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축제의 연출 방안 모색 -남해안 별신굿을 중심으로-
Invigorating Local Festival Directing -Case Study of Namhaean Byeolsingu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 2014년, pp.128 - 138  

이기호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초록

지역의 문화를 종합적으로 경험하는데 가장 적합한 모델로 단연 축제를 꼽을 수가 있다. 축제에는 개최되는 지역마다 지역 고유의 문화가 종합적이고 압축적으로 녹아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축제는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적 자긍심을 고조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적 재통합의 기능을 하여 공동체 사회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게 된다. 또한 축제 개최로 인한 고용창출이 이루어지고, 외지의 여행자들을 불러들이는 데도 결정적으로 기능하여 관광산업으로서의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매년 7백여 개 이상씩이나 개최되는 전국의 축제들이 제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획적인 측면과 연출적인 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축제의 원형적 성격과 형식을 바탕으로 기획되는 지역축제들에 대하여 연출적인 측면에서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적용이 가능한 축제의 연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축제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전승되고 있는, 축제의 전통적인 유산인 남해안 별신굿에서 축제의 연출 특성을 밝히고, 연극의 연출기법을 적용하여 지역축제의 연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축제의 특성을 살리고 성공적인 축제를 연출해내기 위한 방안으로 축제의 제의형식, 공연형식, 놀이형식을 모티브로 한 연출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 festivals quite often give their visitors and local residents a good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regional culture thoroughly. Also, the festivals empower the cultural pride and communal sociality, and create new jobs improving local economy. In Korea, more than 700 local festivals are held 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타스란? 축제의 진정한 묘미는 참여자들이 주(主)와 객(客), 남과 여,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구분이 없는 상태, 궁극적으로 공연자와 관객의 구분이 없는 상태, 즉 ‘너’와‘나’의 구분이 없는 공동체로서의 ‘우리’의 상태인 커뮤니타스(communitas)의 상태를 경험하는 일이다. ‘커뮤니타스’란 어떤 사람이 지니는 구실이나 지위의 특징을 지워버리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인간이 서로 마주하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16]. 축제의 현장에서 발생되는 커뮤니타스 상태를 경험하면서 참가자들은 신성한 즐거움을 유희하게 된다.
현대의 축제 개념에 내포된 내용은? 현대의 축제 개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첫째, 축제는 일상의 억압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통풍구 역할을 한다. 둘째, 축제의 시․공간은 일상의 시․공간과 극히 대조되므로 축제는 환상(fantasy)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볼 수 없는 과장성과 삶에 대한 긍정성을 고양시킨다[13]. 축제의 연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축제의 성격을 좀 더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알아보았다.
별신굿이 시작되면 마을은 어떻게 전환되는가? 별신굿을 하게 되면 마을에서는 부정한 사람들을 골라내어 마을 밖으로 내보내고 깨끗한 사람들만으로 굿을 행하며, 가축들까지도 울음소리를 내지 못하도록 각별히 신경을 쓴다. 별신굿이 시작되면 온 마을이 일상적이고 세속적인 공간에서 비일상적이고 신성한 공간으로 전환되며, 시간 또한 일상으로부터 비일상적인 시간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비일상적인 공간과 시간은 다름 아닌 제의의 공간과 시간을 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인원, 고호석, "문화관광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5권, 제1호, pp.9-28, 2003. 

  2. 서철현, 고호석, "지역축제 개최지 주민의 공동체의식과 지역애호도의 영향관계",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1호, pp.447-466, 2011. 

  3. 안혜원, 이민규, "지역축제 활성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78-385, 2010. 

  4. http://culturestat.mcst.go.kr/ 

  5. 신중철,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논총, 제3권, 제1호, pp.1-26, 2012. 

  6.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보고서, 2006. 

  7. 이원근, 김병준,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지역사회논문집, 제35권, 제2호, pp.33-44, 2010. 

  8. 이용화, 송형종, 김영석, 성공적인 축제연출, 연극과 인간, 2007. 

  9. 김선풍, 남해안별신굿, 박이정, 1997. 

  10. 조흥윤, 巫와 민족문화, 민족문화사, 2000. 

  11. 조성애, "문화정체성과 축제", 한국프랑스학회 학술발표회, pp.101-110, 2007. 

  12. 김차동, 지역축제 만족요인이 참가자의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3. 이상일, 축제의 정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8. 

  14. 고원규, "전통축제의 제의성과 놀이에 관한 연구", 진주전문대학논문집, 제15집, pp.353-372, 1992. 

  15. 빅터 터너, 이기우, 김익두 역, 제의에서 연극으로, 현대미학사, 1996. 

  16. J. 호이징하, 김윤수 역, 호모루덴스, 도서출판 까치, 1993. 

  17. 안형혜, "지역문화축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기획 방안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2호, pp.168-175, 2008. 

  18. A. 판 게넵, 정경수 역, 통과의례, 을류문화사, 1985. 

  19. 리차드 쉐크너, 김익두 역, 민족연극학, 신아, 1992. 

  20. 로제 카이와, 이상률 역,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