  6. Park SG (2013) A study on the local traditional food restaurant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 in Daegu-Gyeongbuk province. Ph D Dissertation Uiduk University, Gyeongju. pp. 91-92. 

  7. Park HJ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 and risk perception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Yaksun food & beverage. Ph D Dissertation Kangnung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p. 106. 

  8. Sim KH (2011)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7(4): 39-58. 

  9. Yang S (2007) Doho Yakseon Culinary Arts. Baeksan Publishing, Seoul. p. 18. 

  10. Yoon DI (2011) Well-being Health and the Meal Management. Pyeonghwa, Seoul. p. 247. 

  11. Lee GH (2014)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f Yaksun food(herbal medicinal foo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Ph D Dissertation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p. 82. 

  12. Lee AJ, Park DH, Park JW (2003). Effect of the service quality of foodservice industry on customer satisfaction, revising intention, and oral transmitting intention. Korean J Hotel Adminstration 12(1): 191-213. 

  13. Lee WG (2008)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based on consumer lifestyle in case of medicinal cuisine. Ph D Dissert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pp. 1-106. 

  14. Lee JY, Kim KY, Hwang YJ (2013).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s of medicinal food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attitude in Jinju area. Korean J Culinary Research 19(4): 268-278. 

  15. Chung KJ, Cha EJ (2005) Yakseon Culinary Arts, Hyoil, Seoul. p. 21. 

  16. Choi W, Park HJ, Park IS (2009)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satisfaction and loyalty in Yaksun cuisine. J Foodservice Management 12(3): 149-169. 

  17. Day RL (1984) Modeling choice among alternative responses to dis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496-499. 

  18. Kim JM (2007) Research on the menu selection attribute of medicinal cuisine and customer's recognition: Centering around the users of medicinal cuisine restaurant in Busan. M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pp. 1-75. 

  19. Kim KH, Park JY, Oh YS (2012)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herbal menu quality,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Korean J Tourism Research 27: 1-16. 

  20. Kim TH (2002) Family restaurant patron's attitudes toward nutrition & healthy menus. Korean J Food Culture 17: 629-637. 

  21. Lockshin L, Hall J (2003) Consumer purchasing behaviour for wine: What we know and where we are going. International Wine Marketing, Adelaide(Australia), http://www.unisa.edu.au/winemarketing/conferences/proceedings.asp Accessed Jul. 2003. 

  22. Sweeney JC, Soutar GN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 Retailing 77(2): 203-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