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역사문화축제 방문객 만족도와 행동의도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Local Historical Culture Festiva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209 - 215  

최철수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축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과 축제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축제 방문객 23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각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축제이미지 적합성, 편의성, 유희성 요인이 만족도에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고유한 역사성에 근거한 이미지를 발굴하여 활용방안으로 제시하고 축제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한다. 특히 역사성을 가진 고유한 콘텐츠와 시대별 대표 프로그램발굴, 역사의 인물에 얽힌 이야기 등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 부(-)의 영향을 미친 이미지 가치성 요인에 대한 추가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the festival image has on the festival satisfaction of visitors, and the effect of festival satisfaction has on the degree of visitors' behavio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233 visitors. Re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방문객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축제이미지가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 역사문화축제는 지역특산물판매 중심의 지역문화축제와 달리 전통역사와 문화의 복원, 전례, 체험, 계승을 통해 긍정적인 지역이미지를 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역사문화축제가보다 발전된 축제로 성장하기 위해 축제의 이미지를 측정하고, 이미지가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향후보다 향상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많은 지역문화축제에 대한 연구 중 역사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타문화축제와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방문객 축제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축제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축제 중에서 역사문화축제인 읍성축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역사문화축제는 지역특산물판매 중심의 지역문화축제와 달리 전통역사와 문화의 복원, 전례, 체험, 계승을 통해 긍정적인 지역이미지를 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 본 연구는 많은 지역문화축제에 대한 연구 중 역사문화축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타문화축제와 차별성을 두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방문객 축제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축제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축제의 활성화 및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축제이미지, 만족도, 행동의도를 분석하고, 연구주제인 축제이미지가 축제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지역축제의 관광객 유치 증대 및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모형을 제시하면 Fig.
  • 연구목적은 방문객 축제만족도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축제만족도의 영향요인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역사문화축제의 활성화 및 마케팅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축제의 적합성 이미지는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2: 축제의 가치성 이미지는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3: 축제의 편의성 이미지는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4: 축제의 유희성 이미지는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5: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의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H6: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의 만족도는 긍정적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 따라서 연구가설은 첫째, 축제이미지에 따라 방문객의 만족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확인해 보는 것이고, 둘째,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의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셋째, 축제에 참가한 방문객의 만족도는 긍정적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 E. Lee. (1997). Development of Image Measurement Scale for Korean Tourist destina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3(2), 80-95 

  2. J. J. Lee, H. S. JO. (2000). A Study on the Image Differentiation of Local Festivals: Focused on 6 Local Festivals in Kore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1(6), 205-224. 

  3. H. S. Son, K. H. Kim & J. H. Lee. (2018). The effect of local festival image on visitor satisfaction and loyalty : Focus on Busan Area Festival, The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34(2), 129-151 

  4. M. J. Kim, M. S. Gang. (2018). A Study on Effects of Visitors' Satisfaction with Festival Experiential Elements on the Regional image : Focused on Jeju Horse Festival, Journal of hotel & resort. 17(1), 135-151 

  5. J. Y. Um, J. A. Seo & S. Y. Yun. (2017). Study o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among Image of the Festival, City Brand Equity, and RegionalLoyalt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7(3), 1-19 

  6. Y. E. Heo, I. Y. Park & W. A. Kim. (2017). The Study on the Effects of Coffee Festival Visitors' Experiential Value on Local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1(2), 75, .169-191 

  7. J. G. Sun, J. h. Lee & H. S. Go,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estival Evaluation Factor and Local Image, Place Marketing,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Changwon Migrant's Arirang Multicultural Festival(MAMF), Journal of hotel & resort. 15(4), 257-274. 

  8. W. B. Lee. (2015). Festival satisfaction impact on improving local image : focusing on the Taean Mohang Port Sea cucumber Festival of Chungnam, Journal of event sciences. 14(3), 30, 1-20 

  9. J. Y. Eun, Y. W. Park. (2014). The effect of festival service quality on festival image and re-visit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12), 29-43. 

  10. S. W. Lee, S. J. Park & G. E. Lee. (2013).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regional festival's service quality on regional imag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Event & convention research. 9(2), 19, 23-44. 

  11. S. N. Yun, Y. H. Yoo. (2013), The effects of festival experience on festival image and the valuation of festival : focusing o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Tourism research. 38(3), 55-73 

  12. S. H. Oh. (2019). The effect of awareness of corporate held festival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image : a case study of 2019 Gyejoksan Bare-Foot Festiva,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3(4), 90, 71-91 

  13. Y. W. Park, W. S. Son. (2011), The Effect of Festival Image-Self-image Congruity on Touris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5(4), 201-225. 

  14. Y. S. Nam. (2019).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a local festival on brand value and the image of the festival : focusing on Gyejoksan mountain barefoot festival, Tourism research. 44(2), 127-147 

  15. T. Y. Cho, M. S. Lee. (2009).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to Local Festivals,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7(2). 65-79 

  16. D. J. Kwak. (2000).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in Gangjin Celadon Cultural Heritage. Tourism Systems and Quality Management Research, 6(2), pp23-24. 

  17. D. G. Min. (2008). The Effect of Festival Satisfaction on Revisiting and Recommend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11), 356-363. 

  18. I. P. Ryu. (2011). A Study on th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Local Festival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5(3), pp337-352 

  19. J. H. Hyun, K. B. Kim. (2016). Effects the Satisfaction, Revisit and Intention of Recommendation by the Image of the Local Festival : Focused on The Pork Festival in Jeju,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6), 493-506 

  20. G. M. Park, J. Y. Kwak & L. T. Kim. (2018). The effect of perceived quality of festival visitor on festival image and visitor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8th ABF visitor,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30(12), 136, 365-3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