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진 금강송재의 재질: 수지구 및 방사조직의 출현형태
Property of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Appearance Pattern of Resin Canal and Ray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1, 2014년, pp.78 - 87  

김동우 (한국임업진흥원) ,  황성욱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이원희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울진산 금강송재의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기준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울진금강송(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대표목의 물리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소나무재보다 약 20% 이상 높았다. 또한 심재율은 70% 이상이었다. 단위면적($1mm^2$)당 수직수지구의 분포수는 0.3개로서 울진금강송이 소나무보다 약 40% 높았다. 수직수지구의 평균 직경은 소나무 $67.8{\mu}m$, 울진금강송 $67.3{\sim}69.9{\mu}m$로서 수종 간 큰 차이는 없었으며, 연륜수가 증가함에 따라 직경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평수지구의 분포수는 울진금강송-1이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 보다 약 55%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울진금강송-2의 수지구 분포수는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울진금강송-1은 연륜 증가와 함께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방사조직 분포수는 수종 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동일 수종 내 조재와 만재 사이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연륜이 증가함에 따라 소나무와 울진금강송 모두 방사조직의 분포수가 감소하였다. 방사조직의 세포고는 소나무가 비교적 높았으며, 조재와 만재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결과, 울진금강송의 재질발현 기준 수령은 약 150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examined the key criterion of the time of property revelation as Uljin-Geumgangsong wood.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in physical properties in pine woo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representative Uljin-Geumgangsong wood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The results ar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보에서 보고한 울진금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에 이어, 금강송으로 특정지어지는 대표적인 울진금강송과 일반소나무의 재질평가에 의한 울진금강송 재질발현 수령의 판단 여부 인자탐색을 위하여 물리적 성질을 조사하여 그 차이점이 있는지를 검토 ·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소나무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Uyeki(1928)는 우리나라 소나무를 지역에 따라 수형을 관찰하여 6개형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자라는 소나무를 금강형 소나무로 분류하였다. 손 등(1989)에 의하면, 경북 북부지역의 소나무는 수간이 곧고 수관이 비교적 좁고 높은 수하고(樹下高)와 치밀한 재질이 금강송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100년 이상된 울진금강송의 심재율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100년 이하와 100년 이상된 울진금강송의 기건밀도는 일반 소나무보다 20%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심재율은 100년 이상에서 70% 이상의 값을 나타내어, 기본 조직의 변이실험 시료로서 100년 이상과 이하로 나누어 대표 표준목에 의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울진지역의 강송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손 등(1989)에 의하면, 경북 북부지역의 소나무는 수간이 곧고 수관이 비교적 좁고 높은 수하고(樹下高)와 치밀한 재질이 금강송과 큰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현재 울진지역의 강송을 울진금강송으로 분류하고, 다시 생장상태별로 3가지 양식으로 구분되기도 한다(尹, 1999). 따라서 우리나라의 소나무분포는 생육지역에 따라 그 형태가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김남훈. 2009. 잣나무재와 일본잎갈나무재의 방사방향 방사조직 밀도 및 연륜 내 복열방사조직 출현 빈도수 변이. 목재공학 37(6): 531-536. 

  2. 김남훈, 권성민. 2006. 잣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수지구의 출현형태. 목재공학 34(1): 1-6. 

  3. 김정환, 이원희, 홍성천. 1999. 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가구학회지 10(2): 55-61. 

  4. 김정환, 정인석, 이원희, 홍성천. 2002. 강송의 기초적 재질에 관한 연구(제2보). 지역별 소나무재의 가도관 형태 및 강도비교. 한국임학회지. 91(3): 241-246. 

  5. 김진수, 이석우, 황재우, 권기원. 1993. 금강소나무-유전적으로 별개의 품종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동위효소분석 경과에 의한 고찰-. 한국임학회지 82(2): 166-175. 

  6. 박병수, 박정환, 한상억. 2006. 소나무 우량 가계별 기초재질 변이 - 가도관, 마이크로피브릴 경사각, 수지구 분포 및 전건비중을 중심으로. 임산에너지 25(2): 9-15. 

  7. 박봉우. 1996. 黃腸襟標에 관한 考察. 한국임학회지 85(3): 426-428. 

  8. 손두식, 홍성천, 여진기, 류장발. 1989. 경북지방 소나무 및 곰솔 집단의 동위효소에 의한 유전 변이. 한국임학회지 78(4): 345-359. 

  9. 오승원. 1997. 소나무의 해부학적 특성과 종압축 강도와의 관계. 목재공학 25(2): 27-32. 

  10. 이원희 2013. 울진금강송의 우수성 연구. 경북 울진군 연구용역 보고서. pp.1-333. 

  11. 한국표준협회. 2011. KS F 2198. 목재의 밀도 및 비중 측정 방법. 

  12. 宋鎬京, 金聖德, 張圭寬. 1995. TWINSPAN과 DCCA에 의한 金剛소나무 및 春陽木소나무 群集과 環境의 相關關係 分析. 한국임학회지 84(2): 266-267. 

  13. 尹忠遠. 1999. 금강소나무의 식생구조와 개체군 동태 및 형태적 특성. 慶北大學校 搏士學位論文. p. 147. 

  14. Uyeki, H. 1928. On the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korea and silviculural treatment for its improvement. Bulletin of Agriculture and forestry College of Suwon, Korea. No.3 p.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