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중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and Peer Attachment, School Adjustment on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7 no.3, 2014년, pp.140 - 147  

안혜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현혜진 (강원대학교 간호대학) ,  최정명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승미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이주현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depression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7 first and second grad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C city.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 level of depression, pater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우울과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여중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1개 중학교 1, 2학년 2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0년 6월 7일부터 21일에 걸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여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우울과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본 연구대상자의 우울정도를 보면 평균 13.
  • 본 연구는 여중생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여중생의 우울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중생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조사연구이다.
  •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우울은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학교적응 등의 다수의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여 지며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의 특성 및 영향요인을 알기 위해 이러한 다수의 요인들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애착을 부애착, 모애착으로 구분하여 또래 애착 및 학교적응과 함께 청소년 우울에 영향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청소년 우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 우울의 예방 및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의 우울증상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는 아동의 우울성향과 밀접한 연관을 보인다. 아동의 우울증상은 아동이 경험하는 가족과의 다양한 상호작용 양상과 연관이 있으며(Messer & Gross, 1995; Park, Lee, & Moon, 2011), 특히 부모-자녀관계의 다양한 측면 중 애정이나 의사소통 등 정서적인 유대관계, 즉 애착관계가 아동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Lee, Choi, & Seo, 2000). 부모가 자녀에게 온정적, 수용적, 지지적일수록 아동에서 우울이 발생할 위험이 낮은 것이 보고된 바 있으며(Lee & Min, 2004), 특히 부모애착이 높을 수록 청소년의 우울은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Lee, 2003; Lee, 2006).
청소년은 어떤 시기인가? 그 중 청소년은 가족 기능의 변화와 더불어 지나친 경쟁 중심의 사회 분위기 등 여러 가지 갈등적인 상황 속에서 정신건강에 장애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들 자신의 발달과정으로 인해 한층 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소년은 신체적, 심리적으로 성장해 가는 과도기이며, 따라서 정서적으로 불안하고 혼란스럽고 인지적 능력이 아직 미성숙한 단계이다. 이러한 과도기적 상태로 인해 청소년기는 인생의 어느 시기에서보다도 정서적 충돌성이 심화되어 우울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할 위험이 많다 (Yoon & Lee, 2010).
과도기적 상태로 인해 청소년기는 인생의 어느 시기에서보다도 정서적 충돌성이 심화되어 우울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할 위험이 많은 이유는? 이러한 과도기적 상태로 인해 청소년기는 인생의 어느 시기에서보다도 정서적 충돌성이 심화되어 우울하거나 충동적으로 행동할 위험이 많다 (Yoon & Lee, 2010). 기분이 울적하거나 불행하다고 느끼는 감정은 사춘기를 전후로 급격히 증가하며 이러한 청소년의 우울은 여러 가지 신체증상 및 극심한 무력증, 피로감, 권태감의 증상을 나타내고, 가출이나 자살, 비행 등과 같은 문제행동, 부적응 행동과도 연관되어 있어 성인기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Costello, Swendsen, Rose, & Dierker, 2008; Park et al., 2010; Sh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2. Armsden, G. C., McCauley, E., Greenberg, M. T., Burke, P. M., & Mitchell, J. R. (1990).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 early adolesecnt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18(6), 686-697. 

  3. Bae, J. H. (2014). A study on cognitive distortion, depression, and school function for school-aged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2), 65-75. 

  4. Chae, Y. Y. (2006). Correl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ttachment,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 Cho, H. J. (2006).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ce: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ho, S. C., & Lee, Y. S. (1990).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9(4), 943-956. 

  7. Costello, D. M., Swendsen, J., Rose, T. S., & Dierker, L. C. M. (2008).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rajectories of depressed mood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2), 173-183. 

  8. Hong, J., & Doh, H. (2002). Parental marital conflict, attachment to parents, and peer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0(5), 125-136. 

  9. Kim, J. Y. (1995).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adolesc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Kim, K. S., Jeon, Y. S., & Lee, C. W. (2009). The influence of attachment, differentiation, and self-esteem on adolescent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7(1), 209-225. 

  11. Koback, R. R., & Screery, A,(1988). Attachment in late adolescence: working Mokel, affect regulation, and representation of self and others. Child Development, 59, 135-146.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3). Annual report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Seoul: Author. 

  13. Kovacs, M., & Beck, A. T. (1977). An empirical-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New York: Raven Press. 

  14. Lee, E., Choi, T., & Seo, M. (2000). Effects of stress related to school, self-esteem,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parents' internal support of adolescent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2(2), 69-84 

  15. Lee, J. (2007). The influences of ego-identity and school adjust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4), 1593-1603. 

  16. Lee, J. S. (2006). The influence of mother and peer attach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7. Lee, K. (2003). The effects of attachment and depression on the adolescent delinquenc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2(1), 1-13. 

  18. Lee, S. H. (2005). The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Lee, Y., & Min, H. Y. (2004). The effects of parental behavior and school adjustment on the depression of school aged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4), 1-10. 

  20. Messer, S. C., & Gross, A. M. (1995). Childhood depression and family interaction: A naturalistic observation stud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4(1), 77-88. 

  21. Moon, K., Oh, K. J., & Moon, H. S. (2002). Validation study of Korean children's automatic thoughts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4), 955-963. 

  22. National Evidence-based Collaborating Agency. (2012). National evidence-based collaborating agency(NECA) round-table conference consensus statement: Multidisciplinary responses to suicide, the first ranked cause of death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6(2), 111-119. 

  23. Park, A. G. (200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s' parental attachment and their depression & social anxiety: Testing of the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respec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4. Park, E. (2000). The rel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school adap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5. Park, E. M. (2010).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eachers . peers . mother, self-esteem, depress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3), 75-88. 

  26. Park, H. S., Noh, J. S., Bae, S. Y., Choi, M. S., Ko, D. S., & Park, J. (2010).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in Korean middle school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1), 19-28. 

  27. Park, J. S., Lee, M. S., & Moon, J. W. (2011). Effect of functional deficiency in family on self-esteem, depression, and suicidal inclination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4(2), 199-209. 

  28. Park, W. (2006). Depression and anxiety, and school adaptability of secondary students with and without learning dis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9. Shin, H. (2009). The relations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social-behavioral competence in children: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3), 73-98. 

  30. Yoo, Y. H. (1994). Relation analysis of school adjustment, anxiety and school achievement: Focus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1. Yoon, M. S., & Lee, J. K. (2010). A longitudinal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on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c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26(2), 69-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