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병원 노인환자의 약선음식 제공에 의한 섭취량 증가
Serving Yaksun(Medicinal) Food Item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and an Increase in the Food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6 no.2, 2015년, pp.303 - 311  

김민정 (안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이혜상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erving medicinal food items on the dietary intake of elderly inpatients. A total of 77 elderly inpatients at a long-term senior care hospital in Yeongju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trol and medicinal food items were provided for 20 days (March 24 through 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다. 따라서 약선음식을 제공하여 노인 병원 환자들의 음식 섭취를 적절히 증가시킴으로써 이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 연구는 노인요양병원에 입원중인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일반음식과 약선음식에 대한 만족도와 섭취 정도를 비교하고자 한다. 따라서 약선음식을 제공하여 노인 병원 환자들의 음식 섭취를 적절히 증가시킴으로써 이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 연구는 질병이나 식욕부진으로 음식 섭취가 부족한 노인요양병원 환자들을 대상으로 약선음식을 제공하여 환자들의 음식섭취를 적절히 증가시킴으로써 이들의 영양 상태를 개선하고 질병의 예방과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경북 영주 지역에 있는 200 병상규모의 노인전문요양병원에 입원한 65세 이상 노인환자 77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24일부터 5월 3일에 걸쳐 일반음식 20일(3월 24일-4월 12 일), 약선음식 20일(4월 14일~5월 3일), 총 40일 동안 급식을 제공하였으며, 일반음식과 약선음식 각각에 대해 섭취량조사와 만족도조사를 실시하였다.
  • 이 연구에서의 약선음식은 약재의 생리활성을 활용한 질환치료를 목적으로 제공되지 않았으며, 삼계탕과 같이 기본적으로 어떤 사람이 먹어도 해가 되지 않도록 음식의 특성을 고려해서 평한 성질의 약선음식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Bok et al. 2005). 비교가 되는 일반음식과 약선음식은 약재를 제외한 대부분의 재료가 같은 음식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ministration on Aging(2014) A profile of older Americans: 2013. Available from http://www.aoa.gov [cited 2014 October 12] 

  2. Ahn H, Kang J, Lee H(2014) Nutrition status of elderly femal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according to meal types and eating ability. Korean J Community Nutr 19(2), 187-197 

  3. Bok HJ, Lee GJ, Song JE(2005) A research on the traditional food materials for developing medicinal food and the direction of applying the theories of oriental medicine. J East Asian Soc Die Life 15(3), 346-356 

  4. Jung JW, Park BG(2005) The effect of taste and cooking method of medicinal cuisine on customer loyal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 357-365 

  5. Kim HD(2006)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demi-glace sauce with added Omija. Korean J Culin Res 12(3), 119-133 

  6. Kim JE, Ji MS(2013) Studies of the gruel as medicated diet for the regimen YangSaeng of the elderly-in Yang-lo-bong-chin-seo-. J Orient Med Class 26(1), 99-129 

  7. Kim JE, Chang WS, Ji MS(2014)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gruel as medicated Juk for menu development -focusing on the elders in Daejon area-. Korean J Food Cook Sci 30(2), 219-227 

  8. Kim KI, Lee JH, Kim CH(2012) Impair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is associated with multimorbidity: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Gend Med 9(5), 309-318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4) Report of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cited 2014 January 13]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5)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1)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 [cited 2015 January 7] 

  1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4) Annual report on the statistics for elderly.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cited 2014 September 5] 

  12. Lee BR, Min SH(2009)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Yaksun(medicated diet) among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the Chungbuk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6), 882-890 

  13. Lee GH, Yoon DI, Lee JS(2014a) Utilization status and awareness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regarding medicinal cuisine in Yeongdong, Gangwon-do. J Korean Diet Assoc 20(1), 1-11 

  14. Lee HS(2013)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related risk factors in the elderly: data from the 4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Diet Assoc 19(1), 14-24 

  15. Lee HS, Shin KH, Rha SY, Chung MJ, Song SY, Song SE, Ham HJ, Kim HM(2014b) Changes in nutient intake in patients at nutritional risk. J Korean Diet Assoc 20(4), 285-295 

  16. Lee WG, Kim GJ(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on types of preferred menu: focusing on Daegu and Gyongbuk region. Korean J Culin Res 20(1), 89-104 

  17. Lim HJ, Kim YY, Jung JW, Choue R(2008) Study of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oriental medicinal menu, and development of oriental therapeutic menu for stroke patients. J Korean Diet Assoc 14(1), 36-50 

  18. Lim MK, Kim M(2012) Utilization status and awareness of adults regarding Yaksun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2(2), 208- 218 

  19. Park KT, Kim DW(2003) Studies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herbal food based on Yaksun -focusing on the relevant Chinese literature-. Korean J Culin Res 9(4), 191-202 

  20. Shin WS, Lee S, Park S(2013) Perception of Yaksun in the Seoul, Gyeonggi, and Chungbuk areas. Korean J Food Cult 28(4), 339-347 

  21. Sim KH(2011)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Korean herbal foods according to dietary behavior in lifestyle. Korean J Culin Res 17(4), 39-58 

  22. Son JH, Chyun JH(2002)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level on hospital meal size and actual intake rate between elderly and middle aged patients. Korean J Food Cult 17(5), 619-628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pp579-583 

  24. Yang IS, Kim JL, Lee HY(2001) An assessment of factors affecting plate waste and its effects in normal & soft diets provided from hospital foodservice. Korean J Community Nutr 6(5), 830-8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