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인도네시아산 주요 조림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II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Plantation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II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2014년, pp.635 - 645  

장사라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장재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김종호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이건산업주식회사)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초록

최근 인도네시아에서 인공조림중인 8수종 목재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 모색을 위해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엽수종인 Damar와 Sumatran pine의 생장륜은 뚜렷하지 않았고 Sumatran pine은 수지구가 존재하였으나 Damar는 수지구가 관찰되지 않았다. Damar는 편백형과 삼나무형 벽공을 보였고, Sumatran pine은 창상벽공과 소나무형벽공의 분야벽공형태를 보였다. 두 수종 모두 $3,000{\mu}m$ 이하로 다소 짧은 가도관의 길이를 보였고, 방사조직은 주로 단열방사조직으로서 Sumatran pine의 경우 방추형 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활엽수 수종은 모두 산공재였고 Afrika와 Simpur Batu는 고립관공, Angsana는 집단관공, Mahoni는 2~4열의 방사복합관공, Mindi와 Trembesi에서는 2~3열의 방사복합관공과 익상유조직, 연합익상유조직이 다른 수종에 비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Afrika, Mahoni와 Simpur Batu는 평복세포와 1~2열의 직립세포로 구성된 이성방사조직이, Angsana, Mindi와 Trembesi는 평복세포로 이루어진 동성방사조직이 관찰되었다. Simpur batu는 높이 1 mm를 초과하는 3~6열의 다열 방사조직 폭을 보였으며, 이외 5개 수종은 1~3열의 방사조직 폭을 보였다. 단위면적($mm^2$)당 관공의 수는 Angsana와 Simpur Batu가 다른 수종에 비해 많았으며 특히 Simpur Batu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모든 수종의 목섬유길이는 수심부에서 수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impur Batu가 가장 긴 섬유의 길이를, Angsana와 Trembesi가 가장 짧은 섬유길이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eight major wood species planted in Indonesia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ir effective utilization. The growth-ring boundaries of Damar and Sumatran pine were indistinct. Resin canal was found in Sumatran pine but it was not observed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보(Kim 등 2012b)에서는 인도네시아산 주요조림수종 3종, 유망수종 7종 계 10수종의 해부학적 특성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조림이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활엽수 6개, 침엽수 2개 등 8개 수종을 선정하여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외조림 장기 프로젝트로 해외 총 13개국에 조림중인데, 이 중 인도네시아에 조림하고 있는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전술한 국내 목재수급 문제의 해결은 물론, 탄소배출권의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2050년까지 100만 ha 면적의 해외조림 장기 프로젝트를 수립하였으며, 현재 총 13개국에 약 28만 ha를 조림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해외 총 조림면적의 약 68%를 점유하고 있는 주요 대상국가이며 코린도, 산림조합중앙회 등 총 32개의 국내업체가 진출하여 전체 약 19만 ha의 조림면적을 형성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의 해외조림이 타 국가에 비해 활발한 이유로는 지형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우리나라와 가깝기 때문에 원목의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난 1987년과 2010년 양국간 체결된 “임업협력약정” 및 “목재바이오매스 에너지산업 육성협력” 등 정부차원에서의 인공조림지 확보가 보장되었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목재수요량 중 국내에서 생산되는 비율은? 우리나라의 목재수요량 중 약 17%에 해당하는 490만 m3의 목재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나머지 83%의 목재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전술한 국내 목재수급 문제의 해결은 물론, 탄소배출권의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2050년까지 100만 ha 면적의 해외조림 장기 프로젝트를 수립하였으며, 현재 총 13개국에 약 28만 ha를 조림하고 있다.
산림청의해외조림 장기 프로젝트의 2050년까지의 목표 면적은? 우리나라의 목재수요량 중 약 17%에 해당하는 490만 m3의 목재만이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나머지 83%의 목재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이에 따라 산림청에서는 전술한 국내 목재수급 문제의 해결은 물론, 탄소배출권의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2050년까지 100만 ha 면적의 해외조림 장기 프로젝트를 수립하였으며, 현재 총 13개국에 약 28만 ha를 조림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인도네시아는 우리나라 해외 총 조림면적의 약 68%를 점유하고 있는 주요 대상국가이며 코린도, 산림조합중앙회 등 총 32개의 국내업체가 진출하여 전체 약 19만 ha의 조림면적을 형성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H.J., Yoon, B.H., 1982. Original Articles: Study on Chemical Components of Tropical Wood - Hemicellulose of Brittle Heart Wood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10(6): 3-7. 

