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PFOEA) 및 m-Isopropenyl-α, α-Dimethylbenzyl Isocyanate (TMI)가 함유된 발수체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Water Repellent Materials Containing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and m-Isopropenyl-α, α-Dimethylbenzyl Isocyanate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5 no.4, 2014년, pp.151 - 160  

강영택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곽은미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정일두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상적인 내발수 특성을 얻기 위해 유화중합을 이용하여 n-methyol acrylamide (n-MAM)와 stearyl methacrylate (SMA)의 단량체에 기능성 단량체인 PFOEA의 함량(0-8 wt%)에 따른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추가적으로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PFOEA) 함량이 4 wt%인 조성에 m-isopropenyl-${\alpha}$,${\alpha}^{\prime}$-dimethylbenzyl isocyanate (TMI)의 함량(1~4 wt%)을 첨가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유화중합을 위해 비이온 유화제인 tridecyl alcohol (TDA-7), 양이온유화제인 alkyl dimethyl amine derivatives(ADAD)를 사용하였고 개시제로는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oride) (AAPDL)을 사용하였다. 합성된 공중합체에 대해서 FT-IR spectra를 이용하여 구조분석을 하였고 표면특성 분석을 위해 접촉각, 표면에너지, 발수도 그리고 SEM을 측정하였으며, TGA와 DSC를 사용하여 열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PFOEA와 TMI의 특정 함량에서 우수한 발수도와 높은 열적 특성을 보이는 공중합체가 합성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ries of terpolymers based on stearyl methacrylate (SMA), n-methyol acrylamide (n-MAM), and 2-(perfluorooctyl) ethyl acrylate (PFOEA) were synthesized by changing PFOEA contents up to 8 wt% in order to obtain optimal water-repellent properties. In addition, various contents of m-isopropeny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FOEA의 함량에 따른 Poly(PFOEA-co-SMA)를 합성하고 PFOEA가 4% 적용된 FA-3에 TMI를 공중합한 Poly(PFOEA-co-SMA-co-TMI)를 합성 후 PFOEA와 TMI의 함량에 따른 물성을 조사하였다. Poly (PFOEA-co-SMA)의 FT-IR 결과에서 PFOEA의 첨가에 따라 1100∼1300 cm-1와 1740 cm-1의 peak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PFOE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eak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소재의 표면개질 기술이란 무엇인가? 섬유소재의 표면개질 기술은 소재의 고유물성은 유지하면서 표면에 새로운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고분자 표면개질제는 낮은 에너지를 가지고 표면의 내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섬유표면개질에 폭넓게 사용된다.
섬유 표면개질제 중 섬유용 발수제는 무엇이 있는가? 목적에 맞는 고분자를 합성 또는 그래프트 하는 것은 친수화나 발수화 어느 것에나 유효하다[3]. 섬유 표면개질제 중 섬유용 발수제로는 1세대 wax계, 2세대 silicone계 고분자, 3세대 불소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다. 불소 고분자는 C-F결합에서 원자 간의 거리가 짧아 응집력이 매우 커져서 에너지 저항력이 크고, 비점착성, 저표면 장력, 저마찰성, 저마모성, 발수 및 발유성이 높다.
불소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특징은 무엇인가? 섬유 표면개질제 중 섬유용 발수제로는 1세대 wax계, 2세대 silicone계 고분자, 3세대 불소화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있다. 불소 고분자는 C-F결합에서 원자 간의 거리가 짧아 응집력이 매우 커져서 에너지 저항력이 크고, 비점착성, 저표면 장력, 저마찰성, 저마모성, 발수 및 발유성이 높다. 그리고 C-F 결합에너지가 커서 열, 빛 등의 에너지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강하여 상호인력이 작다. 그 결과 우수한 내후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을 나타내며 낮은 분극률에 기인하여 고절연성, 고유전율, 저굴절률의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3세대 발수제로 발수성뿐만 아니라 내구성, 통기성이 우수하여 섬유발수제로 흔히 이용된다[4-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Y. C. Kwak, J. Y. Park, K. S. Shin, Y. S. Park, H. J. Cheon, S. B. Kim, and H. S. Hahm, Journal of Applied Chemistry, 6(2), 555 (2002). 

  2. S. Y. Yoo, J. D. Kim, M. J. Moon, C. S. Suh, C. S. Ju, and M, G, Le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3(10), 947 (2004). 

  3. J. Y. Yu, K. Koo, and S. S. Ki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17(5), 61 (2005). 

  4. R. L. Cottington, E. G. Shafrin, and W. A. Zisma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62, 513 (1958). 

  5. E. G. Shafrin and W. A. Zisma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66, 740 (1962). 

  6. M. K. Bernett and W. A. Zisma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66, 1207 (1962). 

  7. D. K. Kim, S. B. Lee, and K. S. Doh,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5, 417 (1998). 

  8. D. O. Kim and J. H. Kim, Polymer(Korea), 27, 528 (2003). 

  9. H. J. Cho, J. H. Ryu, D. J. Byun, and K. Y. Choi, Polymer(Korea), 29, 96 (2005). 

  10. J. E. Lee and H. J. Kim, Polymer(Korea), 29, 172 (2005). 

  11. W. S. Kim, M. W. Kim, E. C. Jung, C. H. Baek, L. S. Park, I. K, Kang, and S. Y. Park, Polymer(Korea), 27, 364 (2003). 

  12. D. Y. Lee, E. H. Seo, J. I. Kim, and J. H. Kim, Journal of the Korean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7(3), 536 (1996). 

  13. J. S. Yoon and H. J. Jin,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7(4), 412 (1996). 

  14. J. W. Ha, I. J. Park, and S. B. Lee,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3(6), 744 (2002). 

  15. C. H. Baek, J. Y. Kong, S. H. Hyun, Y. J. Lim, and W. S. Kim, Polymer(Korea), 29, 433 (2005). 

  16. C. W. Bunn and E. R. Howells, Nature, 174, 549 (1954). 

  17. T. P. Russell, J. F. Rabolt, R. J. Twieg, R. L. Siemens, and B. L. Farmer, Macromolecules, 19, 1135 (1986). 

  18. C. Naselli, J. D. Swalen, and J. F. Rabolt,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90, 3855 (1989). 

  19. E. S. Clark, Polymer, 40, 4659 (1999). 

  20. Y. Kano, S. Kawahara, and S. Akiyama, Polymer, 24, 135 (1992). 

  21. E. Kissa, "Fluorinated Surfactants and Repellent," Marcel Dekker, New York (2001). 

  22. I. J. Park, D. K. Kim, and S. B. Lee,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2(2), 13 (1999). 

  23. J. B. Lee, "An Introduction to Polymer Materizls," 송인 기획, Pusan (2004). 

  24. K. U. Kim,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2, 1 (2006). 

  25. S. J. Park, J. S. Jin, J. R. Lee, and P. K. Pack, Polymer(Korea), 24, 245 (2000). 

  26. I. J. Park, D. K. Kim, and S. B. Lee,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2(2), 13 (1999). 

  27. D. K. Owens and R. C. Wendt,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3, 1741 (1969). 

  28. S. Wu, "Polymer Interface and Adhesion," Marcel Dekker, New York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