  2. IAWA Committee. 1989. IAWA list of microscopic features for hardwood identification. IAWA Journal 10(3): 219-332. 

  3. IAWA Committee. 2004. IAWA list of microscopic features for softwood identification. IAWA Journal 25(1): 1-70. 

  4. Jeong, S.H. 1997. Wood properties of lesser-known species grown in indonesi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Forestry Administr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pp. 69. 

  5. Jeong, S.H., Jeong, D.J., Park, B.S., Lee, D.S., Jo, S.T. 2000a. Studies on the Wood Properties of Lesser-Known Species Grown in Indonesia (III).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11(1): 13-23. 

  6. Jeong, S.H., Jeong, D.J., Park, B.S., Lee, D.S., Jo, S.T., Lee, D.H., Hong, I.P., Jeon, S.G., 2000b. Studies on the Wood Properties of Lesser-Known Species Grown in Indonesia (IV).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11(2): 15-25. 

  7. Jeong, S.H., Kwon, J.T., Lee, D.C., Park, Y.G., Jo, S.T., Kang, I.A., Noe, J.G., Ann, G.M., Lee, D.H. 1992. Studies on the Wood Properties of Lesser-Known Species Grown in Indonesi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46: 73-93. 

  8. Jeong, S.H., Lee, D.C., Jeong, D.J., Kwon, J.T., Lee, D.S., Noe, J.K., Kang, I.A. 1996. Studies on the Wood Properties of Lesser-Known Species Grown in Indonesia (I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54: 171-187. 

  9. Jo, J.M., An, J.M., IM, G.P., Kong, Y.T., Jeong, S.G. 1977.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ropical woods (I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4: 41-50. 

  10. Jo, J.M., Lee, Y.D., Lee, C.H., Hyun, J.I., So, W.T. 1976. Studies on the properties of tropical woods (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3: 57-74. 

  11. Kang, S.G., So, W.T., Shim, G., Lee, G.Y., Kang, D.H., Gu, J.W., Ahn, G.M., Yoon, S.R., Jo, S.T., Park, J.Y., Shim, S.R., Lee, Y.G., Yoon, Y.C., Jo, J.M., 1982. Studies on the end-use development of lesser-known tropical timbers (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9: 193-212. 

  12. Kim, J.H., Febrianto, F., Kwon, S.M., Jang, J.H., Kim, N.H. 2012a. Quality evaluation of major planted species and promising species grown in Indonesia. Daegu, Republic of Korea, 2012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74-75. 

  13. Kim, J.H., Jang, J.H., Kwon, S.M., Febrianto, F., Kim, N.H. 2012b. Anatomical properties of major planted and promising species growing in Indonesi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0(4): 244-256. 

  14. Kim, J.H., Jang, J.H., Ryu, J.Y., Hwang, W.J., Febrianto, F., Kim, N.H. 2013. Comparison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White Jabon and Red Jabon grown in Indonesia.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4): 327-336. 

  15. Korea Forest Service. 2013.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43: 406-417. 

  16. Lee, P.U. 2009. The structure of the tree and wood(tropical Asia and Oceania). Media. wood Co., Ltd. Seoul. Republic of Korea. pp. 23, 274. 

  17. Ogata, K., Fujii, T., Abe, H., Baas, P. 2008. Identification of the Timbers of Southeast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KAISEISHA PRESS. pp. 70-371. 

  18. Park, S.J., Lee, J.Y., Jo, N.S., Jo, B.M. 1993. Wood science experiment book. Gwang-il Cultural History. Seoul. Republic of Korea. pp. 49-52. 

  19. Schirarend, C. 1991. The systematic wood anatomy of the Rhamnaceae Juss(Rhamnales). L Tribe Zizipheae. IAWA Bulletin n.s. 12(4): 359-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